학술논문
국제이주 과정에서 아동의 정착 경험
이용수 180
- 영문명
- Children’s Experiences of Settlement in the Processes of International Migration – Koreyin Children in Gwangju Metropolitan City –
- 발행기관
- 한국문화역사지리학회
- 저자명
- 김경학(Kyunghak Kim)
- 간행물 정보
- 『문화역사지리』제30권 제2호, 130~148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지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8.08.30
5,0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광주광역시 고려인 이주 아동은 일정 기간 가족 분거의 경험을 했으며, 한국 이주 후에는 가정·학교·일상생활을 중심으로 새로운 사회·문화적 환경에 적응해야 한다. 대부분의 고려인 이주 아동들은 부모와의 분거 및 자신의 한국으로의 이주 결정을 두고 부모와의 직접적인 협상과 타협의 대상으로 인정받지 못한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이주 아동들은 가족의 국제이주 결정을 두고 슬픔, 실망, 주저함 등의 다양한 정서적 표현을 직·간접적으로 드러냄으로써 자신들의 행위성을 드러내고자 한 것으로 보인다. 고려인 아동들은 가정, 학교, 아동센터, 놀이 공간 등을 중심으로 반복되는 일상을 통해 현지 공간을 친숙한 장소로 전환시키는 적극적인 정착생활을 하면서, 다른 한편으로는 다양한 초국적 실천을 통해 본국과의 초국적 관계를 유지하고 있는 ‘초국적 이주자’에 해당한다. 고려인 아동들이 초국적 관계를 유지하는 것은 이들이 한국 정착생활에서 경험하는 체류 자격의 불안정성, 언어 딜레마 등에 대응하는 효과적인 전략의 하나로 기여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영문 초록
The result of this research of Koryein children indicates that these children once used to be treated as
passive members of Koryein families increasingly tend to be recognized as active agents, showing they create their
identity and cultural meaning. This study clearly shows that children were generally excluded not only from the
decision making, but also from having relevant information about their changing lives due to migration to Korea.
However, this study argues that some of Koryein children asserted their wills by whining, nagging, complaining,
and crying, when their opinions on family migration decision are not invited or respected. This research argues that
while managing to make connections with new people and places in Korean society, maintaining transnational social
and emotional connections with family members and kinfolks in their home country, seems to become an effective
strategy for Koryein children to overcome some difficulties faced in their daily lives. It seems that transnational
identity formation is an important process for the Koryein transmigrant children in Korea.
목차
1. 들어가는 말
2. 광주광역시 ‘고려인마을’과 고려인 아동 현황
3. 고려인 아동의 한국으로의 이주와 정착 과정
4.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지리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지리학분야 NEW
- 한국고지도연구 제16권 제2호 목차
- 『도로고』(1770)와 『대동지지』 「정리고」(1864)의 도로망 복원과 노선 비교(1) - 경유지를 중심으로
- 읍지에 반영된 현실과 인식 - 『新定牙州誌』 번역 과정에서의 고찰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