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중일전쟁기 중국의 만화잡지에 있어서의 중국여성과 일본여성의 표상

이용수 128

영문명
Chinese and Japanese Women Represented in Cartoon Magazines during the Anti-Japanese War Period 
발행기관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저자명
사카모토 히로코(坂本ひろこ)
간행물 정보
『동방학지』동방학지 제169집, 1~32쪽, 전체 32쪽
주제분류
인문학 > 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5.03.31
6,6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중국에서는 1930년대에 들어서 상하이를 중심으로 만화(넓은 의미에서의 만화)잡지가 새로운 포퓰러 컬쳐, 정치풍자의 장으로 유행하였다. 상하이만화(上海漫画)나 시대만화(時代漫 画)의 전위적인 젊은 만화가 집단이나, 그보다더 정치적으로 좌파성향인 만화생활(漫画生活) 에 모인 만화가들이, 항일전쟁기에는 구망만화 선전대(救亡漫画宣傳隊)에 합류하여, 만화잡지 구망만화(救亡漫画)․항전만화(抗戦漫画) 등을 간행하였다. 그러한 잡지의 만화가들에 의해 중국과 일본의 전시(戰時)여성이 어떻게 그려졌었는지를, 당시 희소의 여성만화가 양백파 (梁白波, Liang Baibo)의 경우와 비교하면서 고찰하는 것이 본고의 목적이다. 1920년대 후반부터 30년대에 걸쳐서, 대부분은 남성만화가에 의해 모던걸의 표상에 있어서, 전족으로부터 해방되어 약동하는 신체, 남성에게 야유 당할지언정 종속하지 않는 여성 그 자체를 지탱하는 신체를, 중국여성은 획득한 것처럼 보였다. 그러나 전시색(戰時色)과 함께 일본을 경유하여 유입된 ‘색정문화’의 대상으로 여겨졌으 며, 다른 한편으로는 상품화를 통해서도 여성의 신체는 다시금 남성에게 종속적인 것이 되었다. 중일전쟁의 본격화는 모던걸을 야유의 대상으로부터 부정의 대상으로 바꾸었다. 중국여성의 표상은 남성에게 있어서의 민족감정으로부터 기인하여, 적군에게 능욕․살해당하는 동포 여성의 신체, 피해자로서 초점화되었다. 그러나 능욕당한 여성을 그리는 데에 있어서 발생한 패턴화에 의해 여성이 입은 피해의 고통이, 항일이 라는 민족․국가에게 있어서의 정의의 프로파 간다의 목적에 회수당하고, 침략자를 비판하기 위해 중국여성들은 중첩적으로 굴욕에 고통 받 았던 것으로 보인다. 다른 한편에서 일본여성이 전쟁악의 피해자로 그려지면서 반전으로 결부 되었던 것과는 대조적이었다. 다른 한편, 성별규범에도 저항하는 모던걸의 형상을 창조했던 양백파의 전쟁화는 선정적이지 않으면서 유니크했다. 그녀의 작품을 남성만 화가들의 작품과 비교하는 것을 통해, 만화 등의 시각자료 활용을 통한 젠더분석이 전쟁사연구 에서도 중요하다는 점을 말했다.

영문 초록

Chinese cartoon magazines flourished during the 1930s. Young, avant-garde artistic groups produced numerous images of their beloved ‘Modern Girl’ in such magazines as Shanghai Sketch (Shanghai Manhua) and Modern Sketch (Shidai Manhua), while artists on the political left gathered around the magazine Manhua Shenghuo (Sketches of Life). When the Sino-Japanese War escalated, illustrators collaborated with war propaganda comic teams, publishing magazines such as Jiuwang Manhua (Sketches for National Salvation) and Kangzhan Manhua (War Resistance Sketches). The figure of Modern Girl was replaced by brutal images of female victims — the maimed, the raped, the displaced — and the figures of military medics and soldiers. Male artists also depicted Japanese women in sympathetic terms: as family left behind by Japanese soldiers. Thus, they even expressed a sort of antiwar sentiment. In contrast to these male-authored images of female victimization, Liang Baibo — one of a very few female artists within a male-dominated art circle — steered away from the theme of female victimization in her work at that time. This paper, by focusing on images of Chinese and Japanese women created by Chinese male and female artists, examines the intersections between gender and nationhood during the second Sino-Japanese War.

목차

1. 만화잡지의 등장과 모던걸(モダン ガ ル)
2. 시대만화(時代漫畵, 만화생활(漫畵
生活)에서의 전시색(戰時色)과 젠더
3. 여성만화가, 양백파(梁白波)의 등장
4. 항일전쟁기 구망만화(救亡漫畵), 항전만화(抗戰漫畵)에서의 남성 만화가의 여성표상
5. 항전만화에서의 양백파
6. 소결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사카모토 히로코(坂本ひろこ). (2015).중일전쟁기 중국의 만화잡지에 있어서의 중국여성과 일본여성의 표상. 동방학지, 169 , 1-32

MLA

사카모토 히로코(坂本ひろこ). "중일전쟁기 중국의 만화잡지에 있어서의 중국여성과 일본여성의 표상." 동방학지, 169.(2015): 1-3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