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세친의 극미((paramanu)해석의 변화와 12처(ayatana)설의 상관성에 대하여

이용수 191

영문명
The Relativity of Vasubandhu s Philosophical Transitions on the Atomic Theories to the Theory of 12 Sense-bases (ayatana)
발행기관
보조사상연구원
저자명
이규완(Kyoowan Yi)
간행물 정보
『보조사상』普照思想 第46輯, 51~97쪽, 전체 47쪽
주제분류
인문학 > 불교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7.08.31
8,4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철학의 과제를 간단히 요약하면, 일체의 존재 혹은 대상세계와 그것에 대한 인식의 문제를 해명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불교에서는 전통적으로 일체를 오온, 12처, 18계의 체계로 설명해 왔으며, 그 중에서도 12처를 가장 우수한 설명 방식으로 채택하였다. 12처의 개념과 체계에 대한 해명은 대상세계의 존재방식과 인식의 과정에 대한 포괄적인 해석을 제 공한다. 따라서 각 학파들의 12처 해석은 그 학파철학의 핵심을 반영하는 것으로, 설일체유부는 12처를 포함한 3과의 실재 성을 주장한 반면, 경량부는 12처가유설을 주장하였다. 한편 세친의 12처 해석은 『구사론』과 『유식이십론』의 단계를 거치면서 전환을 이룬다. 초기 절충주의적 해석은 후기에 12처를 포함한 3과 모두의 가유설로 변화한다. 이는 12처에서 물질세계에 해당하는 10처를 극미/원자론으로 단일화하고, 다시 상좌 슈리라타의 1법처설과 종자설을 통합한 후에, 형이상 학적 극미를 비존재로 규정하는 과정을 통하여 완성된다. 이 논문은 세친의 철학적 전이에 대한 고찰을 통해, 극미해석과 학파철학의 상관성을 입증해 보이고자 한다.

영문 초록

The task of philosophy might be briefly defined as an investigation into the existence and the cognition of it, or the object world. In the Buddhist philosophical systems, the existence of all things are explained by the systems of five aggregates(skandha), twelve sense-organs(ayatana), and eighteen basic elements(dhatu), among which the twelve sense-organ was considered the most complete philosophical interpretation. It is because the concept and system of twelve sense-organs comprehensively include the object world in six categories of sense-data, form, sound, odor, taste, touch, and dharma, and their corresponding organs of the senses, eyes, ears, nose, tongue, body, and mind. Each Buddhist school developed different interpretations on the system of twelve sense-organs. Sarvastivadin, for example, argued that all of the three categories are real, but Sautrantika only accepted the reality of the dhatu. Vasubandhu, however, underwent transitions in his interpretations on the reality of the twelve sense-organs. In Abhidharmakosabhasya Vasubandhu holds on to a rather eclectic compromise by admitting the reality of the dhatu and the ayatana, but later dramatically changed his view in Vimsatikato deny the reality of all three categories. Here Vasubandhu’s theory of atom and its transition plays a great role in unifying the ten indriyas of material existence into one formation of atoms, and integrating the theory of Seeds(bija) with the notion of the reality of one dharma ayatana suggested by Srilata, and finally completing his philosophical transition by annihilating the very existence of material form of atom based on the impossibility of metaphysical atomic existence. This paper aims to show the mutual relationship between the atomic theories and philosophical systems of each Buddhist school through an investigation on the Vasubandhu’s philosophical transitions in the theories of atom and ayatana.

목차

1. 서론
2. 불교의 경험주의 전통과 대상세계
2.1. 오온, 12처, 18계
2.2. 12처설의 경험주의적 관점
2.3. 처실유설 vs. 처가유설
3. 극미론 해석에서 학파적 특성
4. 세친의 극미해석과 12처설의 상관성
5. 결론: 학설의 시금석으로서 극미설
6. Reference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규완(Kyoowan Yi). (2017).세친의 극미((paramanu)해석의 변화와 12처(ayatana)설의 상관성에 대하여. 보조사상, 46 , 51-97

MLA

이규완(Kyoowan Yi). "세친의 극미((paramanu)해석의 변화와 12처(ayatana)설의 상관성에 대하여." 보조사상, 46.(2017): 51-9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