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유가사지론」<성문지>의 입출식념

이용수 131

영문명
Mindfulness of Breating in the Sravakabhumi
발행기관
한국요가학회
저자명
김성철(KIM, SeongCheol)
간행물 정보
『요가학연구』제4호, 65~89쪽, 전체 25쪽
주제분류
인문학 > 철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0.09.30
5,8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불교의 호흡법, 정확하게는 입출식념은 크게 두 가지 방법이 전해지고 있다. 초기 경전에 나타난 16단계 입출식념과,「안반수의경」 등에 보이는 6단계 입출식념이 그것이다. 이 두가지 입출식념은 어느 정도 대중적으로 도 알려져 있지만,「유가사지론」<성문지>의 5단계 입출식념은 아직 소개조차 되지 않은 실정이다. 본고는 입출식념에 대한 포괄적 연구에 앞서, <성 문지>의 5단계 입출식념의 소개를 목적으로 한 글이다. 초기경전에서 입출식념은 그 자체로 완결된 수행법으로서 아라한과까지 얻을 수 있는 방법으로 간주되었다. 주류불교의 체계적 수행도에서 그것은 예비적 과정으로 배치되고 대승불교에서는 거의 무시되었지만, 안반수의 경등의 선경류에서는 여전히 중시되었다. 그러나 선경류의 입출식념은 초기불전의 16단계 입출식념이 아니라 서북인도 유가사들이 창안한 6단계 입출식념이 중심이 되고 있다. 선경류의 6단계 입출식념은 호흡의 숫자세기와 따라가기 및 고정시키기 라는 3단계에 5온과 4제의 관찰이라는 출세간도의 3단계가 결합한 형태를 하고 있다. 이에 대해 <성문지>의 입출식념은 6단계 입출식념을 기본으로 하면서도 독자적인 5단계 입출식념을 발전시켰다. 체계적인 측면에서 볼 때, <성문지>의 입출식념은 선경류의 6단계 입출 식념을 계승하면서 전통적인 16단계 입출식념을 통합한 것이다. 이로써 선 경류의 6단계 입출식념과 전통적인 16단계 입출식념은 단순한 병치의 수준 을 넘어, 수행계위에 따른 단일한 하나의 체계로 성립하게 되었다. 내용적으로 <성문지>의 입출식념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우선 호흡을 세 는 방법 자체를 매우 정교화하여 삼매를 획득하기 위한 방법으로 삼고 있다. 이를 통해 체계상으로는 6단계 입출식념 중 두 번째와 세 번째 단계를 생략할 수 있게 되었다. 다음으로 입출식념에 勝解라는 별개의 방법을 결합시킨 점이 흥미롭다. <성문지>가 승해에 대해 적극적으로 평가하고 여타의 수행법과 결합시킨 이유에는 여러 가지가 있을 수 있다. 필자는 여기서 조심스럽게 대승적 관념의 영향이라는 측면을 고려해야 할 것으로 보았다. <성문지>의 입출식념 은 그 구체적인 실례의 하나로서 전통적 수행법의 대승화 과정에 관한 연구 의 좋은 소재가 될 것이다.

영문 초록

There are two kinds of systems regarding breathing tec hniques, more precisely mindfulness of breathing(Sanskrit, anapanasmrti; Pali, anapanasati), in Buddhist tradition: one is a system of 16 stages mindfulness of breathing found in the early Buddhist canons, and the other is that of 6 stages mindfulness of breathing introduced in An ban shou yi jing. While these two kinds are relatively well-known, the five stages of mindfulness of breathing in Sravakabhumi is not yet to be introduced.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before to exhaustive research on mindfulness of breathing, to make a presentation of this 5-stage-system propounded in Sravakabhumi. In earlier canons, mindfulness of breathing itself was regarded as a completed practice system which leads one to attain the status of Arhat. Even though relocated into the prerequisite stages in the highly systematized practical methods of Mainstream Buddhism, yet again, almost ignored in Mahayana Buddhism, it is still emphasized in a group of Dhyana sutras, such as An ban shou yi jing and etc. Mindfulness of breathing found in these Dhyana sutras is not based on the 16-stage-system in earlier tradition, but on the 6-stage model originated in the yogacaras in northwestern India. In the 6-stage-system of mindfulness of breathing appeared in Dhyana sutras, the first 3 stages, consisting of procedures such as, counting breaths, following up and fixation, are combined with the last 3 stages of the pats of supramudane, which indicates the observation on Five aggregates and the Four noble truths. Contrastingly, mindfulness of breathing in Sravakabhumi, based on the six-step model, though, proceeds to elaborate its unique 5-state system of mindfulness of breathing. In systematic aspects, mindfulness of breathing in Sravakabhumi successes the 6-stage system of Dhyana sutras and, at the same time, integrated the traditional 16-stage model. Thereafter, the 6 stages of mindfulness of breathing and that of traditional 16-stage model go beyond the level of being simply juxtaposed two separate systems, and become newly established as a sole system according to the stages of practice. The characteristic of mindfulness of breathing in Sravakabhumi are presented as follows: firstly, it highly sophisticated the breath-counting technique itself as a main method of attaining a samadhi state. In this manner, the 2nd and 3rd steps in the 6-stage model can be systematically leaped over. Next, it is interesting to notice that an individual method, namely adhimoksa (勝解, visualization), has been combined with mindfulness of breathing. There can be various reasons why Sravakabhumi positively evaluates visualization and integrates it into the other practical methods. I carefully suggests the influence of Mahayana notions as an aspect to be concerned. If so, mindfulness of breathing in Sravakabhumi might serve as a good example of decent materials in the field of researching on Mahayanization of traditional practical methods.

목차

서론
1. 선경류의 6단계 입출식념
2. <성문지>의 5단계 입출식념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성철(KIM, SeongCheol). (2010).「유가사지론」<성문지>의 입출식념. 요가학연구, (4), 65-89

MLA

김성철(KIM, SeongCheol). "「유가사지론」<성문지>의 입출식념." 요가학연구, .4(2010): 65-8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