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연극저작물의 개념과 용어에 관한 연구

이용수 95

영문명
The Study on the definition and terminology of dramatic works - Focused on America and Korea
발행기관
한국예술경영학회
저자명
정영미(Jung Young Mee)
간행물 정보
『예술경영연구』제17집, 141~171쪽, 전체 31쪽
주제분류
경제경영 > 경영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0.10.30
6,5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논문은 연극저작물의 저작권법적 개념에 관하여 미국과 우리나라의 경우를 중심으로 고찰하였다. 뮤지컬을 중심으로 공연예술시장이 커져감에 따라 연극저작물의 저작권법적 개념을 원론적으로 고찰함으로써 그 명확한 저작자 및 소유관계를 규명하는데 기초적 이론을 제공하고자 한다. 특별히 법원에서 연극저작물은 결합저작물이라는 일관된 입장을 보이고 있는데, 이에 따라 법상 저작자가 아닌 연출자의 창작을 소외시켜버리게 되는, 현행 ‘결합저작물’이라는 개념이 갖고 있는 불충분함을 지적하고자 한다. 또한 연극저작물의 실체와 그에 합당한 용어의 정립에 있어서 영어표기와 더불어 통일된 기준을 마련하여 그 지칭하는 대상을 명확히 하고자 한다. 결국 논문에서 강조하고 싶은 것은 법원에서 결합저작물이라는 고정된 시각을 버리고 유동적으로 경우마다 고찰해주었으면 하는 바람이다.

영문 초록

This study researches copyright statutory definitions of dramatic works of both America and this country. In the case of America, the terminology ‘dramatico-musical composition’ was made in 1909, and has changed into ‘dramatic works’ in 1976. It includes any accompanying music. Pantomimes and choreographic works have become independent subject matter since 1976. In America, the two essential elements for a dramatic composition are ① The substantial portion of the story should be provided by action of real actors. (Dialogue is not important elements.) ② There should be a story(a thread of consecutively related events). Also, the statutory class of dramatic works overlaps four other statutory classes of works. In this country, dramatic(theatrical) works include pantomimes and choreographic works, and mean the works made of choreograph or actionㆍmovements. There is a essential point that the authors of dramatic works are performers. Furthermore, this courts has a consistent view about dramatic works which are combined works(결합저작물). This point has a few problems. In comparison between America and this country, we don’t devide dramatic works and choreographic works. While we regard musical theatre as combined works, They regard musical theatre as collective works in America. However, musical melody and scripts are copyright protected respectively in both countries. The expression of action is essential when we make the definition of dramatic works. They set forth conditions for copyrightable material that must be fixed in a tangible form in America. In our case, dramatic works need to record in a tangible media so that we could strengthen copyright protection for dramatic works. In conclusion, terminology of dramatic works has confusion and dissatisfaction recently, I want to propose redefinition and re-meaning of translation for dramatic works.

목차

초록
Ⅰ. 서론
Ⅱ. 연극저작물의 범주와 개념
Ⅲ. 미국과 우리나라의 대조적 고찰
Ⅳ. 연극저작물에 관한 용어 제안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정영미(Jung Young Mee). (2010).연극저작물의 개념과 용어에 관한 연구. 예술경영연구, 17 , 141-171

MLA

정영미(Jung Young Mee). "연극저작물의 개념과 용어에 관한 연구." 예술경영연구, 17.(2010): 141-17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