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자유학기제의 정책 특징에 따른 교사들의 제도 인식

이용수 870

영문명
An interview study on teachers’perception of the Free Semester policy: with special reference to policy rationale, teacher identity, and professionalism
발행기관
고려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저자명
성열관(Youl-Kwan Sung)
간행물 정보
『교육문제연구』敎育問題硏究 第66輯, 27~58쪽, 전체 32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8.02.28
6,6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연구는 자유학기제 운영과정에서 갖게 된 교사들의 인식을 정책의 정당성, 교사의 정체성 및 전문성 차원에서 밝혀 보고자한 것이다. 이를 위해 첫째, 교사들이 이 정책의 정당성에 대해 공감 또는 거부하는 방식은 무엇인가, 둘째, 교사들은 이 정책 수행 과정에서 어떤 정체성의 변화를 경험하는가, 셋째, 교사들은 자유학기제의 전문성 학습 요구를 어떻게 인식하는가에 대해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연구자는 4개의 중학교에서 자유학기제에 임하는 24명의 교사들을 면담한 후 이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정책 정당성은 교사의 기존 교육관에 따르는 경향성이 있었다. 자유학기제의 정당성에 찬동하는 교사들은 외부 정당성을 이용해서 다른 교사들을 설득해 나가는 제도적 계기로서 자유학기제를 활용하였다. 둘째, 교사들은 자유학기제를 계기로 교육 과정, 수업, 평가 영역에서 미미하나마 역할 변화를 경험하고 있음을 보여주었다. 그러나 본질적 업무 영역 밖에서의 역할 기대와 변화 요구에 대해서는 강한 저항감을 지니고 있었다. 셋째, 학습도구로서의 정책과 관련하여, 교사들은 ‘내가 더 배운다’, ‘협력을 안 하기 어렵다’, ‘학생들을 다시 보게 되었다’, ‘하기는 한다’의 유형으로 구분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이 연구는 정책정 당성, 교사정체성, 전문성 세 차원에서 자유학기제(향후 자유학년제) 정책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 하였다.

영문 초록

This paper characterizes the traits of Free Semester policy and investigates the way teachers perceive them in terms of policy rationale, teacher identity and professionalism. For this, the research first analyzes the extent to which teachers agree to the legitimacy of the policy. Second, with regard to the ways the teachers define themselves, I explore how teacher identity has been developed through experience of this policy. Third, this study examines how teachers respond to the policy’s requirement of their professional development. In doing so, I interviewed a total of 24 teachers, from four different schools, who have been involved in implementation of the policy. As a result, the findings of study report that, firstly, enthusiastic teachers in favor of the Free Semester policy took advantage of so called ‘external legitimacy’ to persuade other ordinary teachers for students centered pedagogy. Secondly, there found small but meaningful institutional effects on the teachers who have gradually developed their professional identity as a new role expectation, but many of them resisted to the requirement of change for non essential responsibility. Thirdly, responding to the questions of policy’s learning tool, teachers are grouped into four types; (1) I leaned more than students did, (2) I couldn’t help to collaborate with other teachers, (3) I became to take a second look at students, and (4) at least I tried. Based on these results, I suggested to help policy makers develop an understanding of the relationship between legitimacy of policy and professional teacher identities for the better design of Free Semester policy (to be expanded to Free Year policy later).

목차

Ⅰ. 서 론
Ⅱ. 자유학기제의 정책 특징
Ⅲ. 연구방법
Ⅳ. 자유학기제에 대한 중학교 교사들의 인식
Ⅴ. 논의
Ⅵ. 결론 및 시사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성열관(Youl-Kwan Sung). (2018).자유학기제의 정책 특징에 따른 교사들의 제도 인식. 교육문제연구, 66 , 27-58

MLA

성열관(Youl-Kwan Sung). "자유학기제의 정책 특징에 따른 교사들의 제도 인식." 교육문제연구, 66.(2018): 27-5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