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슴베찌르개의 형태적 다양성과 기능의 분화 - 수양개⋅진그늘⋅용산동유적을 중심으로 -

이용수 734

영문명
Morphological Diversity and Functional Differentiation of Tanged-Point: focused on Suyanggae, Jingeuneul and Yongsandong site
발행기관
한국구석기학회
저자명
김은정(Eun-jeong, KIM)
간행물 정보
『한국구석기학보』제36호, 29~47쪽, 전체 19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7.12.30
5,0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한반도에서 슴베찌르개가 대량으로 출토된 3군데 유적-수양개⋅진그늘⋅용산동-을 대상으로 , 슴베찌르개의 크기, 등면에 남아있는 뗀방향, 몸체인 격지의 잔존부 확인, 슴베 및 옆 가장자리의 손질 정도 등을 검토하였다. 특히 몸체 분석에서는 긴격지의 굽-몸 통-위끝을 잇는 몸체 전체가 온전히 남아있는지, 아니면 파손되거나 부러진 채 어느 일부분만 남아있는지를 중요하게 살폈다. 그리고 형태 분석을 위해 슴베부-(몸통부)-찌르 개부로 이어지는 석기의 전체 형태 중에서 손질 기법의 차이가 명확한 슴베부와 찌르 개부의 양옆 가장자리 잔손질 방식을 주로 살폈다. 나아가 각 분석 항목을 교차 검토하여 석기 형태 변화의 상관관계를 살펴, 형태적 다양성이 생기는 원인을 석기의 제작및 수리의 작업연쇄 과정에서 파악하였다. 그리하여 슴베찌르개의 형태적 다양성은 격지의 잔존 부위와 옆 가장자리 손질 사이의 상관관계로부터 비롯됨을 확인하였다. 여기에 더해 슴베찌르개의 주된 기능을 추정해 보고자, 수리 과정을 거쳤다고 볼수 있는 석기를 대상으로 형상의 대칭성 및 석기축의 변화 관계를 살폈다. 그리하여 격지 전체가 남아있는 완형 석기의 관찰로 슴베찌르개의 제작 방법을, 격지의 일부분만 남아있는 완형 석기의 관찰로부터 슴베찌르개의 수리(재생) 방식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수리 과정에서 볼 수 있는 격지 잔존 부위의 축소 , 석기축의 전환 여부와 대칭성의 상관관계로부터, 석기의 기능이 동일하게 유지되는 ‘재생 석기(슴베찌르개)’ 와 석기 기능이 전환되는 ‘전용 석기’로 구분하였다. 슴베찌르개의 원형은 세로축에 대칭인 긴격지가 몸체로, 굽부의 양옆 가장자리에 면조정에 의한 슴베가 조성되어 있고, 위끝부의 양옆 가장자리가 격지축에서 만나 뾰족날이 이루어진 찌르는 도구라고 정의할 수 있다. 그런데 전용 석기는 슴베가 조성되어 있으나 몸체는 격지의 일부분만 남아있고, 슴베찌르개에 비해 훨씬 적은 수량을 차지하고 있으며, 무엇보다도 손질에 의해 대칭이 흐트러진 상태이다. 이러한 점을 생각 하면 슴베찌르개의 파손 및 수리 과정에서 잔존한 몸체의 조건에 따라 석기의 기능이 전환되었을 가능성을 추정할 수 있다. 그리하여 파손된 슴베찌르개로부터 수리 및 재활용 과정에서 기능이 전환된 전용 석기를 슴베찌르개와 구분하기 위해 ‘슴베형석기’ 라는 명칭을 제안하였다. 아울러 석기의 형태적 특징은 도구의 기능과도 연계되므로, 날의 형태와 대칭성에 근거하여 찌르는 날을 갖춘 슴베찌르개와 찌르고 자르는 날, 둥근날 등으로 손질한 ‘슴베형석기(전용 석기)’로 구분하였다. 곧 석기의 제작 및 수리와 연계된 형태적 변화⋅변이는 석기의 재생⋅전용의 재활용 시스템에서 이해할 수 있다.

영문 초록

A large number of Tanged-points(over 294) have been excavated in the Korean peninsula. In this study, we examined the sizes of Tanged-points, the direction of the debitage on the upper face (dorsal), the remaining parts of the blank(flake), and the retouch of tangs and side-edges. And we conducted a cross analysis between analysis items to examine correlations in morphological change aspects of stone tools and to identity the causes of such morphological diversity in a series of working processes of ‘manufacturing-use-breakage-repair’. As a result, we presumed the morphological diversity of Tanged-points has been derived from correlations between the remaining parts of the blank and the retouch of side-edges. In addition, in order to find out the main functions of Tanged-point, we examined the change relations between the morphological symmetry and tool axis by targeting stone tools that underwent repairing processes. In case of stone tools in a complete shape with the whole blank remaining, we analyzed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Tanged-point. We checked the repairing (recycling) methods of Tanged-point by observing complete-type stone tools with the partially remaining blank. Based on correlations between the downscaling of the remaining part of the blank, the presence or absence of axis transition, and symmetry, we classified them into two categories: ‘reproduced stone tools (Tanged-point)’, which maintain the same function, and ‘repurposed stone tools’, of which the function has been changed. The Tanged-point is a thrusting tool which has a long flake symmetrical with the vertical axis comprising the blank and has a tang formed by blunting on the edges of the both sides of the proximal part, and has a sharp blade formed where the edges of both sides of the distal part meet with the blank axis. Repurposed stone tools, which have some remaining parts of the blank and preserve the tang, has a remarkably smaller number compared to Tanged points. Given this, we can assume that the purposes of stone tools have changed in the breakage and repair processes of Tanged points, depending on the conditions of the remaining blanks. In this study, we named those stone tools which were recycled from broken stone tools as ‘Tanged-tool’ to distinguish them from ‘Tanged-point’. In addition to this, the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stone artefacts are associated with their functions, and according to shapes of edge and symmetry, those with thrusting edge are classified as ‘Tanged-point’, while those whose edge are repurposed for piercing and cutting are classified as ‘Tanged-tool’.

목차

Ⅰ. 머리말
Ⅱ. 연구 경향 및 분석 방법
Ⅲ. 슴베찌르개 분석
Ⅳ. 고찰:슴베찌르개의 형태적 다양성과 기능의 분화
Ⅴ.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은정(Eun-jeong, KIM). (2017).슴베찌르개의 형태적 다양성과 기능의 분화 - 수양개⋅진그늘⋅용산동유적을 중심으로 -. 한국구석기학보, (36), 29-47

MLA

김은정(Eun-jeong, KIM). "슴베찌르개의 형태적 다양성과 기능의 분화 - 수양개⋅진그늘⋅용산동유적을 중심으로 -." 한국구석기학보, .36(2017): 29-4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