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원천석이 『삼성기』저자 원동중이라는 견해에 대한 연구

이용수 44

영문명
The possiblity that Won Cheon-seok is Won Dong-jung, the Author of the Samseonggi - Won Cheon-seok’s Perception of History -
발행기관
세계환단학회
저자명
노종상(Roh Jongsang)
간행물 정보
『세계환단학회지』2권 2호, 49~103쪽, 전체 55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5.11.30
9,4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1911년에 『환단고기』가 처음 세상에 모습을 드러낸 이후, 『환단고기』에 묶인 다섯 권의 사서 가운데『삼성기』 상·하 두 권의 저자(안함로ㆍ원동중)는 최대 미스터리 중의 하나였다. 최근에 원동중이 고려 말 지방지식인이자 은일의 인사 인 원천석이라는 지적이 있었다. 이 논문의 목적은 원천석의 역사인식을 밝히는 것이지만, 또한 『삼성기』 하권의 저자 원동중이 과연 원천석인가, 하는 점을 해명하는 것이다. 연구방법으로서 이 논문은 뤼시엥 골드만Lucien Goldman의 ‘두 사람이 함께 책상 들기’를 염두에 두고 있다. 먼저 원천석과 이암, 원천석과 범장을 비교, 검토하였다. 이암은 고려 말 수문하시 중을 지낸 고관이다. 『단군세기』의 저자인(삽입) 그는 ‘동방 한민족의 역사를 신교 사관 神敎史觀으로 저술한, 신교사관의 정립자’다. 원천석은 여러 경로를 통해 이암과 운명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물론 이암으로부터 많은 영향을 받았다. 다음은 원천석과 범장을 비교, 검토하였다. 범장은 조선 건국을 반대한 두문동 72 현 중의 한 명이다. 『북부여기』의 저자인 그는 기본적으로 유학자이지만, 우리 민족 고유의 신교사관을 바탕에 깔고 있는 인물이다. 원천석과 범장은 벗이자 동지관계 이다. 또한 두 사람은 『화해사전』의 공동저자로서 사상적으로 교류하고 있었다. 원천석은 기본적으로 유학자이다. 그는 불교와 도교를 인정하고, 이해하고, 그 사상을 실천하였다. 그의 종교관 내지 세계관은 삼교일리론 三敎一理論으로 요약될 수 있다. 유교와 불교, 도교가 주장하는 것은 각자 다르지만 그 이치는 하나로서 같다는 것이다. 원천석의 삼교사상 三敎思想은 삼국시대 이후 전해져 내려온 우리 민족 고유의 신교사상을 관통해 온 사상이다. 원천석은 단군과 단군조선(고조선)의 실재를 인정했다. 그리고 단군조선의 이념이 『천부경』사상이라고 주장했다. 그의 역사인식에는 천부경사상이 기초하고 있다. 이암과 범장은 천보산에서 소전거사로부터 우리 상고사에 관한 비기 秘記를 전해 받았다. 이에 영향을 받은 이암은 신교사관을 바탕으로 『단군세기』를 저술하였다. 범장은 『북부여기』를 저술하였다. 두 사서는 『환단고기』에 나란히 묶여져 있다. 원천석은 두 사서는 물론 두 사서의 저자로부터 많은 영향을 받았던 것으로 확인된다. 또한 그는 ‘여러 군자들이 남겨놓은 비전 秘傳 을 가지고 있었다. 그는 그 비전을 바탕으로 우리 고대사는 물론 고려시대까지를 기록한『야록 野錄』을 저술했다. 학계에서는 이미 원천석과 원동중이 동일인물이라는 지적이 있었다. 원천석의 교유(영향)관계, 그가 남긴 시, 그가 남긴 구술 기록 등을 다각도로 분석한 결과,『삼성기』저자 원동중일 가능성이 있다는 것이 본고의 결론이다.

영문 초록

Ever since the Hwandangogi was first known to the public in 1911, the authors of the Samseonggi (Anhamro and Won Dong-jung), one of the five history books comprising the Hwandangogi, have remained one of the biggest mysteries. This study is on Won Dong-jung, an author of the Samseonggi. Recently an argument has been presented that Won Dong-jung is the same person as Won Cheon-seok, a recluse at the close of the Goryeo dynasty.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rify whether or not Won Cheon-seok is actually Won Dong-jung who wrote the Samseonggi. This study has adopted Lucien Goldmann’s way of “two people pick up a table.” In fact, it is difficult to confirm the detailed whereabouts of Won Dong-jung or Won Cheon-seok at the present time because few records of them remain. Despite that, this study makes a new attempt to discuss what the existing studies have not dealt with on Won Cheon-seok. To begin with, this study compared and examined Won Cheon-seok and Yi Am, and Won Cheon-seok and Beom Jang, respectively. Yi Am was a high-ranking official, serving as Sumunhasijung (vice prime minister) at the close of the Goryeo dynasty. He established a view of history based on the Spirit Teaching, writing on the history of the Korean people in East Asia from the Spirit Teaching’s standpoint. Won Cheon-seok was related to Yi Am in several ways and was also greatly influenced by him. Beom Jang was one of the 72 members of the Dumundong group which kept loyalty to the Goryeo Dynasty even after its fall, opposing the foundation of Joseon. Beom Jang was a scholar of Neo-Confucianism basically, but he also held Korean traditional view of history based on the Spirit Teaching. Won Cheon-seok and Beom Jang were friends and exchanged their ideas as the co-authors of the Hwahaesajeon. Basically a Confucian scholar, Won Cheon-seok also recognized, understood and practiced the thoughts of Buddhism and Taoism. His religious view or view of the world can be summarized as the theory of three teachings-one principle, which signifies that the three teachings of Confucianism, Buddhism, and Taoism have different contentions but share the same logic. Such a thought of his is the core of the Korean traditional thought of the Spirit Teaching which has been passed down ever since the Three Kingdoms period. Won Cheon-seok acknowledged the existence of Dangun and Dangun Joseon. And he argued that the philosophy of Dangun Joseon was the thought expressed in the Scripture of Heavenly Code, which was also the basis of his perception of history. Yi Am and Beom Jang received esoteric writings on early ancient history of Korea from a recluse scholar called Sojeon while staying at Cheonbosan Mountain. Influenced by these writings, Yi Am wrote the Dangunsegi from the historical standpoint of the Spirit Teaching. Beom Jang wrote the Bukbuyeogi, and it follows right after the Dangunsegi in the Hwandangogi. Won Cheon-seok was influenced by Yi Am’s Dangunsegi and had various esoteric records left by many learned men. Based on those records, he wrote the Yarok, covering Korean history from the early antiquity through the Goryeo Dynasty. The first part of the Yarok is assumed to be the Samseonggi. Actually, there have been some arguments, in the academic circle, that Won Cheon-seok and Won Dong-jung were the same person. Judging from various angles including the people with whom Won Cheon-seok exchanged opinions, his poems and records of his oral statements, it is possible to conclude that Won Cheon-seok would be Won Dong-jung, an author of the Samseonggi.

목차

Ⅰ. 머리말
Ⅱ. 원천석과 이암
Ⅲ. 원천석과 범장
Ⅳ. 원천석의 사상, 특히 역사인식에 대하여
Ⅴ.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노종상(Roh Jongsang). (2015).원천석이 『삼성기』저자 원동중이라는 견해에 대한 연구. 세계환단학회지, 2 (2), 49-103

MLA

노종상(Roh Jongsang). "원천석이 『삼성기』저자 원동중이라는 견해에 대한 연구." 세계환단학회지, 2.2(2015): 49-10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