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동아시아 칠공예와 나전의 교류와 확산

이용수 740

영문명
East Asian Lacquerware Handicraft and Exchange and Expansion of Inlaid Lacquerware with Mother-of-pearl
발행기관
백산학회
저자명
김은정(Kim Eunjung)
간행물 정보
『백산학보』第109號, 1~26쪽, 전체 26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7.12.30
5,9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칠기는 동아시아 고유의 지역성을 반영하는 대표적인 문화 중의 하나로 이른 시기부터 사용되 었다. 동양의 칠공예는 생산도구의 접합과 고정을 위한 접착제로 쓰였던 것이 그 시초가 된것으로 여겨진다. 칠공예의 기원지는 중국으로 수천년에 걸쳐 단일한 양식에서 채회, 전칠, 상감, 조칠, 묘금, 창금, 칠화, 나전 등 상당한 발전을 기록했다. 이렇듯 수천 년에 걸쳐 지속적으로 발전한 칠기는 중국 전통문화의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이며, 한국, 일본 및 중국과 연결된 대륙부 동남아시아의 칠기에도 많은 영향을 끼쳤다. 중국에서 다양한 경위를 거쳐 동아시아 각지로 확산되면서 각 지역의 기호나 상업상의 이유, 생태적 환경 등의 요인에 따라 기종·문양·기법적 전개의 측면에서 지역의 독자적인 특성을 형성해 갔다. 또한 이러한 전파(傳播)의 움직임은 중심지역에서 주변지역으로의 일방적인 전파가 아닌 주변에서 중심으로의 움직임과 함께 주변지역 상호간의 교류를 동반했다. 이러한 상호교류에 의해 칠공예는 기원지인 중국에서 동아시아 각지로 전파되어 독자적인 발전을 이룩했던 것이다. 한국, 일본 등 동아시아 각국은 중국의 칠공예를 주체적으로 수용하여 한국은 나전칠기, 일본은 마키에라는 자국만의 조형적 특징으로 발달시켰으며, 역으로 중국에 영향을 끼치기도 하였다. 하지만 동남아시아에서는 대나무를 이용하여 칠기의 형태를 만드는 기본적인 방법이 중국 남서부의 칠기 제작의 영향을 받았다는 사실만을 확인할 수 있다.

영문 초록

Lacquerware has been one of the representative cultures reflecting the unique regional character of East Asia. It is believed that oriental lacquerware was originated from an adhesive for bonding and fixing production tools. As China is the origin of the oriental lacquerware handicraft, it has made considerable progress over thousands of years from a single form to Chaehui, Jeonchil, inlaid work, Jochil, Myogeum, Changgeum, lacquer painting, mother-of-pearl, etc. Such lacquerware, which has developed continuously for thousands of years, is one of the important elements of traditional Chinese culture and influenced on lacquerware of Southeastern Asia where Korea, Japan, and China are connected with one continent. As Chinese lacquerware spread to various parts of East Asia through a variety of processes, each region has formed its own characteristics in terms of models, patterns, and technical developments depending on factors such as local preferences, commercial reasons, and ecological environment. In addition, the movement of the propagation(傳播) accompanied the interchange between the surrounding areas along with the movement from the periphery to the center, not the one-sided propagation from the central area to the surrounding area. Through these interactions, lacquerware handicraft was spread from China, which is its origin, to various parts of East Asia and achieved each unique development. Korea, Japan, and other East Asian countries accepted the Chinese art of lacquer with subjectivity and lacquerware inlaid with mother-of-pearl of Korea and Macie of Japan developed into each country’s own figurative feature. Conversely, they has also influenced China. In Southeast Asia, however, it can be seen that the basic method of making lacquerware using bamboo was influenced by the lacquerware-making process in southwestern China.

목차

Ⅰ. 머리말
Ⅱ. 동아시아 칠공예의 전개
Ⅲ. 동아시아 칠공예의 교류와 확산
Ⅳ.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은정(Kim Eunjung). (2017).동아시아 칠공예와 나전의 교류와 확산. 백산학보, (109), 1-26

MLA

김은정(Kim Eunjung). "동아시아 칠공예와 나전의 교류와 확산." 백산학보, .109(2017): 1-2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