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영조(英祖) 17~19년 악기·악학(樂學)의 재정비와 그것의 정치적 함의

이용수 199

영문명
Reorganization of Musical Instruments and Musicology during the 17th to 19th Year of King Yeongjo’s reign, and Its Political Undertone
발행기관
국립국악원
저자명
윤태양(Yun Tae yang)
간행물 정보
『국악원논문집』제36집, 25~45쪽, 전체 21쪽
주제분류
예술체육 > 음악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7.12.20
무료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조선 영조(英祖, 재위 1724~1776)는 재위 기간 동안 예악(禮樂)의 문제에 큰 관심을 보였으며, 정치적으로도 재위 17년(1741) 이후 신임옥사(辛壬獄事)에 대한 신원(伸冤) 조치 등을 실시하고 이조(吏曹) 낭관(郎官)·한림(翰林)의 추천권 개혁, 사원(祠院) 훼철 등의 정치적 사업이 진행되면서 안정적으로 왕권을 행사하였다. 영조 17~19년 동안 악(樂)에 대해 영조가 보인 관심과 그에 기반을 둔 국가적 사업 또한 이러한 왕권의 행사와 무관하지 않았을 것이다. 이와 관련하여 주목할 만한 사업으로 황단(皇壇, 大報壇)의 아악기(雅樂器) 제작 사업과 『악학궤범(樂學軌範)』의 재간 및 「어제악학궤범소서(御製樂學軌範小序)」의 작성, 「하황은(荷皇恩)」의 작성을 꼽을 수 있다. 영조 17년에 진행된 황단 아악기 제작 사업은 출범 당시에는 영조가 두드러지게 개입하지 않았으나, 세종 조에 제작하였던 편경(編磬) 유물이 발견되면서 영조가 이를 친견(親見)하는 등 영조의 큰 관심을 받았다. 이후 영조는 이연덕(李延德)으로 대표되는 악기조성청의 인원과 활발히 접견하면서, 황단 아악기의 제작이 완료된 이후에도 악기의 제작에 대해 높은 관심을 보이며 관련 사업을 진행하였다. 그 시기상 이는 영조의 권위를 확고히 하고자 황단 아악기 제작사업을 정치적으로 이용한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영조 18년 『악학궤범』이 재간된 것은 이상의 상황을 배경으로 하였다. 이 때 영조는 「어제악학궤범소서」를 작성하여 국초의 황은과 세종 조의 “대거예악(大擧禮樂)”, 그리고 영조 본인이 진행한 악(樂) 정비 사업 등을 강조하였다. 또한 이를 매개로 숙종(肅宗) 대의 진연(進宴)을 의식하여 효(孝)를 강조하는 발언을 하면서 그에 대한 우호적 태도를 드러냈다. 이어 영조 19년에는 다소의 우여곡절이 있었으나 진연 개최에 대한 상소를 격식을 조정하는 조건으로 받아들여 어연(御宴)이라는 이름으로 실행하였다. 이 어연 중 대왕대비를 위한 양로연에서 영조는 「하황은」 등의 악곡을 사용하도록 하였으며, 특히 「하황은」은 본인이 직접 존명의리(尊明義理)를 강조하는 새로운 사장(詞章)을 짓고 이를 『악학궤범』의 「어제악학궤범소서」와 함께 수록하도록 하는 등 직접 개입하여 본인의 정치 이념적 의지를 드러냈다. 이러한 영조 18~19년의 악학(樂學) 사업은 영조 재위 20년을 전후로 “예악형정(禮樂刑政)”을 상징하는 서적 등이 대대적으로 출간되는 것과 근접한 시기에 이루어졌으며, 영조 17년 이후 정권이 안정되었음을 상징하는 조치 중 하나였다. 이후에도 영조 25년 홍무제의 황단 배향을 논의하는 자리에서 「하황은」을 이용하는 등, 영조는 이후에도 재위 17~19년을 전범(典範)으로 하여 예악을 통해 군주의 권위를 확립하려 시도하였다. 이 기간을 거치면서 악(樂)은 국초의 황은과 “대거예악(大擧禮樂)”의 시대인 세종 조, 그리고 현재의 영조 조를 연결하는 매개체가 되었으며, 영조는 이를 당대와 후대의 정치 무대에서 활용했다. 이는 영조 17년 이후의 정치적 상황이 안정되었음을 상징하는 장면 중 하나로, 영조가 자신의 대에 정비된 “예악형정(禮樂刑政)”의 양태를 과시하는 데도 기여하였다.

