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광복 이후 한국음악 공연물의 흐름과 변화

이용수 266

영문명
A Study on the Trends and Changes in Korean Music Performances after the Liberation - The Cases of the National Gugak Center and the Seoul Metropolitan Traditional Orchestra
발행기관
국립국악원
저자명
임혜정(Im Hye jung)
간행물 정보
『국악원논문집』제36집, 157~185쪽, 전체 29쪽
주제분류
예술체육 > 음악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7.12.20
무료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광복 이후 1960년대 중반까지의 한국음악 공연물들은 서구식 무대에 맞게 전통음악을 바꾸어 나가는 것에 집중하는 양상이었다. 이러한 과정은 이왕직아악부의 전통을 잇는 음악인과 민간음악인들의 구분이 뚜렷한 상황에서 진행되었다. 그러나 1960년대 중반 이후부터 오늘날까지는 국립국악원과 서울시국악관현악단의 예에서 볼 수 있듯이, 한국음악 공연물의 흐름과 변화는 시대별로 공통되었다. 1960년대 중반 이후 1970년대까지의 한국음악 공연물에서는 대규모화, 창작곡의 증가, 관현악곡의 개발, 완창 완주와 같은 연주 방식의 등장 등을 새로운 시도로 찾아볼 수 있었다. 그리고 이러한 시도들에 공통적으로 부여된 의미는 한국음악의 “현대화”였다. 1980년대 이후부터, 눈에 띄는 부분은 한국음악 공연물의 청중의 폭이 젊은 층으로 확대되는 현상이다. 청소년층 외에도 어머니와 어린이, 대학생 등 청중 층을 특화하는 연주회는 1980년대 이후 1990년대까지 한국음악 공연물이 ‘대중화’라는 모토를 갖고 전진해 나가는 기반을 마련해 준다. 이와 같은 분위기 속에서 한국음악공연물의 양적 질적 확대가 이루어졌으며 나아가서는 ‘예술성’의 추구로 이어졌다. 21세기에 들어서면서부터는 특히 ‘공연콘텐츠 개발’ 관련 논의가 한국음악공연과 관련해서도 활발하게 이루어졌으며 그 연장선상에서 한국의 역사 및 문화와 관련된 스토리를 음악과 함께 곁들인 공연물이 등장했다. 그리고 21세기의 한국음악 공연은 대중매체나 인터넷상으로까지 공연의 공간을 확장하고 있다. 이와 같이 21세기 이후의 한국음악은 ‘미래’에 방향성을 맞추고 있기는 하지만 ‘전통성’으로 그 가치를 제시하는 공연물들이 많이 보이고 있다. 이는 21세기 이후 전통성은 그야말로 낡고 오래된 것이라는 의미가 아닌, 한국 문화 고유의 가치를 그대로 지니고 있는 “명품”으로서 재평가 받고 있는 시대적 분위기를 반영한 것이기도 하다.

영문 초록

After the liberation, the Korean music community struggled to change the way of performance in order to match the western theater. These western-style theater performances were conducted independently by the court music and folk music groups. However, in the 1960s and 1970s, as the pride of the traditional culture of civil society grew, the attention of the public changed to Korean music in the 1980s. As a result, a variety of new performances in response to the needs of the public began to be attempted. From the mid-1960s to the 1970s, new approaches such as large scale instrumentation, increase in newly composed music, and the development of orchestral music were attempted and the general meaning of this attempt was “modernization” of Korean music. Since the 1980s, Korean music performances have begun to actively expand the audience to younger audiences. In addition to the youth group, the performers selected performance repertoires for specific audiences such as parents and children, and college students, and attempted new forms of performance that included commentary and demonstration of the tone and function of each instrument and music. These performances provided the foundation for moving forward with the motto of ‘popularizing Korean music performances’ from the 1980s to the 1990s. On the basis of these kinds of movements,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expansion of Korean music performances has been achieved, leading to the pursuit of ‘artistry’ in Korean music performances. From the beginning of the 21st century, discussions on “development of performance contents” have been actively conducted in relation to Korean music performances. On this perspective, performances accompanied by music and stories related to Korean history and culture have appeared. Although Korean music is oriented toward ‘future’ after the 21st century, there are also many performances that try to maintain ‘traditionality’. Since the 21st century, traditionality has not been reckoned as old and old, but it has been reevaluated as a “masterpiece” that has the value of Korean culture. This attempts by the performing group reflects the atmosphere of the times. It is also noticeable that Korean music performances in the 21st century are expanding the space of performances to mass media and the Internet. This is an attempt to introduce a modern element in the way of meeting the audience, or enjoying music, while maintaining the traditionality in the music itself in solving the task of modernizing Korean music.

목차

국문초록
Ⅰ. 머리말
Ⅱ. 1945~1964: 한국음악 공연물의 기반 마련
Ⅲ. 1965~1980: 다양한 공연물의 등장과 “현대화”
Ⅳ. 1981~1999: “대중성”의 추구와 “예술성”에 대한 고민
Ⅴ. 2000~2014: “전통성”과 현재, 미래
Ⅵ. 맺음말
참고자료
Abstract
부록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임혜정(Im Hye jung). (2017).광복 이후 한국음악 공연물의 흐름과 변화. 국악원논문집, 36 , 157-185

MLA

임혜정(Im Hye jung). "광복 이후 한국음악 공연물의 흐름과 변화." 국악원논문집, 36.(2017): 157-18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