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Kind und Bild: Würdigung und Fortführung eines unvollendeten Projektes der deutschen Entwicklungspsychologie

이용수 24

영문명
발행기관
한독교육학회
저자명
김혜온(Hyeon Kim) Siegfried Hoppe Graff
간행물 정보
『교육의 이론과 실천』제22권 제3호, 1~33쪽, 전체 33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7.12.30
6,7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독일 발달심리학의 창시자 중 한 사람인 William Stern은 이미 100여년 전에 그림이 아동발달에서 차지하는 의미에 대해 탐색하였다. William Stern이 무엇보다 자신의 세 자녀에 대한 장시간의 관찰결과를 분석하여 이루어낸 통찰들이 부당하게 잊혀지고 있다는 판단 하에 본 연구자들은 이 논문의 전반부에 William Stern의 ‘그림 감상의 심리학’을 소개하고 특히 그가 제시한 그림 감상의 발달단계에 대해 살펴보려고 한다. 본 연구의 후반부에는 William Stern이 사용하였던 원자료를 활용하여 최근의 문화심리학적 연구문제들을 탐색할 것이다. 이 원자료는 William Stern의 부인 Clara가 20세기 초 기록한 아동발달에 관한 육아일기이다. 사회적으로는 Stern가족은 전형적인 교양시민 계층에 속한다. 따라서 육아일기에 기록된 관찰들은 문화심리학적으로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본 연구에서는 교양시민층의 양육목표에 대한 이해를 통해 ‘문화적 도구’로서의 그림과 ‘문화적 실천’으로서의 그림 감상이 어떻게 미학적 판단의 교육에 활용되었는지 재구성하려고 한다.

영문 초록

William Stern, einer der Gründerväter der deutschen Entwicklungspsychologie, hat sich bereits vor mehr als 100 Jahren mit der Bedeutung von Bildern für die Kindesentwicklung befasst. Seine Erkenntnisse, die vor allem auf der Auswertung von Langzeitbeobachtungen an den eigenen drei Kindern beruhen, sind zu Unrecht in Vergessenheit geraten. Deshalb stellen wir im ersten Teil unseres Beitrags seine „Psychologie der Bildbetrachtung“ vor und legen dabei den Schwerpunkt auf die von Stern aufgewiesenen Entwicklungsschritte. Im zweiten Teil nutzen wir dieselbe Datenquelle wie William Stern, um aktuelle kulturpsychologische Fragestellungen zu beantworten. Bei der Quelle handelt sich um Tagebücher zur Kindesentwicklung, die von William Sterns Ehefrau Clara zu Beginn des 20. Jahrhunderts geführt worden sind. Die Sterns waren typische Angehörige der sozialen Schicht der Bildungsbürger. Die in den Tagebüchern aufgezeichneten Beobachtungen sind für die Kulturpsychologie von besonderer Bedeutung. In Verbindung mit der Kenntnis der Erziehungsziele des Bildungsbürgertums erlauben sie uns, zu rekonstruieren, wie das „kulturelle Werkzeug“ Bild und die „kulturelle Praxis“ Bildbetrachtung zur Erziehung zum ästhetischen Urteilen eingesetzt wurden.

목차

≪Zusammenfassung≫
Ⅰ. Einleitung
Ⅱ. Der kulturgeschichtliche Hintergrund und der familiäre Rahmen
Ⅲ. Die Bildbetrachtung in der ‘Psychologie der frühen Kindheit’
Ⅳ. Neuauswertung der Entwicklungstagebücher
Ⅴ. Pädagogische Konsequenzen
Literaturverzeichnis
국문 요약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혜온(Hyeon Kim),Siegfried Hoppe Graff. (2017).Kind und Bild: Würdigung und Fortführung eines unvollendeten Projektes der deutschen Entwicklungspsychologie. 교육의 이론과 실천, 22 (3), 1-33

MLA

김혜온(Hyeon Kim),Siegfried Hoppe Graff. "Kind und Bild: Würdigung und Fortführung eines unvollendeten Projektes der deutschen Entwicklungspsychologie." 교육의 이론과 실천, 22.3(2017): 1-3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