영문 초록

King Yeongjo (r.1724~1776) of Joseon Dynasty showed great interest in courtesy and music during his reign. In other hands, he exercised stable political power after the 17th year (1741) of his reign. His interest in music from the 17th to 19th year of his reign and the national projects based on this interest are thought to be related to the exercise of his royal authority. The project to project to make the instruments to play East-Asia Courtesy Music used at hwangdan, which was proceeded at the 17th year of his reign, started incidentally. At first, King Yeongjo didn’t intervene directly in the project. However, after the relics of pyeon-gyeong (East-Asian percussion instrument made of stone) made during the period of King Sejong had been discovered, King Yeongjo showed great interest in it, examining those relics in person. From this time, King Yeongjo actively met members of Akgi Joseong-cheong (Office for producing musical instruments), represented by Yi Yeondeok. Furthermore, even after the completion of the instrument-making project, he displayed special interest in the production of musical instruments and proceeded related projects. Considering the chronological sequence, it can be estimated that King Yeongjo used the instrument project to politically reinforce his royal authority. Those events became the background of the republishment of Akhawgwebeom (Book on the Standard of Musical Study) at the 18th year of his reign. When this book was republished, he drew up The Short Preface of Akhakgwebeom by King Yeongjo. In this text, he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the imperial benevolence at the beginning of Joseon Dynasty, “great development of courtesy and music” at the period of King Sejong, and the projects of King Yeongjo himself to reorganize music. In addition, using the book as a medium to remind bureaucrats of jin-yeon (court banquet) at the time of King Sukjong, he uttered the words accentuating filial piety, showing his favorable attitude toward King Sukjong. Although there were difficulties, he finally holded eo-yeon (royal banquet) in the 19th year of his reign. King Yeongjo directed to use hymns including Hahwangeun (Hymn to appreciate the imperial benevolence) during yangroyeon in this eoyeon event. Especially in the Ha-hwang-eun, he included a new poetic literature that he recomposed himself to emphasize honoring the Ming dynasty and maintaining loyal righteousness. He also had it contained into The Short Preface of Akhawgwebeom by King Yeongjo on Akhawgwebeom. Like this, by intervening in these events in person, he disclosed his will on political ideology. Those projects on music from the 18th to 19th year of his reign were accomplished around the period of the publishment of the books on “courtesy, music, law enforcement, and political principle”, which was near the 20th year of his reign, and they symbolized the stabilization of the regime after 17th year of his reign. Even after the period, he tried to reinforce the royal authority through courtesy and music, establishing the period of 17th to 19th year of his reign as a standard. Going through the period, music became the medium that linked the initial stage of Joseon Dynasty which was the years of the imperial benevolence, the period of King Sejong when “courtesy and music were greatly developed”, and the period of King Yeongjo himself. King Yeongjo utilized this not only in his period of reign but later. As a proof symbolizing the stability of political situation after the 17th year of King Yeongjo’s reign, it contributed to his showing off the “courtesy, music, law enforcement, and political principle” which were reorganized during his reign.

목차

국문초록
Ⅰ. 머리말
Ⅱ. 황단(皇壇) 아악기(雅樂器) 제작과 그 의미
Ⅲ. 『악학궤범(樂學軌範)』의 재간과 어연(御宴)의 정치 이념적 이용
Ⅳ. 맺음말
참고자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윤태양(Yun Tae yang). (2017).영조(英祖) 17~19년 악기·악학(樂學)의 재정비와 그것의 정치적 함의. 국악원논문집, 36 , 25-45

MLA

윤태양(Yun Tae yang). "영조(英祖) 17~19년 악기·악학(樂學)의 재정비와 그것의 정치적 함의." 국악원논문집, 36.(2017): 25-4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