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衛滿朝鮮과 匈奴의 ‘穢裘’ 交易

이용수 441

영문명
The trade of ‘huiqiu(穢裘)’ between Weimanchosŏn(衛滿朝鮮) and the Xiongnu(匈奴)
발행기관
한국고대학회
저자명
최슬기(Choi Seul Ki)
간행물 정보
『선사와 고대』先史와 古代 52輯, 53~86쪽, 전체 34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7.06.30
6,8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漢書』韋賢傳에는漢이 衛滿朝鮮과전쟁을벌인사실에대해“東으로 朝鮮을쳐서, 玄菟·樂浪(郡)을 세워匈奴의 왼쪽팔을 잘랐다.”고하였다. 이때문에 일찍부터衛滿朝鮮과匈奴의 관계가 상정되어 왔다. 그런데 이와 관련된 직접적인 자료가 제한적이었던 까닭에 그 구체적인 관계에 대한 논의는 진전되지 않았다. 이에 본고에서는 衛滿朝鮮과 匈奴의 관계가 구체적으로 어떻게 전개되었는지 구명해 보고자 하였다. 기원전2세기는 衛滿朝鮮과 漢, 그리고 匈奴가 각자세력을확장시키며 상호교섭·충돌한 시기였다. 건국이래匈奴에대하여 수세적 입장을 취한漢은武帝代에정책을전환하여匈奴와 대규모 전쟁을 벌였다. 이 과정에서 漢이 衛滿朝鮮을 ‘匈奴의 왼쪽 팔’로 인식했는데 이는匈奴를 경제적으로 지원했던 西域諸國을 ‘匈奴의 오른쪽 팔’이라고 본 것에 대응된다. 이를통해 衛滿朝鮮과 匈奴의 관계가 西域이 匈奴와 가졌던 경제적 관계에 준하는 영향력을 지닌 것으로 漢人에게 인식되었다고 볼 수 있다. 衛滿朝鮮과匈奴의구체적관계를유추할수있는자료로기원전2세기경에저술된 『淮南子』의 ‘匈奴出穢裘’라는 기록이 있다. 이 穢는 前漢代 사실을 전하는 『史記』 , 『鹽鐵論』 , 『漢書』 , 『後漢書』 의 기록을 통해 검토한 결과 穢(穢貉)朝鮮과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穢(穢貉)는朝鮮으로 인식되기도 하였던 것을 알 수 있었다. 한편 漢武帝시기에 衛滿朝鮮을 濊州로 표현한 것을 통해 기원전 2세기경 濊가 衛滿朝鮮의 異稱이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기원전 2세기 무렵 漢人에게 穢(濊)로 인식된 衛滿朝鮮이 匈奴와 가죽(裘)을 교역했을 것이며, 이러한사실이 ‘匈奴出穢裘’라는 기록으로 나타난 것으로 보인다. 이를 토대로 살펴보면 穢裘의 실체는 ‘發朝鮮의 文皮’( 『管子』 )와 ‘文豹’(『三國志』 東夷傳濊條)의사례를 고려 할 때 표범 가죽이었을 것이다. 이러한 穢裘는 匈奴에게 있어 교환가치나 희소가치가높은貴重品·奢侈品혹은 威勢品(prestige goods)으로여겨졌을것이다. 그러므로 衛滿朝鮮과 匈奴의 가죽교역은 威勢品交易이었을 가능성이 높다. 이러한 교역은 衛滿朝鮮과 匈奴의 세력권역이 겹쳤던 遼東지역을 중심으로 이루어졌을 것이다. 당시 遼東지역은 匈奴로 인한 피해가 극심했다. 또한 衛滿이 朝鮮으로 망명한 뒤 세력을 키우기 시작한 곳도 遼東이었다. 이곳에는 당시 漢의 遼東郡이 설치되어 있었지만 武帝이전까지는 실질적인 통제력을 발휘하지 못 했다. 이에 衛滿朝鮮과 匈奴가 遼東을 경유하여 穢裘를 교역 할 수 있었다고 판단된다. 특히 遼東을 세력기반으로 둔 匈奴의左賢王세력과 교역했을 것으로 보인다. 결국 『漢書』 韋賢傳의기록은 衛滿朝鮮과匈奴가가죽을교역하면서이를기반으로 군사·정치적 우호관계를 맺었던 사실을 표현한 것으로 생각된다. 특히 본고에서 검토한 것처럼 威勢品交易을 상정한다면 양자의 정치적 관계는 더욱 밀접했을 것으로 생각된다. 이러한 관계가 衛滿朝鮮이 ‘匈奴의 왼쪽 팔’이었다고 표현된 것으로 볼 수 있다.

