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International Trade Competitiveness of Kenya and Korea

이용수 46

영문명
발행기관
부경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저자명
Geoffrey Musyoki Kitetu 고종환
간행물 정보
『인문사회과학연구』인문사회과학연구 제19권 제1호, 313~343쪽, 전체 31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8.02.28
6,5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논문에서는 현시선호비교우위 (RCA)지수, 무역보완지수 (TCI) 및 무역강도지수 (TII)를 이용하여 26개 산업 부문에서 케냐와 한국의 국제 무역 경쟁력을 정량적으로 분석하였다. 실증 분석 결과를 보면 케냐는 6개 부문에서 그리고 한국은 12개 부문에서 상당한 국제 무역 경쟁력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케냐가 비교 우위를 가지고 있는 부문에서는 한국은 비교열위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케나가 비교열위를 가지고 있는 부문에서는 한국은 비교우위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무역보완지수를 이용한 분석 결과를 보면 케냐는 7개 부문에서 그리고 한국은 11 개 부문에서 상호보완성이 매우 큰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케냐의 수출품이 한국 시장에 침투하는 속도는 한국의 수출품이 케냐 시장에 진입하는 것보다 매우 낮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경제 통합이 심화되면 케냐는 제조업 부문에서 부정적인 영향을 받을 것으로 전망되며, 한편 한국은 농업 부문에서 부정적인 영향을 받을 것으로 전망된다. 케냐는 노동 집약적이면서 자원집약적인 부문에 비교적 특화되어있고, 반면 한국은 제조업 및 자본 집약적 부문에서 경쟁력이 뛰어난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실용적 정책적 제안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This paper aims to measure the trends of international trade competitiveness of Kenya and Korea by applying the Revealed Comparative Advantage (RCA) Index, the Trade Complementarity Index (TCI), and Trade Intensity Index (TII). This study has applied five alternative RCA indices. RCA and TC indices have been calculated on sectoral level while TI index has been calculated based on total exports and imports. The empirical findings from the five RCAs show that 6 sectors of Kenya and 12 sectors of Korea have significant international trade competitiveness. Strikingly, Korea has revealed comparative disadvantage in sectors in which Kenya has revealed comparative advantage and vice versa. The empirical findings using the trade complementarity index identify 7 sectors in which Kenya has a strong complementarity, whereas Korea shows a strong complementarity in 11 sectors. The empirical results using the TI index illustrate that Korea’s imports from Kenya are below her world import potential. However, the actual exports to Kenya are more than her relative share in world exports. Moreover, the same empirical results using the TII show that Kenya’s actual exports to and imports from Korea are below Kenya’s export and import potentials relative to her world shares. Thus, there is a tangible potential for enhancing bilateral trade between them. The empirical results of this study have consistently shown that Kenya has an international trade competitiveness in labor-intensive and resource-intensive sectors, while Korea is more specialized in the manufacturing and capital-intensive sectors. In consideration of the study’s outcomes, pragmatic policy implications are drawn.

목차

Ⅰ. Introduction
Ⅱ. Bilateral Trade Relations between Kenya and Korea
Ⅲ. Literature Review
Ⅳ. Methodology and Data
V. Empirical Results
VI. Concluding Remarks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Geoffrey Musyoki Kitetu,고종환. (2018).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International Trade Competitiveness of Kenya and Korea. 인문사회과학연구, 19 (1), 313-343

MLA

Geoffrey Musyoki Kitetu,고종환.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International Trade Competitiveness of Kenya and Korea." 인문사회과학연구, 19.1(2018): 313-34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