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상부위장관조영술 검사시 제조사별 발포제의 미 발포과립 비교
이용수 19
- 영문명
- Comparison of the non-foamed granules of foaming agents by manufacturers in upper gastrointestinal series
- 발행기관
- 대한영상의학기술학회
- 저자명
- 고주성(Joo-Seong Ko) 고주영(Joo-Young Ko):최진영(Jin-Young Choi):이광원(Gwang-Won Lee)
- 간행물 정보
- 『대한영상의학기술학회 논문지』2017년 춘계학술대회 논문지, 21~26쪽, 전체 6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방사선과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7.03.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목 적:발포제는 상부 위장관 조영술 검사 시 이중 조영을 가능하게 하여 검사에 도움이 되지만 위장관내 미 발포과립입자는 검사 시 인공음영으로 진단에 방해가 된다. 본 연구에서는 두 개의 서로 다른 발포제를 비교하여 발포 후 위에 남아있는 미 발포과립 입자를 분석하여 검사 시 유용한 발포제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2016년 3월 부터 2016년 6월까지 상부위 장관 조영술 검사를 받은 환자 40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남자는 24명, 여자 16명 평균나이는 61.6세였다. 실험 방법으로는 발포제 4g과 물은 10cc씩 두 번에 걸쳐 복용하였고, 바륨조영제 복용 후에 오른쪽 방향으로 3회 회전 후 supine - left posterior oblique - right lateral - prone - left posterior oblique - supine순으로 영상을 획득하여 1번째 supine영상과 right lateral영상, 2번째 supine영상의 미 발포 과립입자를 측정하였다. 또한 두 발포제의 위장을 팽창시키는 발포 성능을 평가하기 위해 1번째 supine영상과 2번째 supine 영상의 ROI범위를 지정하여 2차원의 단면적을 측정하여 분석하였고, 통계분석처리는 SPSS Statistic 20.0 버전을 사용하여 p값이 0.05미만인 경우 통계적으로 유의하다 판단하였다.
결 과:1번째 supine영상의 미 발포 과립개수비교 결과 발포제 A사는 평균 9.1개의 미발포 과립입자개수가 측정되었고 발포제 B사는 평균 25.4개가 측정되었다. 양측의 유의확율이 0.05보다 작게 측정되었고 발포제와 발포과립개수의 관계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2번째 supine영상의 미 발포 과립개수비교에서도 발포제 A사는 평균 7.45 발포제 B사는 평균7.8로 측정되었고 통계적으로 유의함을 나타내었고, right lateral영상에서도 발포제 A사는 평균 11.95개, 발포제 B사는 평균26.3개로 측정되었고 통계적으로 유의함을 나타내었다. Supine영상에서 2차원적인 단면 영상을 측정한 결과 발포제 A사의 면적은 16568 mm2,발포제 B사는 16777 mm2 로 큰 차이가 없었다.
결 론:발포제A사가 발포제 B사에 비해 미 발포 과립 입자가 적게 측정되었고 발포효과는 크게 차이가 나지 않았다. 발포제는 특성에 따라 발포양상이 다르게 나타나고, 영상에 공기방울 인공물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검사 시 발포제의 특성을 잘 파악하고 선택하여 사용하는 것이 정확한 검사를 가능케 할 것이라 사료된다.
영문 초록
Purpose:A foaming agent makes possible double contrast in upper gastrointestinal series (UGI) to help out an examination. However, non-famed granule particles in a gastrointestinal tract cause artifact to impede diagnosis. This study compared two different foaming agents. More specifically, it analyzed the non-foamed granule particles left after foaming to find a useful foaming agent for an examination.
Materials and Methods:The study subjects were 40 patients who had taken UGI from March to July 2016. They were 24 men and 16 women, and their average age was 61.6. As an experimental method, the subjects took 4g of a foaming agent and 10cc of water twice, and rotated in the right direction three times after taking barium contrast medium in order to take images in the order of supine - left posterior oblique - right lateral - prone - left posterior oblique - supine. The first supine image and right lateral image, and the second supine image were used for measuring nonfoamed granule particles. To evaluate the foaming performance of gastrointestinal expansion that the two foaming agents had, the ROI of the first supine image and of the second supine image was designated, and the two-dimensional cross-sectional areas was measured and analyzed. For the analysis, SPSS Statistic 20.0 was used.
