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다문화교육의 반성적 기초로서의 상호문화철학

이용수 119

영문명
Intercultural Philosophy as a Philosophical Reflexion for Multicultural Education
발행기관
한독교육학회
저자명
정창호(Chang Ho Jeong)
간행물 정보
『교육의 이론과 실천』제22권 제3호, 35~69쪽, 전체 35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7.12.30
7,0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고는 최근 유럽을 중심으로 활발하게 전개되고 있는 상호문화철학이라는 새로운 철학 프로젝트 또는 연구경향을 다문화교육 일반 더 나아가 한국의 다문화교육 이론과 실천의 철학적 기반을 강화한다는 측면에서 살펴본다. 이를 위해서 먼저 논자는 미국의 대표적 다문화교육론자인 Banks를 중심으로 다문화교육의 근본적인 문제의식이 ‘다원성 속에서의 통일’에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런 문제의식은 상호문화철학의 중심문제이기도 하다. 그러므로 양자의 접점은 양자가 공히 세계화의 흐름 속에서 등장한 문화적, 인종적 이질성과 갈등을 공생의 삶으로 발전시키려 한다는 점에 성립한다. 이러한 접점에 초점을 맞추어서 필자는 현재 상호문화철학의 주요한 대표자들이라고 할 수 있는 F. Wimmer, R. A. Mall, 그리고 Fornet-Betancourt의 주요한 입장과 개념 그리고 이론들을 검토하였다. 비머의 중심주의 비판과 다중대화(Polylog)의 개념, 말의 상호문화적 해석학과 ‘겹침’ 테제 그리고 포넷-베탕쿠어가 제시한 비판주의적 문화관과 상호문화적 대화의 의미 그리고 상호문화적 대화의 근본전제들을 검토하였다. 비머를 통해서는 상호문화철학의 핵심적인 목적을 그리고 말을 통해 상호문화적 대화와 공생을 위한 해석학적 방법을 그리고 포넷-베탕쿠어를 통해서는 신자유주의적 세계화를 거슬러 상호문화적인 세계 사회의 실현을 위한 실천적 문제의식들을 드러내는 데 초점을 두었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이상에서 살펴 본 상호문화철학의 개념과 방법론 그리고 이론들로부터 다문화교육의 이론과 실천을 위해 필요한 몇 가지 시사점을 제시하는 것으로 결론을 맺었다.

영문 초록

The intercultural philosophy(die Interkulturelle Philosophie) is a philosophical movement or project which has been developed mainly by west-european philosophers since 1980er. An important background of it is the globalization which has been enhancing the heterogeneity and cultural conflicts of intranational and international society. My hypothesis is that we could have some useful philosophical suggestions for multicultural education from the researches of intercultural philosophy. So I have tried in Chapter 2 to make a theoretical bridge between the intercultural philosophy and multicultural education. The both have the same socio-cultural landscape of multiculturalism and share the goal namely, constructing a peaceful unity of the various cultural and racial groups, without illegitimate oppressions of course. In Chapter 3, I have surveyed the important ideas and theories of representative intercultural philosophers, for example Franz Wimmer, R. A. Mal und Raul Fornet-Betancourt, in order to give some philosophical supports to the theory and practice of multicultural education. In Chapter 4, I have suggested some implications for multicultural education which could be made from the analyses above. The key point of this study is, however, an appeal to activate interactions and communictions between the multicultural education and the intercultural philosophy.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다문화교육과 ‘상호문화철학’의 접점
Ⅲ. 다문화교육의 근본문제에 대한 반성으로서의 상호문화철학
Ⅳ. 결론에 대신하여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정창호(Chang Ho Jeong). (2017).다문화교육의 반성적 기초로서의 상호문화철학. 교육의 이론과 실천, 22 (3), 35-69

MLA

정창호(Chang Ho Jeong). "다문화교육의 반성적 기초로서의 상호문화철학." 교육의 이론과 실천, 22.3(2017): 35-6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