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연구직 및 지도직 공무원 직급체계의 개편 방안 도출을 위한 탐색적 연구

이용수 234

영문명
An Exploratory Research on Reforming the Rank Systems of Korean Civil Servants in Research and Instruction Service
발행기관
한국인사행정학회
저자명
김선아(Seona Kim) 유상엽(Sangyub Ryu) 박성민(Sung Min Park)
간행물 정보
『한국인사행정학회보』제17권 제2호, 187~217쪽, 전체 31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8.06.30
6,5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연구직 및 지도직 공무원 직급체계의 합리적 개편방향을 탐색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설문조사 및 초점 집단 인터뷰 자료를 활용하여 첫째, 직급체계 개편의 필요성을 탐색하고자 연구직 및 지도직 공무원을 직급체계의 적절성 인식 수준에 따라 3개 집단 (낮음-중간-높음)으로 분류하여 집단간 차이검증을 통해 직급체계의 적절성 인식수준에 따른 인사관리제도 만족도 및 인사관리제도 효과성에 대한 차이를 살펴보았다. 둘째, 직급체계 개편의 방향성을 탐색하고자 연구직 및 지도직 공무원을 관계급과 사 계급으로 분류하여 직급별로 선호하는 개편방안이 무엇인지를 살펴보았다. 셋째, 직급체계 개편의 효과성을 탐색하고자 계급 단일화 및 계급 세분화에 대한 기대 효과를 살펴보았고 연구직 및 지도직 공무원을 관계급과 사계급으로 분류하여 집단간 차이검증을 통해 계급 단일화 및 계급 세분화의 기대효과에 대한 직급별 인식 수준의 차이를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 직급체계의 적절성 인식 수준에 따라 인사관리제도에 대한 만족도 및 인사관리제도의 효과성 수준에 차이가 발생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고 대부분의 연구직 및 지도직 공무원이 현행 2계급 체계를 단일화하거나 세분화하는 방향으로 개편해야 한다는 의견을 제시하고 있었다. 이러한 논의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현행 2계급 체계 개편의 핵심 대안으로 제시되고 있는 계급 단일화 및 계급세분화 등의 2개 핵심 개편안에 대한 긍정적 기대효과와 예상되는 문제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The main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generate effective and sustainable policy solutions which aim at reconstructing the rank systems of civil servant in research and instruction service of Korea. Using survey and in-depth group-based interview processes, first, we tested whether there would b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groups in regard to the level of satisfaction and perceived effectiveness. Second, to provide a practical and applicable policy guidance for the future reform plan, we classified and analyzed the cohorts of civil servants in research and instruction service in a more systematic way. Third, in order to explore and confirm whether the reform process in the rank systems would be effective or not, we scrutinized whether there would be significant different views of two types of civil servants on the issues of reform. The findings of this research reinforce the hypothesized arguments that there are meaningful differences in accordance with the level of perceptions on the rank systems and that most of Korean civil servants in research and instruction service propose a couple of such directions that could ensure a well-tuned strategic and sophisticated rank structures in the future. Drawing upon these analytical and intellectual debates, the discussion section claims a number of practical caveats which highlight possible positive as well as negative effects possibly derived from the reform process of the rank systems of civil servants in research and instruction service of Korea.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논의 및 제도적 논의
Ⅲ. 연구 설계
Ⅳ. 실증 분석
Ⅴ. 결 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선아(Seona Kim),유상엽(Sangyub Ryu),박성민(Sung Min Park). (2018).연구직 및 지도직 공무원 직급체계의 개편 방안 도출을 위한 탐색적 연구. 한국인사행정학회보, 17 (2), 187-217

MLA

김선아(Seona Kim),유상엽(Sangyub Ryu),박성민(Sung Min Park). "연구직 및 지도직 공무원 직급체계의 개편 방안 도출을 위한 탐색적 연구." 한국인사행정학회보, 17.2(2018): 187-21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