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成渾의 人心道心共發說

이용수 27

영문명
Concerning Seong Hon’s argument of consciousness -a counterargument on regarding it as eclecticism-
발행기관
한림대학교 태동고전연구소
저자명
최천식(Choe, Cheonsik)
간행물 정보
『태동고전연구』제32집, 73~96쪽, 전체 24쪽
주제분류
인문학 > 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4.06.30
5,6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성혼(成渾)은 일반적으로 이황(李滉)의 철학과 이이(李珥)의 철학을 절충한 사람으로 평가 받고 있다. 성혼은, 감정이 아직 일어나지 않았을 때부터 인심과 도심의 싹이 나뉘어 있는 것은 아니지만 감정이 일어나는 순간 인심과 도심이 동시에 발출한다는 견해를 제시했다. 미발(未發)에 관한 언급은 이이의 기발리승일도설(氣發理乘一途說)과 같고 이발(已發)에 관한 언 급은 이황의 호발설(互發說)과 유사해 보이기 때문에, 이것이 성혼의 철학을 이황 철학과 이이 철학의 절충으로 보는 주요한 근거가 되었다. 그러나 이이의 기발리승일도설과 이황의 호발설은 각각 미발과 이발을 관통하는 이론이어서 미발과 이발로 절단할 수도 없고, 또 두 명 제가 모순관계에 놓여있기 때문에 두 명제를 절충할 수도 없다. 이황의 호발설이 담고 있는 의미를 호발(互發)과 상수(相須)로 나누어 그 대응관계를 살펴보면, 호발과 모순관계에 놓여 있는 것은 성심정의일로설(性心情意一路說)이고, 상수와 모순관계에 놓여있는 것은 기발리승일도설이다. 이 점을 혼동하면 많은 오해가 일어날 수밖에 없다. 이황의 상수설을 부정하고 들어가면, 이이의 기발리승을 주장하면서 동시에 인심도심의 공발(共發)을 주장할 가능성은 그대로 열려 있고, 이러한 가능성을 밀고나간 것이 성혼의 인심도심공발설(人心道心共發說)이다. 기존연구에서는 성혼 철학과 이황 철학의 연관성에 주목해서 성혼의 철학을 ‘이이 철학과 이황 철학의 절충’으로 규정했지만, 성혼 철학과 이황 철학 사이의 연관성은 미미하다. 칠정과 사단, 인심과 도심에 관하여 성혼이 사용하는 개념은 이황이 규정하고 있는 개념이 아니라 이이가 규정하고 있는 개념이고, 호발이라는 이름을 차용하기는 했지만 칠정을 인심으로 보는 것 외에는 이황의 호발설과 공통점이 없다. 이러한 차이는 수양론에서 극명하게 드러난다. 성혼 철학을 ‘절충’으로 규정해온 기존 논의는 재고되어야 한다.

영문 초록

Seong Hon(成渾) is generally estimated as the first representative of the eclectic school. Most of researchers believe that the eclectic school partly accepted Yi Hwang (李滉)’s and Yi Yi(李珥)’s theory of emotion, feeling, heart, mind and conciousness. Seong Hon argued that the unmoral consciousness(人心) and the moral consciousness(道心) are issued simultaneously at the exact moment when emotion is generated, and that those do not exist until emotion starts to be issued. Those who regard Seong Hon’s as eclecticism think as follows : the argument that two kinds of consciousness are issued had been accepted from the Yi Hwang’s, and the argument that those do not exist until emotion starts to be issued had been accepted from the Yi Yi’s. But Yi Hwang’s and Yi Yi’s theory are incompatible with each other. Yi Hwang asserted that there are moments when the impartial emotion(道心) is issued as well as the usual emotion(人心) is. But it is impossible that two kinds of emotions are issued simultaneously in the Yi Hwang’s, and the concept Yi Hwang addressed is not “consciousness” but “emotion”. On the other hand, Seong Hon’s viewpoint about li(理) and ki(氣) is identical to the Yi Yi’s, for both Seong Hon and Yi Yi argued that emotion and consciousness belong to ki(氣).

목차

1. 서론
2. 서로 다른 의미의 氣發理乘
3. 相須說을 부정하는 互發說
4. 矯氣質의 부정
5.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최천식(Choe, Cheonsik). (2014).成渾의 人心道心共發說. 태동고전연구, 32 , 73-96

MLA

최천식(Choe, Cheonsik). "成渾의 人心道心共發說." 태동고전연구, 32.(2014): 73-9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