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자기결정기술 중심의 전환계획프로그램이 전공과 지적장애인의 전환계획인식, 자기결정기술 및 적응행동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563

영문명
The Impacts of a Transition Planning Program based on Self-Determination Skills on the Transition Planning Awareness, Self-determination, and Adaptive Behaviors of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in the Vocational Education Class of a Special School
발행기관
한국자폐학회
저자명
임대섭(Im, Dae sup) 방명애(Bang, Myong ye)
간행물 정보
『자폐성장애연구 [ISSN 2005-1778 (Print) / 2671-6992 (Online)]』제10권 제2호, 85~111쪽, 전체 27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0.12.30
6,0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자기결정기술 중심의 전환계획프로그램이 전공과 지적장애인의 전환계획인식, 자기결정기술 및 적응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는 것이었다. 전환계획프로그램은 직업생활, 주거생활, 여가생활, 평생교육 영역에 관련된 자기결정기술의 하위영역들을 중심으로 구성되었다. 연구설계는 사전-사후 통제집단 설계를 사용하였으며, S 특수학교 전공과 지적장애인 16명을 실험집단으로 하였고, H 특수학교 전공과 지적장애인 16명을 통제집단으로 하였다. 중재는 3개월 동안 46회기 실시되었으며, 자료처리는 두 집단의 종속변인 증가분에 대한 두 독립표본 t 검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의 평정에 따르면, 자기결정기술 중심의 전환계획프로그램이 전공과 지적장애인의 전환계획인식을 향상시켰다. 둘째, 전환계획 인식에 대한 학생의 자기보고서에 따르면, 자기결정기술 중심의 전환계획프로그램이 전공과 지적장애인의 전환계획에 대한 이해, 적용 자신감, 태도를 향상시켰으며, 전환계획 활동이 도움이 되었다고 인식하였다. 셋째, 교사의 평정에 따르면, 자기결정기술 중심의 전환계획프로그램이 전공과 지적장애인의 자기결정기술의 네 가지 하위영역을 향상시켰다. 넷째, 교사의 평정에 따르면, 자기결정기술 중심의 전환계획프로그램이 전공과 지적장애인의 집단활동 시 적응행동을 향상시켰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mpact of a transition planning program based on self-determination skills on the transition planning awareness, self-determination, and adaptive behaviors of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in the vocational education class of a special school. The research design was a pre-and post- test control group design. Sixteen students were assigned into the experimental group, and 16 students were assigned into the control group. The intervention was a transition planning program based on self-determination skills. The dependent variables were transition planning awareness, self-determination, and adaptive behaviors of students. For analysis of data, two independent sample t-tests and percentage were used. The study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on the student awareness of transition planning evaluated by teachers; (2) According to student rating, their perceptions of transition planning were improved. (3) According to teacher rating,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on the 4 sub-areas of self-determination skills evaluated by the Self-Determination Scale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in Transition; (4)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on the adaptive behaviors evaluated by teachers.

목차

요약
I. 서론
1 .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 연구문제
II. 연구방법
1 . 연구대상
2. 측정도구
3. 연구절차
4. 중재충실도와 사회적 타당도
5. 자료처리
III. 연구결과
1. 교사가 평정한 전환계획 인식에 있어서의 집단 간 차이
2. 자기보고서에 나타난 학생의 전환계획인식
3. 교사가 평정한 자기결정기술의 집단 간 차이
4. 집단활동 시 적응행동에 있어서의 집단 간 차이
IV.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임대섭(Im, Dae sup),방명애(Bang, Myong ye). (2010).자기결정기술 중심의 전환계획프로그램이 전공과 지적장애인의 전환계획인식, 자기결정기술 및 적응행동에 미치는 영향. 자폐성장애연구 [ISSN 2005-1778 (Print) / 2671-6992 (Online)], 10 (2), 85-111

MLA

임대섭(Im, Dae sup),방명애(Bang, Myong ye). "자기결정기술 중심의 전환계획프로그램이 전공과 지적장애인의 전환계획인식, 자기결정기술 및 적응행동에 미치는 영향." 자폐성장애연구 [ISSN 2005-1778 (Print) / 2671-6992 (Online)], 10.2(2010): 85-11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