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정간보 시가 논쟁 40년의 쟁점 점검

이용수 213

영문명
The various issues of 40 years arguments for Time Value of jeonggan notation
발행기관
국립국악원
저자명
전인평(Chun, In pyong)
간행물 정보
『국악원논문집』제35집, 145~172쪽, 전체 28쪽
주제분류
예술체육 > 음악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7.06.30
무료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논문은 우리나라의 정간보 시가 논쟁 40년 동안 전개된 여러 가지 쟁점을 점검한 것이다. 정간보의 시가 부정론은 1977년의 Jonathan Condit이 전개한 이후, 전인평․홍정수․황준연․문숙희 등이 동조하였다. 긍정론은 이혜 구의 논지가 가장 두드러진 것이고 황준연은 악보 별로 긍정론과 부정론을 함께 전개하였다. 부정론의 Condit․전인 평․홍정수 이론은 이혜구에 의하여 상세한 비판이 있었다. 이혜구 비판 이후 나온 황준연의 논문은 고악보를 공시적 통시적으로 살피면서 전승 과정 속에서 악곡의 기록 방식과 배경 및 정황을 논의하며 정간보의 시가론을 전개하였다. 황준연의 논지는 세종실록 의 <치화평>을 비롯한 한글 가사의 노래곡은 1정간이 1박이고, 시용향악보 의 <생가요 량>, 세종실록 악보 의 <여민락>, 대악후보 의 <쌍화점> <보허자> 등은 8정간이 1박이고, <보허자> 계통의 여러 악보는 모두 5박의 음악이라고 추정하였다. 문숙희는 고악보 정간보를 그대로 재현하면, ‘한 음이 굉장히 길게 나타나서’ 이를 그대로 연주해 보면 ‘이상한 음악이 되고 만다’는 것과, ‘선율 흐름의 자연스러움을 찾기 어렵다’는 것이었다. 그래서 기본박과 소박 찾기 이론을 통하여 5정간과 3정간을 등시가로 해석하였다. 필자는 황준연과 문숙희의 이론을 자세히 점검하고 이에 대한 의문을 제기하였다. 필자는 마지막으로 한국음악 리듬의 특징인 긴 음과 짧은 음 (長․短)을 기보하기 위하여 창안한 악보가 정간보라는 것을 논의하였다. 필자는 애초에는 정간 시가 부정론자였는데, 그 후 긍정론자로 바뀌었다. 필자는 부정론에서 긍정론으로 바뀐 필자의 견해를 공식적으로 수정하기 위하여 본 논문을 작성하였다.

영문 초록

It is a hot potato on the research of the time value for jeonggan notation in Korean music society. This paper examined the various issues of 40 years arguments for Time Value of jeonggan notation. The first negative theory was insisted by Jonathan Condit in 1977, followed by Chun in pyong, Hong jung soo, Hwang jun yeon and Moon sook hee. The positive theory was that Lee hye ku’s article is most important and prominent. Hwang jun yeon developed both positive and negative theory on the time value of jeonggan notation. The negative theory of Jonathan Condit, Chun In pyong and Hong jung soo had detailed criticism by Lee hye ku. After the criticism of Lee hye ku, Hwang jun yeon s paper examined the theory with many musical compositions in the process of transmission, examining the background and context of the notation. He estimated that the two music of square notation songs of siyonghyangakbo and of daeakhubo is eqi-distant music of which 8 square have 1 beat, Mun sook hee insisted that it is difficult to find the naturalness of the flow of melodic music with it’s real notation interpretation. She examined and interpreted the five squares and the three squares as equi-distant time value. I have examined the theory of Hwang jun yeon and Moon sook hee and have raised many questions about it. I have discussed that the jeonggan notation was invented in order to note the long and short Korean rhythmic characteristics. In this article, I have described the situation that I have changed from the theory of negativity to the theory of affirmation and have written this paper in order to formally modify the original negative paper.

목차

Ⅰ . 머릿말
Ⅱ . 정간보 시가 부정론
Ⅲ . 정간보 시가 긍정론
Ⅳ . 길고 짦은 ( 長 ․ 短 ) 리듬과 정간보
Ⅴ .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전인평(Chun, In pyong). (2017).정간보 시가 논쟁 40년의 쟁점 점검. 국악원논문집, 35 , 145-172

MLA

전인평(Chun, In pyong). "정간보 시가 논쟁 40년의 쟁점 점검." 국악원논문집, 35.(2017): 145-17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