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다산 정약용의 군주론과 『경세유표 』

이용수 385

영문명
Jeong Yakyong s Monarch Theory and Gyeongseyupyo (經世遺表)
발행기관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저자명
김태희(Kim, Tae Heui)
간행물 정보
『동방학지』동방학지 제181집, 71~97쪽, 전체 27쪽
주제분류
인문학 > 기타인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7.12.30
6,0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원목 , 탕론 , 일주서극은편변 의 세 논설은 일관성을 유지하고 있다. 원목 에서 군주의 기원을 밝히고 군주 권력의 정당성이 민에 있음을 선언했다(‘牧爲民有’). 탕론 에서 ‘하이상(下而上)’의 원칙을 다시 밝히고, 군주 교체의 정당성과 한계를 제시했다. 이러한 논의는 일 주서극은편변 에서 ‘제명(帝命)’과 ‘후대(侯戴)’의 두 개념으로 정리했다. 군주론(君主論)이요 민론(民論)이며 민의(民意)와 천명(天命)이 강조되지만, 현실적으로는 제후(諸侯)와 같은 중간 지도자와 ‘지천명자(知天命者)’와 같은 현명한 신료가 중요한 존재가 되어 있다. 다분히 엘리트주의적이다. 세 논설에서 ‘옛날’과 ‘지금(또는 후세)’으로 시대를 구분하고 있는데, 이는 방편의 성격이 강하다. 즉 현실의 좁은 인식의 한계를 넘어 현실을 지양할 수 있게 하고, 이념형을 대립적으로 제시함으로써 바람직한 형태를 지향할 수 있게한다. 『경세유표』는 군주의 소임과 바람직한 군주상을 제시한 것으로, 군주권의 근거를 밝힌 세 논설과 그 논의의 초점이 다르다. 『경세유표 』는 황극(皇極)으로 표현되는 강력한 군주와 ‘군주 중심의 일원적 관료 시스템’을 지향하고 있다. 그러나 강력한 군주는 전제적 절대군주가 아니다. 왕정(王政)의 시행을 위해 공적(公的) 시스템이 효율적으로 작동하게 하는 최종책임자로서의 의미를 가진다. 지도자의 부지런함과 치밀함을 요구하는 유위(有爲)의 정치론이 이를 뒷받침한다. 군주중심이고 사공적(事功的)이지만, 공적(公的) 존재로서의 신료를 강조하고 궁극적으로 도덕적 사회를 지향함으로써 유가적(儒家的) 특성을 벗어나진 않고 있다. 다산의 군-신-민의 3단계 구조에서 각자는 매우 적극적인 지위를 점하고 있다. 상호 보완적성격을 띠지만, 문제적 상황에서는 ‘견제와 균형’의 원리와 비견할 만한 긴장관계를 조성할 가능성이 있다.

영문 초록

There is logical consistency between Wonmok (原牧) , Tangron (蕩論) and Iljuseogeukeunpyeonbyeon (逸周書克殷篇辨), which were all written by Jeong Yakyong (丁若鏞, 1762-1836). In Wonmok, he proved the origin of the monarch and declared that the legitimacy of power lay in people. He showed the principle of “Up from below (下而上)” again and the justification and limitations of changing the ruler in Tangron . His discussion was summarized in “Jemyeong (帝命)” and “Hudae (侯戴)” in Iljuseogeukeunpyeonbyeon . His monarch theory emphasized the will of the people and Heaven s will. Middle leaders such as Jehu (諸侯) and wise advisers who knew Heaven s will were also important. His discussion was rather elitist. In his three articles, he invoked two periods: the past and present. This was a kind of expedient to overcome cognitive limitations and suggest an opposite ideal type. Gyeongseyupyo (經世遺表) detailed what should been done by the monarch and what a desirable monarch is like. The three article outlined where the power of the monarch came from. In Gyeongseyupyo, a strong monarch as Hwanggeuk (皇極) and a unitary bureaucratic system are advocated. The strong monarch is not an absolute monarch, but the final man responsible for making the public system work efficiently to realize Wangjeong (王政). In this one-elite-people system, each position has a very positive meaning.

목차

1. 머리말
2. 군주권의 근거(군주 권력의 정당성)
3. 경세유표에 나타난 군주론
4.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태희(Kim, Tae Heui). (2017).다산 정약용의 군주론과 『경세유표 』. 동방학지, 181 , 71-97

MLA

김태희(Kim, Tae Heui). "다산 정약용의 군주론과 『경세유표 』." 동방학지, 181.(2017): 71-9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