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돈황문헌의 佛說佛名經 연구

이용수 25

영문명
A Study of Foshuo-foming-jing(佛說佛名經) in the Tunhuang Literature
발행기관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저자명
원혜영(Won, Hae-Young)
간행물 정보
『동방학지』동방학지 제175집, 57~75쪽, 전체 19쪽
주제분류
인문학 > 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6.06.30
5,0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장외 불교경전들 중에서 주목되는 불설불명 경의 체계는, 붓다의 명호, 보살의 명호, 경전의 이름들, 벽지불의 명호 등을 나열식으로 필사한 것들이라 독특한 형식을 가진다. 이번 불설불 명경을 조사한 결과, 돈황사본에서 12권본, 30 권본은 고려대장경을 비교하여 분류체계를 세울 수 있었고, 20권본은 방광창의 주장대로 중국 인들이 만든 위경으로 분류된다. 오랫동안 유통 되어 온 16권본은 30권본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 완벽한 판본이라고 여겨지는 것은 돈황사본을 고려대장경과 비교할 수 있기 때문이다. 불명 경은 돈황에서 창작된 문학작품 이상으로 민간 신앙과 향토적인 성향이 짙으며 종교적이다. 그경전을 유통시킨 필사자들은 불교의 향유자, 전파자라고 할 수 있다. 이본(異本)들이 상당수 존재한다는 것은 대중화된 성향을 의미하지만, 일반적으로 보편화된 불경의 위상과는 다른 양상을 보인다. 불명경은 장외 경전 속에 편입되어 있지만, 붓다와 그 성인들의 모든 명칭을 빠짐없이 열거하면서 염송에서 얻을 수 있는 필사의 공덕에 그 무게 중심을 두고 있다. 이런 형태는 불명경이 재가자의 새로운 헤게모니적 전통을 이어가게 하는 일종의 재가운동으로도 여겨질수 있다.

영문 초록

Among the unlisted Buddhist scriptures, the Foshuo-foming-jing(佛說佛名經) system is particularly peculiar and noteworthy as it transcribed the name and pen name of the Buddhas, of the bodhisattva and of the pratyeka-buddha, the titles of the sacred books, etc. one-by-one. In this study, a classification system was devised for the Tunhuang literature (12 volumes) and was compared with the classification system designed for the Tripitaka Korea (30 volumes). Those 30 volumes were closely related to the 16 volumes distributed over a longer period of time, while 20 other volumes were classified as fake scriptures written by the Chinese according to Bang Kwangchang’s claim. This seems to be a perfect edition, as the copy of the Tunhuang can be compared with the Tripitaka Korea. Many folk beliefs and indigenous materials from the Foming-jing(佛名經) originate from the Tunhuang. The scribes who distributed the sacred book must have adored and propagated Buddhism. The fact that there is a considerable number of other versions means that it was a popular book, although its status was quite different from that of other Buddhist scriptures. Although Foming-jing(佛名經) was excluded from the sacred books, it emphasized desperate good deeds through the recitation of the scripture by enumerating the name of the Buddhas and of all the saints. This could be regarded as an expression of the home-based propagation for home-bound devotees to keep the new hegemonic tradition running. New perspectives departing from those used to discuss the main scriptures are required to understand the real authority of Foming-jing(佛名經).

목차

1. 들어가는 말
2. 돈황사본 佛說佛名經의 유래와 그판본들의 유형
3. 佛說佛名經의 필사본 사례 연구
1) 佛說佛名經 20권본
2) 佛說佛名經 16권본
3) 佛說佛名經 30권본
4. 정리 및 전망: 佛說佛名經에서 돈황사본과 고려대장경의 비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원혜영(Won, Hae-Young). (2016).돈황문헌의 佛說佛名經 연구. 동방학지, 175 , 57-75

MLA

원혜영(Won, Hae-Young). "돈황문헌의 佛說佛名經 연구." 동방학지, 175.(2016): 57-7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