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한국 청동기·초기철기시대 고고학사 시론

이용수 1895

영문명
A History of Bronze age and Early Iron age Archaeology in Korea
발행기관
한국상고사학회
저자명
이기성(Yi, Kisung)
간행물 정보
『한국상고사학보』제99호, 41~70쪽, 전체 30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8.02.28
6,4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논문은 한반도에서 고고학 조사가 시작된 일제강점기부터 현재까지 청동기시대와 초기철기시대 고고학에 대한 연구 흐름을 정리한 것이다. 한국에서 고고학 연구가 시작된 지 일제강점기를 포함한다면 100년 이상, 해방 이후부터로 보아도 70여년의 시간이 흘렀으며, 지금까지 2,000여개소 이상의 청동기시대·초기철기시대 유적이 발굴 조사되었고, 1,000여편이 넘는 논문이 발표되었다. 그 기간 동안 일제강점기부터 이어져 온 금석병용기의 개념의 폐기, 신석기시대·청동기시대의 구분, 초기철기시대의 설정 등 고고학 연구의 대전제가 되는 시대구분이 이루어졌으며, 유물과 묘제 중심 연구에서 점차 사회상, 취락, 생업 경제에 대한 연구로 변해왔다. 해방 이후 청동기시대 및 초기철기시대 연구의 흐름에서 획기로 볼 수 있는 것들은 대학 박물관협회 발족과 서울대 고고인류학과 개설(1961년), 『한국고고학개설』 발간(1973년), 송국리유적의 발굴(1975년), 신고고학의 수용(1980년대), 발굴 법인의 설립(1994년), 청동기시대 조기의 설정(2000년), 한국청동기학회 발족(2007) 등을 들 수 있다. 본고에서는 지금까지의 연구 흐름을 편의상 10년 단위로 나누어, 해방 이후 50년대의 고고학, 1960년대의 고고학(연구의 여명기), 1970년대의 고고학(정리의 시대), 1980년대의 고고학(연구의 활성화), 1990년대의 고고학(연구대상의 전환), 2000년대의 고고학(연구의 확장)으로 시기를 구분하고, 각 시기별 연구의 현황을 정리하였다. 그와 더불어 북한고고학의 연구 현황과 문제점도 검토하였다.

영문 초록

This paper summarizes the stream of archaeological studies on the Bronze Age and the Early Iron Age from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when the archaeological surveys began on the Korean Peninsula. At least 100 years includ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or at least 70 years exclud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has passed since the beginning of archaeological studies in Korea and more than 2,000 Bronze Age and early Iron Age remains accounting for approximately 20% of all remains excavated were surveyed thus far. In the meantime, more than 1,000 study results were published and the tendency of studies has been changing little by little over time. In the 1980s, studies of relics and burial systems began to rapidly increase and from the beginning of the 1990s, studies of settlements, subsistence economy, and social aspects were remarkable. As the rapid quantitative growth of excavation investigations has been gradually changed into qualitative growth of archaeology since the 2000s, now, the stream of studies thus far should be scholastic-historically reviewed to organize basic data to determine the perspective to view the Bronze Age and the Early Iron Age hereafter. In this paper, the stream of studies thus far was divided by times into prehistoric archaeology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archaeology in the 1950s after the liberation, archaeology in the 1960s (the dawning of studies), archaeology in the 1970s (age of organization), archaeology in the 1980s (activation of studies), archaeology in the 1990s (from the bronze tools to the pottery), and archaeology in the 2000s (from quantitative growth to qualitative growth) and the statuses of studies by time were summarized. In addition, the present situation of North Korean archaeology was reviewed.

목차

Ⅰ. 들어가며
Ⅱ. 양적인 성장과 연구 경향의 변화
Ⅲ. 연구의 흐름
Ⅳ.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기성(Yi, Kisung). (2018).한국 청동기·초기철기시대 고고학사 시론. 한국상고사학보, (99), 41-70

MLA

이기성(Yi, Kisung). "한국 청동기·초기철기시대 고고학사 시론." 한국상고사학보, .99(2018): 41-7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