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자립생활서비스 이용 중증장애인의 사회참여에 대한 자립생활센터의 조직효과 연구

이용수 234

영문명
A study on organizational effect of center for independent living on the social participation of people with serious disabilities using independent living service
발행기관
연세대학교 사회복지연구소
저자명
김동기(Kim Dong Ki)
간행물 정보
『한국사회복지조사연구』21권, 59~92쪽, 전체 34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9.07.30
6,8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자립생활서비스 이용 중증장애인의 사회참여에 대한 자립생활센터의 조직효과를 검증하여 자립생활센터가 장애인복지서비스 전달체계의 한 축으로 자리매김하는 데 있어 중요한 정책적 및 실천적 함의를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장애의 문제와 개입의 소재를 바라보는 관점인 장애패러다임으로 자립생활패러다임을, 이론적 관점으로 다차원 모델을, 방법론으로 위계적 선형모형을 적용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무조건적 평균모형 분석결과, 중증장애인의 사회참여에 대한 조직효과를 검증함에 있어 위계적 선형모형을 적용할 타당성이 입증되었다. 둘째, 무조건적 기울기모형 분석결과, 우선 고정효과 분석결과를 살펴보면, 고용, 주관적 건강상태, 개인내적 역량 강화 및 신체적 기능이 중증장애인의 사회참여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무선효과 분석결과, 고용여부를 제외한 나머지 모든 개인요인이 센터이용 중증장애인의 사회참여에 미치는 영향이 센터에 따라 차이가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자립생활센터의 조직요인이 중증장애인의 사회참여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정기적 수입비율, 비장애 직원의 이직률, 지역사회 사회복지기관과 협력하는 개수, 권익옹호서비스, 활동보조서비스 및 동료상담 서비스의 실 인원, 대규모 집회 참여 횟수, 서비스 제공 시 자립생활이념/원칙을 반영하는 정도가 중증장애인의 사회참여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조건적 기울기 모형 분석결과, 센터소장의 리더십 수준과 권익옹호 실 인원의 상호작용효과가 검증되었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통해 정책 및 실천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urpose important poli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 to help independent living center settled down as one axis of the delivery system in people with disability welfare service, by verifying the organization effect of independent living centers on social participation of people with serious disability using the independent living service. The main result of this study is as follow. First, the adequacy of adapting the hierarchical linear model is proved in verifying the organization effect on the social participation of the people with serious disability. Second, according to the result of analysing the unconditional slope model, first from the fixed effect analysis result, employment, self-recognized health condition, intra-personal empowerment, and body function affect significantly social participation of the people with serious disability. Next, from the analysis result of the random effect, there was difference among the centers in the relationship of social participation of the people with disability effected by the individual factors with the exception of employment status. Third, analysing the independent life centers organization effect, the regular income rate, the separation rate of the non-disabled workers, the number of cooperating social welfare facilities within the community, the actual staff number in personal advocacy service, personal assistant service, and peer counselling service, the number of times in participating large-scale meeting affect significantly social participation of the people with serious disability. Last, the result of conditional slope model analysis showed that, the leadership level of the center director, actual staff in rights advocacy have interaction effect. From these findings, poli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are suggested.

목차

국문요약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동기(Kim Dong Ki). (2009).자립생활서비스 이용 중증장애인의 사회참여에 대한 자립생활센터의 조직효과 연구. 한국사회복지조사연구, 21 , 59-92

MLA

김동기(Kim Dong Ki). "자립생활서비스 이용 중증장애인의 사회참여에 대한 자립생활센터의 조직효과 연구." 한국사회복지조사연구, 21.(2009): 59-9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