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1219년(高宗 6) 고려몽골 ‘兄弟盟約’ 再論

이용수 315

영문명
A Re-Discussion of the Brotherly Alliance of Goryeo and Mongolia in 1219
발행기관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저자명
이익주(Lee, Ik-Joo)
간행물 정보
『동방학지』동방학지 제175집, 77~102쪽, 전체 26쪽
주제분류
인문학 > 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6.06.30
5,9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1219년 고려는 몽골과 ‘兄弟盟約’을 맺었다. 이것이 13․14세기의 200년에 걸친 고려-몽골 관계의 시작이었다. 따라서 형제맹약에 대한 연구는 고려-몽골 관계사의 첫 출발로서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하지만 지금까지의 연구가 당시 고려-몽골 관계에서 고려의 입장을 제대로 드러 내지 못하고 있고, 최근에는 형제맹약의 존재 자체를 부정하는 견해가 제시되어 재론의 필요성을 느끼게 되었다. 고려와 몽골 사이에 형제맹약이 체결되었음은 1218년 12월부터 1219년 1월 사이에 양국 간에 오간 문서로부터 분명히 확인된다. 그 내용은 고려가 몽골과의 상하 관계를 인정하고 稱臣上 表하면서 공물을 납부하는 것이었다. 고려 국왕 의 親朝는 고려에서 거부함으로써 형제맹약의 조건에 포함되지 않았다. 이 조건에 따라 1219년 부터 몽골 사신이 고려에 와서 공물을 수령해 갔는데, 그 과정에서 공물의 종류와 양, 납부 회수 등을 둘러싸고 양국 간에 마찰이 계속되었다. 하지만 몽골에서 국왕의 친조를 추가로 요구하지 않았는데, 이로부터 형제맹약의 조건에 친조가 포함되지 않았음을 재확인할 수 있다. 고려-몽골 관계사 연구에서 몽골의 정책이 고려에 그대로 적용되었다고 보는 것은 위험하 다. 몽골의 일관된 정책이 있었는지도 의문이지 만, 고려-몽골 관계는 양국의 상호 작용 속에서 개별적으로 성립하였을 것이므로 몽골의 요구에 대한 고려의 대응을 살피는 것이 중요하다.

영문 초록

The brotherly alliance of Goryeo and Mongolia sealed in January 1219 marked the beginning of the Goryeo-Mongol relationship, which spanned the 13th and 14 th centuries. It has deserved and actually drawn academic attention ever since Byung-ik Go’s contribution in 1969. However, studies have failed to represent Goryeo’s side of the relationship and have sometimes been compromised by counterarguments questioning the brotherly alliance itself, bringing about a need for re-discussions. The existence of a brotherly alliance between Goryeo and Mongolia from December 1218 to January 1219 is clearly shown in documents exchanged by the Goryeo and Mongolian military camps led by Khachi’un and Jala. These documents state that Goryeo admitted Ching-shin-sang-pyo(稱臣上表, calling itself a vassal) against Mongolia and accepted to pay it tributes. As Mongolia failed to include Chin-jo(親朝, whereby the king visits and greets an emperor in person) due to Goryeo s rejection, Mongolian ambassadors ended up traveling to Goryeo in order to collect tributes from 1219 onwards, despite continuous disagreements on the frequency and volume of the tributes. No additional demands for Chin-jo were made afterwards, suggesting that brotherly alliances did not necessarily include that condition.

목차

1. 머리말
2. 고려-몽골 ‘형제맹약’의 성립 과정
3. ‘형제맹약’에 대한 고려의 인식과 대응
4. ‘형제맹약’ 시기 양국 관계의 추이
5.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익주(Lee, Ik-Joo). (2016).1219년(高宗 6) 고려몽골 ‘兄弟盟約’ 再論. 동방학지, 175 , 77-102

MLA

이익주(Lee, Ik-Joo). "1219년(高宗 6) 고려몽골 ‘兄弟盟約’ 再論." 동방학지, 175.(2016): 77-10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