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용수의 중관사상에서 중도 개념 재검토

이용수 328

영문명
A Re-examination on the Middle-Way Conception in Nagarjuna’s Madhyamaka Thought
발행기관
보조사상연구원
저자명
남수영(Nam, Sooyoung)
간행물 정보
『보조사상』普照思想 第46輯, 133~168쪽, 전체 36쪽
주제분류
인문학 > 불교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7.08.31
7,1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논자는 본 연구에서 ‘1) 용수의 중도 개념에는 과연 실천적 의미가 포함되어 있는 것인가, 포함되어 있지 않은 것인가? 2) 만약 용수의 중도 개념에 실천적 의미가 포함되어 있다면, 그것은 보살의 수행 과정에서 어떤 역할을 하는 것인가?’라는 의문을 제기하고, 보행왕정론, 중송, 마하반야바라밀경, 대지도론 등을 중심으로 용수의 중도 개념을 보살행과 관련하여 검토하였다. 중송과 회쟁론 등에 따르면, 용수의 중도 개념은 ‘연기, 무자성, 공, 가명, 비유비무, 불생불멸, 불거불래, 불일불이, 불상부단’의 의미를 포함한다. 그것들은 모두 일체법의 진실을 설명하는 것이기 때문에, 그에 따라 용수의 중도 개념을 한마디로 요약하면 ‘일체법의 진실’이라는 의미가 된다. 그와 같은 용수의 중도 개념에는 실천적 의미가 포함되어 있지 않은 것처럼 보인다. 그러나 중송에 대한 구마라집의 번역과 대지도론의 언급에 의하면, 용수의 중도 개념은 ‘일체법의 진실’만이 아니라, ‘불타의 진실지’와 ‘보살의 진실지’라는 의미를 포함한다. 용수에 의하면 보살의 ‘진실지’는 보살을 일체법의 자성에 대한 무인식으로 인도하여, 보시와 지계 등에 대한 희론과 분별과 집착과 번뇌를 모두 제거함으로써, 보살의 여섯 가지 보살행을 청정하고 완전한 육바라밀로 변모시킨다. 용수가 ‘무집착 의 보살행’을 ‘청정하고 완전한 것’이라고 생각했던 이유는 불타의 가르침에서 발견된다. 사성제의 가르침에 따르면 무집착은 열반의 특징이고, 열반은 모든 번뇌의 더러움을 떠난 청정하고 완전한 것이기 때문이다. 용수에 의하면 보살의 진실지는 보살행의 완성 과정에서 다음과 같은 역할을 한다. 첫째, 보살의 진실지는 자비의 자성을 인식하지 않도록 하여, 보살의 마음을 자비의 자성에 머물지 않도록 함과 동시에 자비에 대한 희론과 분별과 집착과 번뇌를 소멸하여, 보살의 자비를 청정하고 완전한 것으로 완성한다. 둘째, 보살의 진실지는 보살로 하여금 보시와 지계 등의 자성 을 인식하지 않도록 하고, 그것들에 대한 희론과 분별과 집착 과 번뇌를 모두 제거함으로써, 여섯 가지 보살행을 청정하고 완전한 육바라밀로 변모시킨다. 셋째, 보살의 진실지는 육바라밀을 반복적으로 실천하는 십지의 각 단계에서 육바라밀의 자성을 인식하지 않도록 함으로 써, 보살의 육바라밀을 희론과 분별과 집착과 번뇌가 소멸한 청정하고 완전한 것으로 유지하여, 마침내 무상정등각을 성취 하도록 돕는다. 넷째, 보살의 진실지는 무상정등각의 자성을 인식하지 않도록 하여, 무상정등각에 대한 희론과 분별과 집착과 번뇌를 제거함으로써, 보살의 무상정등각을 청정하고 완전한 것으로 유지한다. 이로부터 용수의 중도 개념은 ‘일체법의 진실’이라는 의미만이 아니라, 그와 같은 일체법의 진실을 아는 ‘진실지’라는 실천적 의미도 함께 포함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왜냐하면 진실지는 용수가 보행왕정론에서 제시한 보살행의 3요소 가운데 하나로서, 보살의 자비와 육바라밀을 청정하고 완전한 것으로 완성하여 무상정등각을 성취하도록 도울 뿐 아니라, 그가 성취 한 무상정등각을 청정하고 완전한 무상정등각으로 유지하는 역할을 하는 보살행의 완성을 위한 필수적인 요소이기 때문이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following two the questions. 1) Will Nagarjuna’s middle-way concept includes a practical meaning, or not includes? 2) If Nagarjuna’s middle-way concept includes any practical meaning, what roles do it in the bodhisattva-practice? Now, summarizing the research contents are as follows. The Nagarjuna’s middle way concept contains the practical meaning of ‘the truth-knowing-wisdom(眞實智)’, and it is indispensable element for the completion of the bodhisattva-practice(菩薩行). Because the truth-knowing-wisdom serves to lead the bodhisattva to the highest-enlightenment(無上正等覺) which is the completion of compassion(慈悲) and six-paramitas(六波羅蜜), as well as it roll in making the bodhisattva’s highest-enlightenment clean one. More specifically, the truth-knowing-wisdom has the following roles in the bodhisattva-practice. 1)The truth-knowing-wisdom make bodhisattva’s compassion clean one, by removing the expansion of meaning(戱論), discernment(分別), attachment(執着), and defilement(煩惱) of compassion, by making bodhisattva not to recognize the svabhava(自性) of compassion. 2) The truth-knowing-wisdom make changes boddhisattva’s six boddhisattva-practice, giving(布施), morality(持戒) etc., into the clean six-paramitas, by removing the expansion of meaning, discernment, attachment, and defilement of giving, morality etc. by making bodhisattva not to recognize the svabhava of giving, morality, etc.. 3) The truth-knowing-wisdom help to complete six-paramitas and acchievement of the highest-enlightenment by maintaining bodhisattva’s six-paramitas clean one which removed the expansion of meaning, discernment, attachment, and defilement, by making boddhisattva not to recognize the svabhava of six-paramitas in each stages of 10steps-performing(十地) in which bodhisattva repeatedly practice the six-paramitas. 4) The truth-knowing-wisdom help to complete the highest-enlightenment clean one by removing the expansion of meaning, discernment, attachment, and defilement, by making boddhisattva not to recognize the svabhava of the highest-enlightenment.

목차

I. 서론
II. 진실과 진실지
III. 진실지와 육바라밀의 성취
IV. 진실지와 무상정등각의 성취
V.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남수영(Nam, Sooyoung). (2017).용수의 중관사상에서 중도 개념 재검토. 보조사상, 46 , 133-168

MLA

남수영(Nam, Sooyoung). "용수의 중관사상에서 중도 개념 재검토." 보조사상, 46.(2017): 133-16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