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산업연관모형을 이용한 창조산업의 성장요인 분석

이용수 52

영문명
An Evaluation of Growth Factors of Korea’s Creative Industry Using Input-Output Analysis
발행기관
한국문화경제학회
저자명
김소연(So-youn Kim) 류수열(Suyeol Ryu)
간행물 정보
『문화경제연구』제17권 제3호, 1~33쪽, 전체 33쪽
주제분류
경제경영 > 경제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4.12.30
6,7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국가와 지역의 성장을 이끄는 주요 요소로써 평가되고 있는 창조산업이 1980~ 2005년 간 어떠한 요인으로 인해 성장하였는지를 투입산출 구조분해방식을 통해 실증적으로 분석한 것이다. 먼저 기존의 창조산업 개념과 분류를 참고하여 6개 부문으로 창조산업을 분류하고 현행 한국은행 산업연관표 상 분류 가능한 관련 항목을 중심으로 세부 산업을 규정하였고, 구체 적인 분석모형은 구조분해 평균방식을 활용한 Syrquin 모형을 이용하였다. 창조산업의 총산출 증가에 대한 요인별 성장기여율을 최종수요, 수출수요, 최종재수입대 체, 중간재수입대체, 기술변화 등으로 구분하여 분석한 결과, 우리나라 창조산업의 성장은 수출수요와 최종수요에 의해 주도된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수출수요에 의한 성장기여율이 1995~2000년에 54.7%, 2000~2005년에 55.6% 등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이어서 최종 수요에 의한 성장기여율이 1990~1995년에 54.0%로 나타나는 등 다른 성장요인에 비해 창조산업의 성장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그리고 기술변화, 중간재수입대체, 최종재수입대체 등의 순으로 나타나는데, 기술변화 효과는 증감을 반복하는 가운데 정(+)의 효과를 유지하고 있어 창조산업의 성장에 기술발전에 의한 영향이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중간재수입대체와 최종재수입대체는 아주 미미한 정도의 기여율을 보이고 있다. 이상의 분석에서 살펴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우리나라 창조산업은 수출과 최종수요 주도의 성장구조가 이루어지고 있는데, 특히 최근에는 전자․컴퓨터와 ICT 부문의 수출수요와 패션, 문화서비스 부문의 최종수요가 가장 큰 영향을 미치고 있어 해당 부문의 수출 확대와 민간소비 및 투자의 증가를 유도하기 위한 방안을 적극적으로 모색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된다. 그리고 최종재수입대체와 중간재수입대체 성장기여율은 타 성장요인 대비 미미한 수준이지만 이를 지속적으로 높여 수입의존도를 낮추기 위한 방안 또한 필요하다.

영문 초록

This paper uses input-output structural decomposition analysis to evaluate the major growth factors of the creative industry in Korea between 1980 and 2005. The growth factors are classified as follows: domestic final demand, export demand, import substitution for final goods, import substitution for intermediate goods, and technological change. In our analysis, we show that export demand (55.6%) and domestic final demand (42.7%) play key roles in the Korean creative industry between 2000 and 2005, implying that export and final demand have been influential factors in the growth of the Korean creative industry. Specifically, we explain how the proportions occupied by the export demand for electronics, computers, ICT, and fashion and by the domestic final demand for cultural services came to be larger than those of the other growth factor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seek ways to expand the export of these sectors and increase private consumption and investment. The contributions of import substitution for intermediate and final goods to the growth of the Korean creative industry are negligible compared to those of the other growth factors, but it is necessary to provide an alternative that could help reduce import dependence.

목차

Ⅰ. 서 론
Ⅱ. 창조산업의 범위 및 선행연구
Ⅲ. 분석모형
Ⅳ. 창조산업의 요인별 성장기여율 분석
Ⅴ. 결 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소연(So-youn Kim),류수열(Suyeol Ryu). (2014).산업연관모형을 이용한 창조산업의 성장요인 분석. 문화경제연구, 17 (3), 1-33

MLA

김소연(So-youn Kim),류수열(Suyeol Ryu). "산업연관모형을 이용한 창조산업의 성장요인 분석." 문화경제연구, 17.3(2014): 1-3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