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고령화 사회의 삶의 질

이용수 247

영문명
The quality of life of aged people in ageing society
발행기관
연세대학교 사회복지연구소
저자명
이혜경(Lee Hye Kyung)
간행물 정보
『한국사회복지조사연구(구 연세사회복지연구)』8권, 27~58쪽, 전체 32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2.05.30
6,6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한국은 2000년에 65세 이상 노인인구가 전체인구의 7.1%를 점하게 됨으로 유엔이 분류한 “고령화(Ageing Society)”로 접어들었다. 이 글은 한국 노인인구의 “삶의 질”의 지표들을 정리하고, 노년기가 보람 있고, 생산적이며, 전체 사회에 통합된 생애단계가 되도록 노인의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조건들을 살펴보려 한다. 한국 노인들의 평균수명은 급속히 증가하고 있으며, 동시에 노인인구의 비율이 상대적으로 급증하고 있다. 이러한 연령구조는 노년인구의 부양비의 변화를 초래하여, 노년 인구부양비가 1960년 5.3에서 2000년 10으로, 그리고 2020년에는 18.9로 두 배 가까운 증가가 예상된다. 반면에, 한국노인의 86.7%가 만성질환을 한가지 이상 앓고 있고, 한국 여자노인의 건강에 대한 주관적 평가는 다른 나라들에 비하여 예외적으로 낮은 수준이다. 또한 30% 가량이 문맹이지만, 연령이 낮아질수록 문맹률이 낮아지고 있다. 가족구조는 다세대 가구가 줄고 있는 반면, 1세대 가구가 증가하고 있다. 노인의 빈곤은 자녀동거 노인가구가 비동거 노인가구에 비해서 빈곤율이 매우 낮게 나타나고 있으며, 소득원은 근로소득이 과거에 비해 증가하는 반면, 사적이전이 줄고 있다. 이러한 고령화 사회의 급격한 변화 속에서 산업화 논리와 압축성장 과정에서 희생된 노인인구들에게 충분한 사회 안전망을, 건강하고 활동적으로 생활을 하려는 신세대 노인을 위하여는 적극적인 연령통합 정책을, 그리고 가족주의와 효 규범의 현실적 적응을 통해 사회적 자본 확충정책을 펴가야 할 것이다.

영문 초록

In 2000, Korea entered the stage of “Ageing Society” classified by UN as aged people over 65 years old took 7.1% of the entire population. This article aims to summarize and explain some indicators concerning the quality of life of aged people and to seek out the conditions which can make the quality of life of aged people meaningful, productive and integrative within society. The average life span of Korean people has been increasing rapidly and the ratio of aged people in whole population has also been rising at the same time. This age structure has and will have caused the increase in dependency ratio; 5.3% in 1960, 10.0% in 2000 and 18.9% in 2020. On the other hand, 86.7% of Korean aged people are suffering at least one chronic disease and Korea women’s self-assessment on health is exceptionally lower than in other selected countries. As for household structure, the number of multi-generation households has decreased whereas the number of one-generation households has increased. Poverty rate of aged people living with their offspring is by far lower than that of aged people living without them. The proportion of earnings in income source has been increasing whereas the proportion of private transfer has been decreasing in income source. In this background, several efforts should be made in order to enhance the quality of life of ‘new aged people’. Adequate social safety nets should be provided for the old who sacrificed in the process of the rapid industrialization; positive age-integration policy should be introduced for the old who want to live and work actively; and social capital policy should be strengthened by the practical adjustment of familism and the norm of ‘Hyo’ which has been the important norm of offspring toward their parents.

목차

국문요약
I. 머리말
II. 연구내용
III. 맺는말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혜경(Lee Hye Kyung). (2002).고령화 사회의 삶의 질. 한국사회복지조사연구(구 연세사회복지연구), 8 , 27-58

MLA

이혜경(Lee Hye Kyung). "고령화 사회의 삶의 질." 한국사회복지조사연구(구 연세사회복지연구), 8.(2002): 27-5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