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자폐성장애 아동의 어휘적모호성 단어 정의하기
이용수 1105
- 영문명
- Definitional Category Analysis of Ambiguous Words in Korean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 발행기관
- 한국자폐학회
- 저자명
- 이희란(Hee Ran Lee)
- 간행물 정보
- 『자폐성장애연구 [ISSN 2005-1778 (Print) / 2671-6992 (Online)]』제12권 제2호, 21~36쪽, 전체 1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2.08.30
4,7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자폐성장애 아동을 대상으로 어휘적모호성을 가진 단어에 대한 단어정의하기 능력을 우세의미와 열세의미에 따른 정의정확도와 정의유형 분석을 중심으로 비교하였다. 특히, 자폐성장애 아동 집단은 고기능자폐성장애와 일반 자폐성장애 집단으로 나누어 비교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연구에 참여한 두 집단의 아동들 모두 전반적으로 우세의미와 비교해 열세의미 정의하기에서 정의정확도가 낮았다. 하지만 고기능자폐성장애 아동은 우세의미와 열세의미 모두에서 일반 자폐성장애 아동과 비교해 정의정확도가 높았으며, 이러한 차이는 통계적으로도 유의미하였다. 둘째, 고기능자폐성장애 아동은 일반 자폐성장애 아동과 비교해 우세의미와 열세의미 정의하기 모두에서 보다 다양한 정의유형을 사용하여 단어를 정의하였다. 또한 우세의미 정의하기에서 분류와 정의다양도의 정의유형에서 자폐성장애 아동과 비교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은 수행을 보였다. 반면, 열세의미에서는 관계와 분류개념의 정의유형에서 높은 수행을 보였다. 마지막으로, 정의유형 빈도에 따른 순위를 살펴보면, 두 집단 모두 전체 정의유형 가운데 기능적 정의를 가장 많이 사용하였으나, 고기능자폐성장애 아동은 그 다음 정의유형으로 관계(관련실체)정의를, 자폐성장애 아동 집단은 물리적 정의 중 속성을 가장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고기능자폐성장애아동이 하나의 단어를 하나 이상의 의미로 사용하는 인지적 융통성이 부족하다는 사실을 시사하는 것으로 보인다.
영문 초록
Word definition skills are closely related with semantic development and metalinguistic skills in child language acquisition. The assessment of children’s word definitions can provide useful clinical information about how children use their lexical knowledge and the type of educational and clinical interventions. The present study was designed to compare the definition skill of ambiguous words between children with high functioning autism and children with low functioning autism. 22 children with ASD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children were asked to define using both meanings(a dominant and a subordinate meaning) of the presented 14 polysemous words. The definitions were analysed into six categories: functional, relational, perceptual, categorical, indicating, and variety of definition. The principal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1) HFA children’s variety of definitions had significantly more than the LFA in both the dominant and the subordinate meanings. (2) LFA group sticked to the indicating category compared with the HFA group. (3) The definitions with the subordinate meaning were poorer than the dominant meaning in both groups.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HFA group produce the verbal definition skill more than the LFA children. The results were discussed to reflect the HFA children’s deficiency in the cognitive flexibility.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연구방법
1. 연구대상
2. 도구
3. 절차
4. 자료분석
Ⅲ. 결과
1. 집단 간 정의정확도 결과
2. 집단 간 정의유형 분석 결과
Ⅳ.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감각통합 프로그램 중재연구에 관한 분석 및 고찰
- 자폐성장애 아동의 어휘적모호성 단어 정의하기
- 자폐범주성장애 아동과 지적장애 아동의 초기 의사소통 행동 비교
- 『자폐성장애연구』 투고규정
- 촉진적 의사소통방법(Facilitated Communication)과 관련된 논쟁을 포스트모더니즘 관점에서 새롭게 바라보기
- 자폐 범주성 장애 유아를 위한 자연적 교수 전략의 중재요소 고찰
- 장애아동 가족을 위한 가족탄력성 지원 프로그램의 고찰
-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의 제한된 행동과 관심에 대한 교사의 경험과 인식
- 비디오 프롬팅을 활용한 중재가 저기능 자폐성장애 고등학생의 조립작업에 미치는 영향
- 파워카드 전략을 이용한 중재가 고기능 자폐성 장애 청소년의 자발적 발화에 미치는 효과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코로나19로 인한 일상생활의 변화가 코로나블루에 미치는 영향
- 우리나라 저출산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 청소년의 학교생활부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 학교부적응 청소년들을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