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신제도주의 조직이론의 과제와 전망: 제도적 디커플링(Institutional Decoupling) 연구를 중심으로

이용수 4234

영문명
Institutional Decoupling: Conceptual Review and Future Research
발행기관
한국인사조직학회
저자명
김동수(Dongsoo Kim) 차현진(Hyeonjin Cha) 박상찬(Sangchan Park)
간행물 정보
『인사조직연구』인사조직연구 제25권 제3호, 121~150쪽, 전체 30쪽
주제분류
경제경영 > 경영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7.08.30
6,4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논문은 지난 40여 년간 진행된 신제도주의 조직이론 연구를 제도적 디커플링 개념에 초점을 맞추어 검토한다. 신제도주의는 대표적인 조직이론 패러다임으로 국내외 조직 연구에서 확고한 입지를 차지하고 있으나, 새로운 이론 패러다임의 도출 및 검증이나 다른 패러다임 간 대화와 통합에 미치는 근본적인 기여 측면에서 학문적 입지에 걸맞은 영향력을 앞으로도 유지해 나갈 수 있을 것인지 의문도 제기되는 상황이다. 제도적 디커플링 개념은 신제도주의 조직이론의 가장 초기 시점부터 등장하여 최근까지 수많은 연구에 활용되기에 이러한 상황을 신제도론이 발달한 역사적 맥락에서 조망하는 데 유용하다. 본 논문은 제도적 디커플링 개념이 신제도주의 조직이론에서 갖는 의미를 논의하되, 관련 연구 동향을 단순 소개하는 것에서 벗어나 지금까지 연구가 신제도론의 핵심주장을 명확하게 반영하고 이론 패러다임의 확장에 기여했는지 근본적 수준에서 재고찰한다. 신제도주의 조직이론에 따르면 조직은 사회구성원이 바람직하고 당연하다고 여기는 가치와 규범을 반영하는 공식구조를 일률적으로 채택하도록 동형화 압력을 받는다. 그러나 제도화된 구조는 개별 조직의 특이성을 반영하지 못하므로 일상적 조직활동의 효율성을 높이려는 기술적 합리성 추구와 상충될 수 있다. 이처럼 의례적 규율로서 공식구조를 채택해야 하는 제도적 요구와 일상 업무의 기술적 요구가 서로 다른 경우 공식구조와 실제 운영 사이에 생겨나는 괴리 현상이 디커플링이다. 본 논문은 디커플링 개념이 처음 제시된 이후 연구자들이 이를 해석하고 실증분석을 실시하는 과정에서 개념적, 맥락적 범위가 상당히 확장되었음을 밝힌다. 그러한 확장이 신제도론의 발전에 끼친 긍정적 효과로서 제도론적 관점을 적용한 연구의 폭이 넓어지고 인접한 다른 이론 패러다임 간 학문적 대화와 통합이 촉진되었다. 그러나 개념이 지나치게 확장되어 모호성이 증가하고 방법론적 엄밀성 제고에 어려움이 가중되는 등 시급히 해결해야 할 과제도 생겨났다. 본 연구는 이러한 과제 해결의 실마리가 될 만한 중요한 쟁점을 논의하고 향후 연구 방향을 제시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focuses on the concept of institutional decoupling and critically examines whether and how it contributes to the conceptual and contextual extension of neo-institutional approaches to organization studies. A general premise of neo-institutionalism is that organizations adopt formal policies, practices, and structures, not because there is strong empirical evidence that they improve organizational performance, but because they have become so-cially accepted as appropriate, desirable, or proper. However, scholars have noted that formal adoption does not necessarily lead to actual implementation as a result of two conflicting forces: the generalized institutional pressures to require formal adoption and the organization-specific technical demands to avoid operative inefficiency associated with the adoption. In this paper, we review and critique recent studies guided by the concept of institutional decoupling and show that it has great potential not only for promoting theoretical novelty but also for facilitating productive dialogue between neighboring para-digms in organization studies. We also point to a recent increase in the number of conceptual and empirical studies as well as the diversity of such studies in terms of empirical contexts. Yet our review suggests that the concept of institutional decoupling has been over-extended in some studies, leading to theoretical ambiguity and misinterpretation. We conclude our review by examin-ing critical issues to resolve conceptual over-extension and providing several avenues for future research.

목차

Ⅰ. 서론
Ⅱ. 신제도주의 조직이론과 제도적 디커플링
Ⅲ. 제도적 디커플링 연구의 과거와 현재
Ⅳ. 향후 연구방향
Ⅴ.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동수(Dongsoo Kim),차현진(Hyeonjin Cha),박상찬(Sangchan Park). (2017).신제도주의 조직이론의 과제와 전망: 제도적 디커플링(Institutional Decoupling) 연구를 중심으로. 인사조직연구, 25 (3), 121-150

MLA

김동수(Dongsoo Kim),차현진(Hyeonjin Cha),박상찬(Sangchan Park). "신제도주의 조직이론의 과제와 전망: 제도적 디커플링(Institutional Decoupling) 연구를 중심으로." 인사조직연구, 25.3(2017): 121-15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