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동서의 지적 交錯 : 천주실의의 理 해석과 그 반향

이용수 151

영문명
An Interweaving of Eastern and Western Thought: An Interpretation of Li(理) in Tianzhushiyi (天主實義) and Its Response
발행기관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저자명
이봉규(Lee, Bong-Kyoo)
간행물 정보
『동방학지』동방학지 제175집, 129~166쪽, 전체 38쪽
주제분류
인문학 > 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6.06.30
7,3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마테오 리치가 “이(理)”를 속성의 범주로 재배치하고, “주재(主宰)” 개념을 상제에게 부여 하여 전지전능한 창조주의 주재를 정당화하면 서, 이학에서 천(天)을 이로 재해석하여 천 또는 상제의 만물에 대한 주재를 탈인격화시켰던 맥락과, 존재를 체와 용 또는 소이(所以)와 작용의 관계에서 설명하였던 이학의 사유문법은 간과 되고 배제되었다. 마테오 리치의 관점은 한편으로 체용론에 입각한 보수적 대응을 야기하였을뿐 아니라, 또 한편으로 유교의 개념체계를 체용의 개념틀에서 벗어나 새롭게 정당화하는 방법 으로 활용되었다. 후칸사이 하비안(不干齋巴鼻 庵)과 하야시 라잔(林羅山), 황정(黃貞)과 적기 (寂基), 안정복 등은 체용론에 기반하여 리치의 주장을 반박하였다. 하비안과 황정은 체용론을 이용하여 불교와 유교의 주장을 결합하였지만, 안정복은 정통론의 입장에서 불교와 그리스도 교를 모두 사의를 추구하는 이단으로 비판하였 다. 안정복은 형기로 인해 발생하는 욕망을 적절한 조절을 통해 인간이 스스로 해결할 수 있다는 조선후기 성리학이 도달하였던 절욕론의 관점에 입각해서, 구원론에 맞서 악의 문제를 개인 스스로 해결할 수 있다고 반론하였다. 대진과 정약용은 모두 육경의 본래 문맥에 의거하여, 이학 에서 이, 태극, 성 등 주요 개념에 부여하였던 소이로서의 체 또는 형이상 개념이 비유교적 개념 이라고 비판하였다. 두 사람은 모두 지각과 추론, 실천적 수행 등 경과와 관련시켜 인의예지와 같은 덕목들의 의미를 부여하였다. 여기에는 속성을 나타내는 개념 들은 그 속성이 의지해 있는 실체에 대하여 지각하고 추론한 이후에 개념 내용이 성립한다는 논리가 반영되어 있다. 곧 존재방식을 실체와 속성으로 나누어 그 의미맥락을 이해하는 리치의 관점이 공통적으로 활용되고 있다. 대진과 정약 용은 리치가 소개하였던 실체와 속성으로 개념 의 존재방식을 이해하는 사유 문법 자체에 대해 서는 아무런 논의를 하지 않았다. 단지 그 논의를 활용하여 이학의 체용론적 개념 체계를 대체 하는 새로운 설명 체계를 수립하였다. 이것은 18~19세기 유교 지식인이 토미즘의 개념 체계를 이용하여 자신의 유교를 새롭게 정당화하는 과정에서 오리엔탈리즘이 발생하는 한 맥락을 보여준다.

영문 초록

When Matteo Ricci reassigned “li(理)” to the category of attributes rather than substances and turned the meaning of “zhuzai(主宰)” into “exercizing authority” by ”the Lord of Heaven”, the Neo-Confucian way of thinking that categorized beings with “ti(體)” and “yong(用)” or “suoyi(所以: that by which things are so)” and “zhuoyong(作用: having such and such function), by which Neo-Confucianism depersonalized the meaning of “zhuzai(主宰)” by interpreting “Tian(天)” as “li(理)”, was unilaterally excluded. Based on the common “ti(體)” and “yong(用)” systems, Hayashi Razan and Fukansai Habian in Japan, Huang Zhen and Ji Ji in China, and An Jeongbok in Korea refuted Ricci’s view. However, Dai Zhen and Jeong Yakyong criticized the concept of “suoyi(所以)” or “xingershang (形而上)” as non-Confucian notions derived from Buddhism, insisting that when understood in their original context, Confucian virtues such as “renyilizhi(仁義禮 智)” could only be realized once concrete activities had taken place in accordance with the Confucian ideas for desirable human relations. Jeong Yakyong reassigned “renyilizhi(仁義禮智)” to the category of “de(德)”, whose acquisition is only possible through assiduous practice. These explanations were based on the category theory introduced by Ricci in the Tianzhushiyi( 天主實義), which claimed that the names that belong to the category of attributes can only gain their identity by depending upon concrete things as their substance. This reflects an instance of “Orientalism” that took place in the 18~19th century, as the Confucian intellectuals of East-Asia had recourse to Ricci’s method to issue a new justification for the original context of the Confucian ideas of human virtue.

목차

1. 머리말
2. 마테오 리치의 유교론과 理 개념 이해
3. 천주실의의 理 개념 해석에 대한 반향
1) 林羅山과 不干齋巴鼻庵
2) 黃貞과 寂基
3) 安鼎福
4) 戴震과 丁若鏞
4.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봉규(Lee, Bong-Kyoo). (2016).동서의 지적 交錯 : 천주실의의 理 해석과 그 반향. 동방학지, 175 , 129-166

MLA

이봉규(Lee, Bong-Kyoo). "동서의 지적 交錯 : 천주실의의 理 해석과 그 반향." 동방학지, 175.(2016): 129-16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