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고구려 전기 都城 관련 기사의 재검토

이용수 647

영문명
Reserch of Records on Capitals and Replacement of capital in the early Koguryo Dynasty
발행기관
한국외국어대학교 역사문화연구소
저자명
임기환(Lim Ki hwan)
간행물 정보
『역사문화연구』제65집, 3~36쪽, 전체 34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8.02.28
6,8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삼국사기』 高句麗本紀 및 地理志의 고구려 도성 관련 기사 사이에는 상당한 차이가 있다. 이는 고구려본기 찬자와 지리지 찬자가 참고하거나 전거로 삼은 자료가 갖는 차이에서 비롯한다. 지리지 찬자는 고구려의 천도 과정을 卒本(紇升骨城) - 國內城 - 平壤으로 이해하고 있다. 현 고구려본기와는 다른 고기류에 기초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고구려본기에는 산상왕대의 丸都 이거, 동천왕대 平壤城이거, 고국원왕대의 平壤東黃城 이거 기사 등을 포함하고 있다. 다만 지리지 찬자도 다른 고기류에 의거하여 고국원왕대 평양동황성 이거 기사는 알고 있었다. 양 자료의 차이를 파악하기 위하여 고구려본기의 도성 관련 기사를 卒本과 紇升骨城, 國內(城)과 尉那巖城, 丸都(城), 平壤(城)으로 나누어 검토하였다. 卒本이라는 지명의 포함 여부가 전거자료의 계통성을 보여주는 요소가 될 수 있다. 다음 國內(城)과 尉那巖城의 관계인데, 지리지 찬자는 양자를 동일한 지명의 異稱 관계로 파악하고 있다. 고구려본기 고국원왕 12년조의 “又築國內城” 기사는 국내 전승자료로서는 國內城을 표기한 첫 기사이며, 유리왕 22년에 축성된 尉那巖城과 구분된다. 丸都(城)이란 지명은 고구려본기에서 태조왕때 처음 등장하여, 산상왕때 축성과 移都 기사, 동천왕과 고국원왕 때에는 환도성 함락 기사가 이어지고 평양천도 이후인 양원왕대까지 가장 폭넓게 나타나는 도성 지명이다. 또한 『삼국지』 등 중국측 기사에서도 고구려 도성을 대표하는 지명으로 등장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지리지 찬자는 환도성을 안시성의 이칭관계로 파악하고 도성으로서 인식하고 있지 못하며, 국내성과 환도성의 관계도 파악하고 있지 못하다. 반면에 고구려본기 편찬자들은 환도성과 국내성이 동일지역이라고 인식하고 있었다. 양자 사이에 환도성 관련 전거 자료에 상당한 차이가 있었던 것이다. 고구려본기의 평양(城) 기사는 자료계통상 2그룹으로 나누어지는데 동천왕 21년조 “築平壤城” 기사와 고국원왕 4년조 “增築平壤城” 기사는 동일한 평양성을 가르키며, 고국원왕 41년조 평양성 기사 이후 장수왕의 평양 천도 기사까지 이어지는 평양성과는 자료 계통상 구분된다. 고구려본기 고국원왕대 기사에서는 지금까지 살펴본 고구려 도성명 중에서 尉那巖城을 제외하고는 卒本, 平壤城, 丸都城, 國內城, 平壤東黃城이 모두 등장하고 있으며, 각 도성명은 모두 별개의 지명으로 이해된다. 이는 고국원왕대의 기사들이 여러 계통의 기사들이 통합되어 구성되었기 때문이다. 따라서 도성명의 자료 계통성에서 볼 때 고국원왕대가 史書 편찬의 분기점이 되는 시기임도 확인할 수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nalyzes records of Samguksagi(三國史記) on Capitals and Replacement of capital in the early Koguryo Dynasty. There is a considerable difference between Koguryo-Bongi(高句麗本紀) and Koguryo item of Geography-Gi(地理志) in Records on Capital of the early Koguryo Dynasty. This is due to the fact that used comprising sources were different. In order to understand the difference of used comprising sources, analyzes the each records of Jolbon(卒本), Heulseunggol-Castle(紇升骨城), Winaam-Castle(尉那巖城), Gugnae-Castle(國內城), Hwando-Castle(丸都城), Pyeongyang-Castle(平壤城). There is a difference in material systems between records including place names 卒本 and records not including place names Jolbon. Compiler of Koguryo item of Geography-Gi sees Gugnae-Castle and Winaam-Castle as the same Castle. Compiler of Koguryo-Bongi distinguishes between Gugnae-Castle and Winaam-Castle. Compiler of Koguryo item of Geography-Gi sees Hwando-Castle and Ansi-Castle(安市城) as the same Castle. However, did not know that it was the Capital. Compiler of Koguryo-Bongi recognized that Gugnae-Castle and Hwando-Castle in the same area. There was a considerable difference that Compiler of Koguryo-Bongi and Compiler of Koguryo item of Geography-Gi used comprising sources. Pyongyang-Castle records in Koguryo-Bongi, are divided into two groups. In Pyungyang-Castle construction record of the 21st year of King Dongchon(東川王) and the Pyungyang-Castle reconstruction record of 4th year of King Kogukwon(故國原王), Pyungyang-Castle is same place. Pyungyang-Castle in records from the year of 41st of King Kogukwon to capital replacement of 15th year of King Jangsu(長壽王) is same place. Whether the former and latter are in the same area is not known from the records. In the records of King Kogukwon Jolbon, Heulseunggol-Castle, Gugnae-Castle, Hwando-Castle, Pyeongyang-Castle are all appearing except Winaam-Castle. Because the recordss of the king Kogukwon consist of various sources

목차

Ⅰ. 머리말
Ⅱ. 삼국사기 地理志 都城 관련 기사 분석
Ⅲ. 전기 都城 관련 기사 검토
Ⅳ. 맺음말
참고문헌
국문초록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임기환(Lim Ki hwan). (2018).고구려 전기 都城 관련 기사의 재검토. 역사문화연구, 65 , 3-36

MLA

임기환(Lim Ki hwan). "고구려 전기 都城 관련 기사의 재검토." 역사문화연구, 65.(2018): 3-3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