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이미지와 시가(詩歌)의 문화정치학 (Ⅰ) – 일제시대 사진엽서의 경우

이용수 236

영문명
Cultural Politics of Images and Poetry (Ⅰ) – The Case of Photo Postcards from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발행기관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저자명
최현식(Choi, Hyun-Sik)
간행물 정보
『동방학지』동방학지 제175집, 225~265쪽, 전체 41쪽
주제분류
인문학 > 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6.06.30
7,7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글은 일제 사진엽서 상의 사진, 그림 등의 이미지와 함께 인쇄된 민요와 와카(和歌) 같은 시가를 일제 ‘문화정치학’의 산물로 간주한다. 그전략과 목표를 해석하기 위해 사진엽서의 ‘사실 성’ 이면에 숨겨진 식민지 조선의 ‘재현’ 및 가치 하락에 특히 주목한다. 이 과정을 보편화․역사 화하기 위해 먼저 서양의 사진과 사진엽서에 한일 양국이 어떻게 포착, 재현되며, 그것이 야만 지배와 문명 계몽 위한 오리엔탈리즘으로 작동하 는지를 살펴본다. 일하는 조선 여성과 유희의 일본 게이샤에 대한 공통 시선으로 나타나는 ‘드러난 몸’의 조작적 재현이 해석 대상이다. 다음으로 한일강제병합 당시의 사진첩과 엽서에 재현된 조선과 일본 왕가의 서열화, 조선 민중의 일제에의 동일시 장면 등을 통해 기술복제시대의 이미지가 조선의 식민화에 어떤 영향과 효과를 발휘했는지를 살펴보았다. 이를 토대로 일제 사진엽서에서 식민지 조선의 이미지와 그것을 향해 발화된 시가의 결속법, 그에 의한 조선의 탈역사적․탈문 화적 왜곡 현상을 비판적으로 검토했다. 음전한 부인과 색기의 기생으로 동시 포착, 편집된 한 여성의 사진엽서, ‘아리랑’과 김장 장면을 동시에 인쇄한 사진엽서가 분석 대상이었다. 이를 통해 일제 사진엽서가 대중의 이국취향에 대한 충족을 넘어 제국의 문화정치학을 실현하는 ‘애국의 기 법’으로 전용, 편취되었음을 밝혔다.

영문 초록

This study considers all the postcard photographs and images —as well as the Joseon folk-songs and Japanese prose(和歌) printed alongside them— in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as products of cultural politics. First, it examines the way both Korea and Japan were captured and reproduced in order to generalize and historicize the process through the format of Western photography and photo postcards, and whether this process activated Orientalism to justify barbaric domination and cultural enlightenment. The subject of interpretation included operational reenactments of the exposed body through common views of Joseon women at work and Japanese geisha at play. Next, we consider the ranking of Korean and Japanese royalties as reenacted in the photography books and photo postcards created under Japanese rule, followed by scenes of the Korean public identifying with Japanese Imperialism. Through this, the study examines the way images created in the age of mechanical reproduction affected and resulted in the colonization of Joseon. The subjects of the analyses were photo postcards that were printed simultaneously: photo postcards of a woman who was captured and transformed into a gentle woman and a coquettish geisha, and photo postcards depicting “Arirang” and Gimjang scene. Conclusively, this study proves that the photo postcards produced during Japan’s colonization of Korea went beyond the satisfaction of the pubric’s exotic tastes, and were fraudulently deployed as a “technique of patriotism” to realize the cultural politics of the Empire of Japan.

목차

1. 일제 사진엽서가 바라본 ‘식민지 조선’이라는 피사체
2. 기차․사진․사진엽서의 문명과 야만
3. 근대 초기 사진엽서에서 조선과 일본의 이미지
1) 호기심과 타자화의 대상으로서 조선과 일본 여성
2) 조․일 왕가의 서열화, 제국주의와 식민지의 화인(火印)
4. 일제 사진엽서에서 조선에 대한 이미지와 시가의 결속법
1) ‘잘 편집된’ 조선 여성의 심미 혹은 슬픔
2) 조선(적인 것)의 목소리, 위장과 분열의 자리
5. 결어: 사진엽서 이미지와 시가의 네가지 경향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최현식(Choi, Hyun-Sik). (2016).이미지와 시가(詩歌)의 문화정치학 (Ⅰ) – 일제시대 사진엽서의 경우. 동방학지, 175 , 225-265

MLA

최현식(Choi, Hyun-Sik). "이미지와 시가(詩歌)의 문화정치학 (Ⅰ) – 일제시대 사진엽서의 경우." 동방학지, 175.(2016): 225-26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