영문 초록

According to Weixianchuan(韋賢傳) in Hanshu(漢書), the Han(漢) dynasty “cut the Xiongnu(匈奴)’s left arm by conquering Chosŏn to the east and establishing the Xuantu(玄菟), Lelang(樂浪), and other(commanderies).” This statement allowed the scholars to suggest that there was a certain relationship between Weimanchosŏn(衛滿朝鮮) and the Xiongnu. Still, as there is a limitation of the contextual historical records, the discussion could not progress to the point of defining their relationship in literal terms. Thus, this paper will reveal how Weimanchosŏn and Xiongnu literally developed their relationship. The second century B.C. was a period when Weimanchosŏn, the Han dynasty, and Xiongnu had expanded their territories and influence, and inevitably collided into each other. Directly after its foundation, the Han dynasty had maintained their defensive position, but changed their policy and started a large scale war against the Xiongnu during the reign of Emperor Wu(武帝). In this process, the dynasty considered Weimanchosŏn as the Xiongnu’s left arm, and the perspective that the Han dynasty viewed Weimanchosŏn as ‘the Xiongnu’s left arm’ could be compared with the situation that the states in the west from China(西域) were called as ‘the Xiongnu’s right arm.’ This terms indicates that the Han people realized the relationship between Weimanchosŏn and the Xiongnu was as strong as having an economic relationship. To suggest the literal relationship between Weimanchosŏn and the Xiongnu, the records in Huainanzi(淮南子), compiled in the second century B.C., is worth to pay attention; the statement in this book, “Xiongnuchuhuiqiu(匈奴出穢裘; ‘huiqiu’ comes from the Xiongnu)” is especially important. Here, the term “hui(穢; ‘Ye’ in Korean)” could be analyzed with the same term in other historical texts in the Former Han(前漢) period. These “Hui” or “Huihao(穢貉; ‘Yemaek’ in Korean)” were closely related to Chosŏn, and even interpreted as the same body politic as Chosŏn in dependence of the texts. Meanwhile, considering the record in the reign of Emperor Wu that Weimanchosŏn was illustrated as “Huizhou(濊州; Yechu in Korean; Ye(Hui)’s province)”, it is confirmed that Ye(Hui) was another name for Weimanchosŏn in the second century B.C.. Thus, it is possible that Weimanchosŏn, known to the Han people as Hui(穢or 濊), traded “qiu(裘; an animal skin),” a phenomenon that reflected in the statement “Xiongnuchuhuiqiu(Ye’s animal skins comes from the Xiongnu).” Based on this hypothesis, this paper analyzed the statement from Huainanzi in the perspective of intermediate trade. In consideration of the examples such as “Palchosŏn(發朝鮮)’s Wenpi[文皮; a term comes from Guanzhi(管子)],” or “Wenbao[文豹; a term comes from a note on Hui(Ye), Dongyichuan”, in Sanguozhi(三國志)] “Huiqiu,” or “Hui(Ye)’s animal skin” is possibly a leopard skin. Hence, “Huiqiu” could be considered as a valuable or luxury, or prestige goods to show the political leaders’ authority high in scarcity value. In other words, the trade of animal skins between Weimanchosŏn and the Xiongnu had a characteristic of the trade of these ‘prestige goods’, rather than an intermediate trade. The main stage for this trade could be the Liaodong region, a place that Weimanchosŏn and the Xiongnu’s spheres of influence were overlapped. At that time, the region was an area that had a large damage from the Xiongnu’s invasion, and Weiman(衛滿) started to develop his power after he defected to Chosŏn. Although the Liaodong commandery(遼東 郡) was established, it did not have enough influence over the region until the reign of Emperor Wu, which allowed Weimanchosŏn and the Xiongnu to have a trade of “Huiqiu” through the Liaodong Peninsula. In particular, it seems to have been trading with the 左賢王forces of Liaodong who had

목차

국문초록
Ⅰ. 머리말
Ⅱ. 漢武帝의 대외정책과 匈奴의 左臂
Ⅲ. 淮南子 의 穢裘와 穢(濊)
Ⅳ. 穢裘의 産地와 交易體系
Ⅴ.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최슬기(Choi Seul Ki). (2017).衛滿朝鮮과 匈奴의 ‘穢裘’ 交易. 선사와 고대, 52 , 53-86

MLA

최슬기(Choi Seul Ki). "衛滿朝鮮과 匈奴의 ‘穢裘’ 交易." 선사와 고대, 52.(2017): 53-8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