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범죄피해에 대한 이타적 두려움:

이용수 250

영문명
Altruistic Fear of Crime: Comparison between Spouse Victimization and Child victimization for Fear of Crime
발행기관
한국테러학회
저자명
양승돈(Yang, Seung Don) 오봉욱(Oh, Bong Yook)
간행물 정보
『한국테러학회보』제9권 제3호, 52~74쪽, 전체 23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행정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6.09.30
5,5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이타적 범죄두려움과 배우자 및 자녀피해 범죄두려움의 영향 요인을 비교하여 살펴보고, 사회복지적 개입 방안을 모색하는데 연구목적이 있다. 본 연구를 위해〔국민생활안전실태조사〕로 조사된『전국범죄피해조사』의 원자료(raw data)를 활용하였으며, 연구자가 사용하는 변수에 대한 결측값이 있는 응답자는 제외되어 총 13,317명 중 7,877명의 자료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그리고 연구목적에 필요한 자료분석에 SAS 9.4와 다층모형 분석을 위한 HLM 6.0을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범죄두려움의 수준은 자녀피해 범죄두려움(3.58점)이 가장 높게 나타냈고, 이타적 범죄두려움(3.25점), 배우자피해 범죄두려움(2.92점)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이타적, 배우자피해, 자녀피해 범죄두려움에 공통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요인은 개인수준변인 중 연령, 장애유무, 학력, 취약성인식, 일상생활만족, 간접범죄피해경험여부, 지역수준변인 중 사회적 무질서로 나타났다. 즉, 노인(65세 이상)보다 비노인이(65세 미만), 장애인보다 비장애인, 학력과 취약성인식 그리고 사회적 무질서가 높을수록, 일상생활만족이 낮을수록, 간접범죄피해경험이 있으면 범죄두려움이 높게 나타났다. 셋째, 그 외에도이타적 범죄두려움은 성별, 거주기간, 지역유대가 유의미하였다. 즉, 여성보다 남성, 지역유대가 낮을수록 거주기간이 짧을수록 이타적 범죄두려움이 높게 나타났고 배우자피해 범죄두려움은 성별, 지역유대, 자녀피해 범죄두려움은 이사경험유무와 거주기간이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넷째, 조사대상자 중 사회적 약자인 여성(성별), 노인(연령), 장애인(장애유무)의 이타적 범죄두려움을 간접적으로 살펴보았고 다층모형분석에 의해 개인수준과 지역수준변인으로 구분하여 사회복지적 관점인 ‘환경 속의 인간’에서 살펴보았고, 그에 따라 이타적 범죄두려움을 감소시키기 위한 개입방안으로 취약성인식을 높이기 위한 역량강화와 범죄예방활동에 대한 정보제공 및 교육, 일상생활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사회복지서비스 제공, 간접 범죄피해경험이 있는 사람에 대해서는 상담 및 치료서비스 제공, 사회적 무질서를 감소시키기 위한 배회 및 가출, 비행 청소년과 거리 노숙인에 대한 이동 상담 및 쉼터운영 등 사회복지서비스 제공과 지역유대를 높이기 위한 지역공동체와 마을만들기 운동 등 사회통합을 위한 사회복지적 개입이 요구된다. 이러한 연구결과 및 함의를 근거로 이타적 범죄두려움을 감소시켜 지역사회 주민의 삶의 질을 높일 수 있는 사회복지적 측면의 개입방안을 제언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compare influential factors of altruistic fear of crime and fear of crime for spouse and child victimization and search for social welfare intervention plans. For those purposes, the study used the raw data of Korean Crime Victim Survey(Kim Eun-gyeong et al., 2014) conducted as part of National Survey on the Safety of People s Lives and included the data of 7,877 in analysis after excluding the ones containing missing values about the variables employed in the study from those of total 13,317. Collected data were analysis with SAS 9.4 and HLM 6.0 for multilevel model analysis to meet the research objectives. The main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the fear of crime level was the highest in fear of crime for child victimization(3.58 points), which was followed by altruistic fear of crime(3.25) and fear of crime for spouse victimization(2.92) in the order. Second, common significant influential factors of fear of crime for acquaintance, spouse and child victimization were age, disabilities, educational background, recognition of vulnerability, satisfaction with daily life and indirect experiences with crime victimization at the individual level and social disorder at the community level. That is, fear of crime was higher among the non-elderly(under 65) than the elderly(over 65) and among people with no disabilities than people with disabilities. Fear of crime tended to rise according to the higher degree of educational backgrounds, recognition of vulnerability, and social disorder, the lower level of satisfaction with daily life, and the more indirect experiences with crime victimization. Third, there was a significant level of fear of crime for acquaintance victimization according to gender, duration of stay, and community ties. That is, it was higher among men than women and according to the lower community ties and shorter duration of stay. Fear of crime for spouse victimization was significant according to gender and community ties, and that for child victimization was significant according to experiences of moving and duration of stay. Fourth, the study examined indirectly the altruistic fear of crime of the socially underprivileged including women(gender), the elderly(age), and the disabled(disabilities) from a social welfare perspective of man in the environment according to the individual and community variables based on multilevel model analysis. Based on the results, the study proposed intervention plans to reduce altruistic(acquaintance victimization) fear of crime including reinforcing the capabilities to increase the recognition of vulnerability, providing information and education on crime prevention activities, offering social welfare service to increase the satisfaction with daily life, providing counseling and treatment service to people with indirect crime victim experiences, and running mobile counseling and shelter service for adolescents that were wandering around, ran away from home, or were delinquent and homeless people on the street to reduce social disorder. There is also a need to make social welfare interventions for social integration including a movement of community and village building to provide social welfare service and increase the community ties. Based on those findings and implications, the study proposed social welfare intervention plans to reduce altruistic fear of crime and increase the quality of life of community members.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양승돈(Yang, Seung Don),오봉욱(Oh, Bong Yook). (2016).범죄피해에 대한 이타적 두려움:. 한국테러학회보, 9 (3), 52-74

MLA

양승돈(Yang, Seung Don),오봉욱(Oh, Bong Yook). "범죄피해에 대한 이타적 두려움:." 한국테러학회보, 9.3(2016): 52-7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