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儒林外史》와 南京

이용수 102

영문명
Rulinwaishi(儒林外史) and The City of Nanjing(南京)
발행기관
한국중국소설학회
저자명
崔亨燮
간행물 정보
『중국소설논총』제52집, 59~85쪽, 전체 27쪽
주제분류
인문학 > 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7.08.30
6,0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논문은 남경이라는 도시에 초점을 맞추어 18세기 중국 소설인 吳敬梓(1701-1754)의 《儒林外史》를 분석해 보려는 목적에서 쓰여졌다. 오경재는 안휘성 全椒縣 출신으로 雍正11년(1733) 33살 때 남경으로 이사한 후, 줄곧 그곳에서 살다가 54세 때 揚州에서 病死한 후 남경에 묻혔다. 생애 중후반 20년 남짓 살았던 남경은 그에게 있어서 제2의 고향이자, 고향보다 더 사랑한 도시였다. 《유림외사》 속에는 고향에서의 경험과 세태, 가문과 繼父에 대한 기억 등 그의 일생이 곳곳에 녹아져 있지만, 특히 남경이라는 도시 공간, 그곳에서 교류하며 만났던 많은 사람들, 주변 도시에 대한 여행의 경험 등이 중요한 창작의 원천이 되었다. 먼저, 《유림외사》의 전체적인 공간적 배경을 분석해 보면, 대체로 ‘江南’ 지역에 집중되어 있으며, 江南 중에서 다시 ‘남경’이라는 도시에 초점에 맞추어져 있음을 발견할 수 있다. 이는 먼저 20년 넘게 남경에 살면서 경험한 것들을 작품 속에 반영한 결과이다. 다음으로 명청 시기 강남의 특별한 의미에 주목할 필요가 있는데, 당시 강남은 단순한 지리적 개념을 넘어서서 풍요로운 경제적 기반을 바탕으로 문화적 우월감을 내포하는 개념을 가지고 있었다. 《유림외사》에서 북경이 정치와 권력의 중심지로 그려져 있다면, 남경은 이와 대조적인 가치와 지향을 상징하는 재야 사인들의 중심도시로 그려져 있다. 《유림외사》는 오경재가 살았던 18세기 당시 청조 사회, 타자에 대한 비판을 담고 있을 뿐만 아니라, 자신을 포함한 강남 士人들에 대한 愛憎의 감정이 투영되어 있다. 다음으로, 《유림외사》 속 남경은 크게 자유롭고 개방적인 성격의 문화도시, 흥망성쇠의 역사를 표상하는 도시, 市隱들의 안식처로 그려져 있다. 남경에 대한 긍정적 묘사에도 불구하고 전체적인 이미지는 활력을 잃고 점차 세속화되어 쇠락해 가는 도시로 묘사되어 있다. 남경에 대한 이런 이미지는 우선 청조가 들어선 후 남경의 위상 변화와 관련이 있다. 永樂帝의 북경 천도 이후에도 兩京 제도 하에서 명대의 남경은 여전히 留都로서 방대한 지역을 관할 통제하는 정치적 중심지일 뿐만 아니라 경제, 문화의 중심도시였다. 청조를 세운 만주족은 남경을 점령한 후 留都로서의 지위를 박탈하고 江寧府로 격하시켰다. 또한 강희⋅건륭제 시기에 진행된 강남 士人에 대한 다양한 회유 포용 정책으로 그들의 응집력과 자부심도 점차 약화되어 갔다. 그와 함께 남경이라는 도시의 정치, 학술, 문화적 위상과 의미도 점차 희미해져 갔다. 《유림외사》에 묘사되어 있는 남경 이미지 속에는 상술한 것과 같은 복합적인 상황과 맥락, 의미가 투영되어 있다.

영문 초록

In this paper I analyzed the 18th century Chinese novel, Wu jingzi(吳敬梓, 1701-1754)’s Rulinwaishi(儒林外史), especially focusing on relations with the city of Nanjing(南京). Wu jingzi was born in the country town known as Quanjiao(全椒), Anhui province and moved to Nanjing at the age of thirty-three(Yongzheng 雍正 11). After dying in Yangzhou(揚州), Jiangsu province, he buried in Nanjing at the age of 54. He lived in the so-called second hometown Nanjing, during over twenty years. It may be said that he loved Nanjing more than his hometown. Though hometown’s life and society, the memories of his father and family were reflected in Rulinwaish, it can be indicated that what influenced on his creating work were mainly as follows: the city space of Nanjing, interactions among Nanjing’s literati, and travel experiences of near cities etc. After analyzing spatial background of Rulinwaishi, I got the following result: this work generally focused on Jiangnan(江南) region, and especially focused on Nanjing as the central city of Jiangnan. First of all, it was result to reflect what writer Wujingzi lived and experienced in Nanjing during over twenty years. Second, We need to remember the peculiar concept and meaning of Jiangnan in the Ming-Qing dynasties. The concept of Jiangnan at that time had special meaning to involve cultural superiority based on abundant economic foundations beyond the pure geographic concept. In Rulinwaishi, the capital Beijing was described as the city to symbolize politics and power, in contrast, Nanjing was described as the central city of the literati to remain out of government. Rulinwaishi contain not only criticism to the other, the 18th century Qing society, but also ambivalent emotions of love and hatred for Jiangnan’s literati involving writer himself. I would also like to indicate the three images of Nanjing in Rulinwaishi: cultural city of the liberal atmosphere, city to represent the history of ups and downs, and refuge of city recluse. Despite positive aspects of Nanjing, it can be said that the general image was described as being secularized badly, and declining with loss of vitality. Though Yongle(永樂) emperor transferred the capital from Nanjing to Beijing in the early 15th century, old capital Nanjing under two capitals system still had strong influence on vast surrounding region. Nanjing was Jiangnan’s cental city in politics, economic and culture. Nanjing in the Ming dynasty was also Jiangnan literati’s mental capital until the early Qing dynasty. But it degraded an ordinary city, Jiangning fu(江寧府) under Manchu rule. The status and meaning of Nanjing grew weak among Jiangnan’s literati with Kangxi(康熙) and Qianlong(乾隆) emperor’s appeasement policies. Multiple context and meang as mentioned above, were reflected in images of Nanjing in Rulinwaishi.

목차

1. 머리말
2. 《유림외사》의 시공간
3. 《유림외사》 속의 남경 이미지
4.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崔亨燮. (2017).《儒林外史》와 南京. 중국소설논총, 52 , 59-85

MLA

崔亨燮. "《儒林外史》와 南京." 중국소설논총, 52.(2017): 59-8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