Result:Regarding the comparison of the nonfoamed granule particles in the first supine image, the foaming agent of A manufacturer had 9.1 non-foamed granule particles on average, and the foaming agent of B manufacturer had 25.4 on average. The significance probability of both was lower than 0.05. Therefore, it was found that a foaming agent had a relation with the number of foamed granule particles. Regarding the comparison of the non-foamed granule particles in the second supine image, the foaming agent of A manufacturer had 7.45 on average, and the foaming agent of B manufacturer had 7.8 on average, which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the right lateral image, the foaming agent of A manufacturer had 11.95 on average, and the foaming agent of B manufacturer had 26.3 on average, which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two-dimensional cross-sectional area in the supine image was measured. As a result, the area of the foaming agent A was 16568 mm2 , and the area of the foaming agent B was 16777 mm2 , which was not greatly different.
Conclusion:The foaming agent A had fewer non-foamed granule particles than the foaming agent B , and there was no big difference in foaming effect. Depending on the characteristics of a foaming agent, a foaming pattern is different and air-bubble artifact can be found in an image. In order for an accurate examination, it is considered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a foaming agent and choose a proper one.
목차
Ⅰ . 서 론
Ⅱ. 대상 및 방법
Ⅲ. 결 과
Ⅳ. 고 찰
Ⅴ. 결 론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자동노출조절을 이용한 흉부 X-ray 검사시, air gap 에 따른 선량과 화질의 평가
- 소아 방사선 검사 시 안전 안내문이 보호자의 불안감 해소에 미치는 영향
- Phantom을 이용한 X-ray Tube 각도에 따른 Stitching method 영상의 왜곡률에 관한 연구
- 병원 영상의학과 응급검사실의 검사가운 개선을 위한 연구
- 소아 흉부 검사에서 부가필터 변화에 따른 유용성 평가
- 메르스 유행 기간 중 영상의학과의 감염관리
- 견관절 충돌 증후군 진단을 위한 극상근 출구 검사법의 평가
- 유리선량계를 이용한 실측값과 ALARA v2.0과 PCXMC 2.0의 장기선량 비교 평가 - 복부 중심으로
- Chest PA 검사에서 Bone Suppression 영상처리기법의 유용성에 관한 연구
- 소아 흉부 검사 시 촬영조건 변화에 따른 영상 평가
- Tube angle을 이용한 요추 사방향 (Lumbar spine oblique) 검사의 유용성 평가
- 의료용 인공지능에 대한 동향 분석 및 방사선사 인식조사
- 일반촬영 검사 시 Wireless digital radiography(DR) detector 사용에 따른 설문과 재질에 따른 detector case 비교
- Cam type 대퇴비구 충돌증후군 진단을 위한 Dunn View 검사에서 보조기구의 유용성
- 방사선 방어를 위한 납커튼의 유용성
- 폐 결절 진단에 대한 Bone suppression software 기능의 유용성과 화질평가에 대한 연구
- Chest lateral decubitus검사 시 자체 제작한 보조기구의 유용성
- DR wireless detector를 이용한 abdomen upright 검사 시 grid 사용에 따른 cut-off 현상을 줄일 수 있는 최적의 X선 입사각도 고찰
- 상부위장관조영술 검사시 제조사별 발포제의 미 발포과립 비교
- C-arm Lateral view에서 피폭 저감화를 위한 방호기구 사용에 따른 유용성 평가
- 보조기구를 이용한 shoulder supero-inferior axial 검사에 대한 유용성 평가
- Chest DTS (digital tomosynthesis)의 최적화 영상 조사조건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방사선과학분야 BEST
- CT contrast 검사 시 중심 정맥관을 이용한 조영제 사용에 대한 연구
- 의료용 인공지능에 대한 동향 분석 및 방사선사 인식조사
- 민간의료보험 해약 의향 영향 요인: 한국 의료 패널 2019년 2기 자료를 이용하여
의약학 > 방사선과학분야 NEW
- 폐 우좌단락 전신검사에서 관심영역의 설정방법 및 배후 방사능 보정 유무에 따른 단락률 차이의 비교
- 폐 환기/관류 검사에서 2D 단면영상과 SPECT/CT를 이용한 Auto Lung 3D 영상에서 섭취율 정량평가 비교에 관한 연구
- 선형무역치모델(Linear No Threshold Model, LNT)의 이해와 핵의학과 종사자의 방사선방호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