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지식인의 월북과 남북 국어학계의 재편 : 언어정책을 중심으로

이용수 85

영문명
Crossing over to North Korea and a Rearrangement of Academia focusing on Korean Linguistics
발행기관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저자명
이준식(Lee, Junsik)
간행물 정보
『동방학지』동방학지 제168집, 1~28쪽, 전체 28쪽
주제분류
인문학 > 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4.12.31
6,1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글의 문제의식은 분단이 지식인의 월북과 그로 인한 남북 학계의 재편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가를 밝히려는 데서 출발한다. 논의의 초점은 국어학계의 문제에 맞추어져 있다. 초기 한국 학계의 형성은 일제강점, 해방, 분단 그리고 한국전쟁 등 다양한 근현대사의 사건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는 가운데 이루어졌다. 특히 국어학자들의 월북은 국어학계는 물론이고 민중의 언어생활에도 큰 영향을 미쳤다. 해방정국기에 김두봉, 이극로 등 일제강점기에 한글운동을 주도하던 영향력 있는 국어학자 들이 북쪽으로 가는 길을 선택했다. 이미 정치 적, 이념적 분단이 가시화되고 있던 상황에서 김두봉 등은 남북의 언어분단을 막는 것이야말로 앞으로 민족통일을 실현하는 데 초석이 될 것이 라고 생각했다. 따라서 김두봉 등의 월북 국어학 자들은 최현배 등 남쪽의 언어 민족주의자들과 언어문제에 대해 동일한 입장을 취했다. 월북 이후 김두봉과 동료들은 김일성대학 조선어문학부와 조선어문연구회의 창립은 물론이고 궁극적으로는 북한의 언어연구와 언어정책을 주도했다. 이들이 한글의 연구와 발전을 위해 채택한 여러 기준은 남쪽과 비슷한 것이었다. 월북 국어학자들은 북한에서 형태주의 문법, 가로 쓰기, 한글 전용의 원칙이 정착되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 이들의 노력에 의해 남쪽에서와 마찬가지로 북쪽에서도 한자의 세계에서 한글의 세계로의 전환이라는, 일종의 언어혁명이 동시에 진행될 수 있었던 것이다. 이 글에서는 분단 70주년을 맞이하는 시점에서 남북 사이에 언어의 이질성보다는 동질성이더 두드러진다는 점을 강조하려고 했다. 이러한 의미에서 많은 난관에도 불구하고 남북 국어학 자들의 공동 노력에 의해 겨레말 큰사전 편찬 작업이 계속 진행되고 있는 것은 민족통일을 위해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plain how the division of Korea into North and South affected the crossing over to North Korea by intellectuals and a rearrangement of academia between North and South Korea. This paper especially deals with academics who study Korean linguistics as the focus of the discussion. The formation of early Korean academia was a dynamic process in Korean modern history in which colonialization, liberation, the division of North and South, and the Korean War all played a part. Particularly, the crossing of the border between North and South Korea by Korean linguists had a profound effect on the early stages of academia in Korean linguistics and language. Although many influential Korean linguists, such as Kim Dubong and Lee Geukro, had chosen North Korea during the Liberation Era (1945-1950), they considered that preventing the division of language between North and South Korea would be a shortcut to the unification of the north and the south. Therefore, they shared same stances with regard to language with South Korean language nationalists such as Choi Hyunbae. After crossing over to North Korea, Kim Dubong and his colleagues created the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Department at Kim Ilsung University and Chosonomun Yon guhoe (Association for Korean Language and Writing), subsequently controlling the direction of linguistic research and language policy in North Korea. They studied, promulgated, and developed Hangeul to a standard similar to that in South Korea. They attempted to set the language standard through morphological orthography, horizontal writing, and the exclusive use of Hangeul. They realized a turning point in the linguistic revolution, when the Korean language escaped its antecedent Chinese language era by achieving the exclusive usage of Hangul and the horizontal writing of the languag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onsider areas of linguistic homogeneity as opposed to areas of heterogeneity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 In this sense, the project to create a Korean language community through the publication of a Dictionary of the Korean Language (겨레말 큰사전) can serve as a cornerstone for realizing the unification of North and South Korean language.

목차

1. 머리말
2. 해방 이후 지식인의 월북
1) 월북의 의미
2) 월북에 따른 학문(지식)장의 재편
3. 국어학자의 월북과 북한 조선어학계
1) 국어학자들의 월북동기와 북한 언어정책에의 영향력
2) 조선어문연구회와 월북 국어학자들
4.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준식(Lee, Junsik). (2014).지식인의 월북과 남북 국어학계의 재편 : 언어정책을 중심으로. 동방학지, 168 , 1-28

MLA

이준식(Lee, Junsik). "지식인의 월북과 남북 국어학계의 재편 : 언어정책을 중심으로." 동방학지, 168.(2014): 1-2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