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M. J. Langeveld의 학교이해

이용수 141

영문명
Eine Studie über das Schulverständnis bei M. J. Langeveld - in Hinsicht auf die Anthropologie des Kindes -
발행기관
한독교육학회
저자명
정혜영(Chung Hye Young)
간행물 정보
『교육의 이론과 실천』제21권 제3호, 123~148쪽, 전체 26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6.12.30
5,9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학교는 역사적으로 교육기관일 뿐만 아니라 사회제도로서 성립되었으며, 그에 따라 매우 복합적인 형태와 양상을 띠게 된다. 이에 학교에 대해서는 서로 다른 관점에 따라 매우 다양하게 이해될 수 있으며, 상호 대립적인 관점들이 공존하게 된다. 가장 대표적인 관점의 대립으로서 학교의 사회 기능적인 수행과 교육적인 행위 사이의 갈등을 들 수 있다. 그러나 관점들의 대립은 교육기관으로서 학교의 교육적인과제 수행 안에서도 발견된다. 여기서 이러한 대립적인 관점들의 균형 및 결합의 필요성을 보게 되며, 이를 위해서는 무엇보다 학교를 본질적인 측면에서 전체적으로 바라보고, 일상적인 학교상황을 기반으로 탐구하는 관점이 요구된다. 이에 이 논문에서는 Langeveld의 어린이 인간학적 관점에 관심을 갖고그러한 관점에서 학교가 전체적으로 어떻게 새롭게 이해될 수 있는가를 고찰해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우선 Langeveld의 어린이 인간학적 관점의 필요성과 특징을 고찰하였으며, 다음으로 Langeveld가 어린이 인간학적 관점 아래 탐구한 학교에 대한 이해를 고찰하였다. 학교이해를 위하여 우선 Langeveld가학교의 본질을 ‘어린이가 걸어가야 하는 길’로서 규정한 것의 의미를 고찰하였으며, 이어서 이러한 본질규정 아래 몇 가지 학교 현상들, 즉 학교입학, 학교생활, 수업과 교육, 학교공동체 등을 중심으로Langeveld가 어린이의 관점에서 탐색한 학교의 특성을 살펴보았다. 마지막으로 학교에 대한 어린이 인간학적 탐구의 의미를 교육적인 측면에서의 대립과 갈등의 균형이라는 측면에서 제시하였으며, 결론적으로 Langeveld의 학교이해가 학교교육학 및 학교교육 실천의 기본토대가 될 수 있음을 시사하였다.

영문 초록

Schule ist historisch nicht nur als eine Bildungseinrichtug sondern auch als eine soziale Institution gegründet worden. Dementsprechend ist die Schule eine höchst ambivalente Form der Institutionalisierung von Erziehung und liegen in der Schulwirklichkeit verschiedenen Gegensätze und Konflikte. Um diese gegensätzliche Schulwirklichkeit zu zusammenfassen und integrieren wird ein neuer Aspekt gefordert, der vor allem ein wesentliches, integrativ -ganzes und auf den ungeteilten Schulwirklichkeiten fundiertes Schulverständnis stellen kann, dafür ist es hilfreich, die Schule in Hinsicht auf die ‘Anthropologie des Kindes’ zu verstehen. In diesem Zusammenhang habe ich in dieser Arbeit die Bedeutungen der kind -anthropologischen Untersuchung über Schule bei Langeveld zu betrachten versucht. Für diesen Zweck besteht diese Arbeit aus den drei Kapiteln: Zunächst wird die Notwendigkeit und der Charakter des kind-anthropologischen Aspekt bei M. J. Langeveld erklärt. Zweitens wird das Schulverständnis bei Langeveld betrachtet, das unter der kind-anthropologischen Betrachtungsweise herausarbeitet werden kann. Dafür werden zuerst die Bedeutungen der Wesensbestimmung der Schule d. h. “Die Schule als Weg des Kindes” erklärt. Danach werden die Wesenszüge der Schule erörtert im Zusammenhang mit den folgenden Begriffe: Schulanfang, Schulleben, Unterricht und Erziehung, Schule als Gemeinschaft. Letztlich kann man feststellen, dass das Schulverständnis bei Langeveld als die Grundlage der Schulpädagogik und Schulpraxis Rechtfertigung und Gültigkeit immer noch behalten kann.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Langeveld의 어린이 인간학적 관점
Ⅲ. Langeveld의 학교이해
Ⅳ.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정혜영(Chung Hye Young). (2016).M. J. Langeveld의 학교이해. 교육의 이론과 실천, 21 (3), 123-148

MLA

정혜영(Chung Hye Young). "M. J. Langeveld의 학교이해." 교육의 이론과 실천, 21.3(2016): 123-14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