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포스트식민 여행기 읽기
이용수 637
- 영문명
- Reading Postcolonial Travel Writings – Spaces of Power, Desire and Representation –
- 발행기관
- 한국문화역사지리학회
- 저자명
- 박경환(Kyonghwan Park)
- 간행물 정보
- 『문화역사지리』제30권 제2호, 1~27쪽, 전체 2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지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8.08.30
6,0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논문은 포스트식민 관점에서 여행기가 번성했던 근대 유럽의 여행 서사와 그 공간성을 읽어내기 위한 주요 접근을 제시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근대 유럽의 여행 서사에 내재된 주요 수사와 모티브는 문명, 자연, 인종 및 과학 담론, 식민주의, 낭만주의/자연주의와 관련되어 있으며, 이러한 지배적 여행 수사는 오늘날 대중 여행기에서도 여전히 반복되고 있다. 둘째, 근대 여행기에 재현된 비유럽 세계는 단순히 여행의 배경이라기보다는 여행 주체와 여행 대상 간의 권력 관계와 문화적 상호작용에 영향을 미치는 능동적이고 관계적인 공간이다. 이러한 여행 공간에서의 행위주체성을 메리 프랫이 제시했던 접촉지대와 문화횡단 개념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셋째, 여행 주체의 위치성에 따라 여행 서사와 대상에 대한 시선이 상이하며, 여행 주체의 혼성적 위치는 자기 자신과 대상에 대한 비판적 성찰을 가능케 하는 정치적 공간을 제시할 수 있다. ‘여행하는 자’와 ‘여행되는자’ 사이의 경계를 넘는 문화횡단은 현실에서의 지배적 권력 관계의 지리를 재생산할 뿐만 아니라 새로운 정치적 가능성을 내포한다.
영문 초록
This paper investigates principal approaches to reading postcolonial travel writings and their spatiality
in modern Europe. Major rhetorics and motives in the writings were associated with ‘science’ discourse on
civilization, nature and race, colonial domination, and romanticism/naturalism. I also pointed out that, based on a
brief overview of several texts, these rhetorics are inherited to contemporary travel writings. Second, non-European
worlds in travel writings were rather active and relational spaces influencing power relations and cultural interaction
than simple background. I examined agencies in the travel space in terms of Mary L. Pratt’s postcolonial concepts
including contact zone and transculturation. Third, this paper confirmed that traveller’s positionality impacts on
differences in travel narratives and gazes on travel space. It also suggested that traveller’s hybrid position could bring
about the subject’s self-reflection and ground critical political space. In postcolonial travel writings, transculturation
which crisscrosses ‘the traveller’ and ‘the travelled’ not only reproduces geographies of power relations in reality,
but also embraces a new political possibility.
목차
1. 서 론
2. 포스트식민 여행기 읽기
3. 근대 여행기의 주요 수사
4. 접촉지대로서의 여행 대상과 공간성
5. 여행 주체의 위치성과 혼성성
6. 요약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지리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지리학분야 NEW
- 한국고지도연구 제16권 제2호 목차
- 『도로고』(1770)와 『대동지지』 「정리고」(1864)의 도로망 복원과 노선 비교(1) - 경유지를 중심으로
- 읍지에 반영된 현실과 인식 - 『新定牙州誌』 번역 과정에서의 고찰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