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음악적 시간의 역동성

이용수 111

영문명
Dynamics of Musical Time -Performative Time Analysis of Pyeong-sijo Cheongsanri’s 17 Records-
발행기관
국립국악원
저자명
이수경(Lee, Sookyung)
간행물 정보
『국악원논문집』제35집, 99~143쪽, 전체 45쪽
주제분류
예술체육 > 음악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7.06.30
무료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인간의 음악은 역동적이다. 음악에는 힘과 움직임이 있다. 그러나 악보 상의 고정된 시간은 실제 음악적 시간의 역동적 변화를 담아내지 못한다. 시조의 음절 단위 IOI(interonset interval)는 리듬의 지각적 최단 한계에 근접하는 짧은 리듬과 일반적인 지각적 한계를 넘어서는 긴 리듬이 공존하는 특수한 시간조직을 지니며, 시조의 노랫말 배자에서 정간의 등시/비등시 구간은 실제 연주시간과 일치하지 않는다. 시조의 표현적 시간조절(expressive timing)에는 창자에 따른 보편성과 특수성이 존재하는데, 보편적으로 노랫말의 음절 길이는 정적으로 고정화된 정간 배자와 달리 아치형의 시간윤곽을 보인다. 시조는 어단성장하는 독특한 발음법을 통해 노랫말 간의 자연스러운 시간의 결을 만들며 역동적인 선(線)의 미를 창조한다. 음악적 역동성의 핵심은 음들의 ‘움직임’에 있다. 음악에서 움직임의 의지는 음들의 의지와 창자의 의지로 나뉜다. 음들의 의지는 해당 문화 사람들의 의식․무의식 속에 내재되어있는 음악적 특성이고, 여기에 창자의 의지가 더해져 하나하나의 노래마다 고유한 자기 정체성이 탄생한다. 창자의 의지는 신체화된 인지(embodied cognition)에 바탕한다. 시조를 부르는 창자의 신체 상태는 시조의 역동적인 리듬 주기에 동조(entrainment)되어 시조의 긴 호흡과 함께 동기화(synchronization)되며, 시조를 듣는 감상자의 마음도 시조의 역동적 시간이 신체 내의 감각운동에 의해 무의식 적으로 모방되며 창자와의 신체적․정서적 공명을 이룬다. 기존 전통 음악학의 악보 중심 연구가 아닌 실제 음악적 사건을 다루는 연주음원 중심의 수행적 연구에서, 움직임을 중시하는 오용록의 동적 음계론과 관계론적 음군 이론은 새롭게 조명 받을 필요가 있다. 오용록의 음악이론은 선율과 리듬의 움직임을 중시하는 시공간 통합적인 분석방법론으로서, 기존의 탈신체화된 규범적이고 정적인 음악이론을 극복 할 수 있는 한국음악학의 대안으로 주목된다.

영문 초록

Human’s music is dynamic. Music has energy and movements. Fixed Time on scores, however, cannot contain dynamic changes of a real musical time. Sijo’s IOIs (Interonset Interval) per syllable have a special time structure in which a short time close to the minimal limit of rhythmic perception and a long time beyond its normal limit coexist, and the isochronous or non-isochronous spans of Jeonggan in Sijo’s lyric notation do not correspond with the real performative time. Sijo’s performance shows diversity and commonality of the expressive timing. Basically, syllable lengths of Sijo’s lyrics reveal the arched time profiles. Sijo creates an aesthetic of dynamic lines making natural Gyeol of time among the lyric syllables. The core of musical dynamics is in the movements of tones. In music, the will of movements distinguishes the will of tones from that of singers. The will of tones concerns the musical features, inherent to the consciousness and the unconsciousness of a certain culture’s people, in which the intrinsic identity of each song is formed through the singers’ will. The will of singers is based on the embodied cognition. Entrained to the dynamic cycles of Sijo’s rhythm, the physical condition of a Sijo singer is synchronized with a long breath of Sijo, and the listeners are also physically and emotionally resonated with the singer, unconsciously imitating Sijo’s dynamic time by their sensorimotor system. In terms of a performative study dealing with a real musical time, not the existed traditional musicological studies focused on texts and scores, we need to shed new light on Oh Yong-nok’s dynamic scale and relational tone-group theory. Oh Yong-nok’s musical theory, which is a spatiotemporal integrated analytic methodology, draws attention as an alternative for Korean musicology to overcome the existed disembodied and static musical theory without movements.

목차

Ⅰ . 머리말
Ⅱ . 평시조 < 청산리 > 의 연주시간 분석
Ⅲ . 평시조 < 청산리 > 의 음악적 시간의 역동성
Ⅳ . 맺는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수경(Lee, Sookyung). (2017).음악적 시간의 역동성. 국악원논문집, 35 , 99-143

MLA

이수경(Lee, Sookyung). "음악적 시간의 역동성." 국악원논문집, 35.(2017): 99-14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