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呂留良의 宗朱闢王의 유학사

이용수 27

영문명
Lü Liuliang’s Views on Confucian History of Zong-Zhu Bi-Wang
발행기관
한림대학교 태동고전연구소
저자명
윤상수(Youn, Sangsoo)
간행물 정보
『태동고전연구』제32집, 97~134쪽, 전체 38쪽
주제분류
인문학 > 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4.06.30
7,3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글에서는 명말청초의 주자학자인 여유량의 유학사에 대한 논의를 ‘종주벽왕(宗朱闢王)’의 측면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여유량의 논의는, 공자와 맹자로부터 시작된 유학의 역사는 주희에 이르러 하나의 정점에 도달하였지만, 이후 쇠락을 길을 걷기 시작하다가 왕수인의 등장으로 인해 결정적인 타격을 입고 결국에는 명청교체라고 하는 민족적 비극을 초래하였다는 것으로 요약할 수 있다. 주자학을 정통으로 보고 양명학을 배척하는 여유량의 입장은, 종래의 명대유학사 연구에커다란 영향을 미쳐왔던 황종희의 명유학안과는 정반대에 서있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여유량의 유학사 인식, 특히 양명학에 대한 부정적 평가는 고염무와 왕부지 등 청초를 대표하는 학자들의 견해와 기본적으로 일치하는 것이었다. 한편, 청초에는 양명학을 긍정적으로 평가하는 입장도 존재하고 있었다. 황종희처럼 양명학을 정통으로 보는 입장뿐만 아니라, 손기봉이나 이옹처럼 양명학을 긍정적으로 평가하면서도 명대의 주자학에 대해서도 그 가치를 인정하거나 양명학과 주자학을 절충하려는 경향도 있었다. 이러한 청초의 다양한 유학사의 인식은, 양명학을 비판하고 극복하려는 흐름을 중심으로 명대유학사를 서술하거나, 혹은 주자학의 흐름 역시 시야에 넣으면서 양명학과 주자학의 상호 관계를 중심으로 명대유학사를 기술하는 것 역시 가능하다는 점을 시사해준다.

영문 초록

This paper examines Lü Liuliang(呂留良)’s views on Confucian history, focusing on the aspect of Zong-Zhu Bi-Wang(宗朱闢王, that is, venerate Zhu Xi朱熹 and dismissed Wang Shouren王守仁). Lü Liuliang, an adherent of the teachings of Zhu Xi, advocated the view that the history of Confucianism that had been initiated by Confucius and Mencius reached its apex in Zhu Xi, followed by a gradual downfall, which culminated in the decisive blow that was the appearance of Wang Shouren, ultimately resulting in the Ming-Qing Transition, a historical tragedy for the entire nation. Lü Liuliang’s position against Yangming studies in favor of Zhuzi studies, acknowledging the latter as the authentic line of Confucianism, can be considered the opposite of the position of Ming Ru Xue An(明儒學案) as championed by its author, Huang Zongxi(黃宗羲), who had great influence over the studies of Ming dynasty Confucian history. In principle, however, Lü Liuliang’s understanding of Confucian history, particularly his negative evaluation of Yangming studies, was consistent with the views of the scholars representing the early Qing period, such as Gu Yanwu(顧炎武) and Wang Fuzhi(王夫之). Meanwhile, there were also positions in favor of Yangming studies in the early Qing period. Not only was there a position recognizing Yangming studies as the authentic line, as represented by Huang Zongxi, there were also tendencies that recognized the value of Zhuzi studies in the Ming dynasty or that synthesized Yangming and Zhuzi studies while remaining essentially in favor of Yangming studies, as represented by Sun Qifeng(孫奇逢) and Li Yong(李顒). Such diversity of views on Confucian history in the early Qing period suggests the possibility of analyzing the history of Ming dynasty Confucianism by focusing on the tendency critical and in opposition to Yangming studies or by examining the interactions between Yangming and Zhuzi studies while broadening the horizon to include Zhuzi studies tendencies.

목차

1. 서론
2. 朱熹의 지위
3. 朱熹의 후학
4. 王守仁의 등장
5. 王學左派
6. 東林의 경우
7. 淸初의 상황
8. 절충적 경향
9.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윤상수(Youn, Sangsoo). (2014).呂留良의 宗朱闢王의 유학사. 태동고전연구, 32 , 97-134

MLA

윤상수(Youn, Sangsoo). "呂留良의 宗朱闢王의 유학사." 태동고전연구, 32.(2014): 97-13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