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단계적 점검 훈련이 지적장애인의 청소기술에 미치는 효과

이용수 130

영문명
The Effect of Stepwise Monitoring Training on Cleaning Skills of Individual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발행기관
한국자폐학회
저자명
김영준(Kim, Young Jun) 도명애(Do, Myung Ae)
간행물 정보
『자폐성장애연구 [ISSN 2005-1778 (Print) / 2671-6992 (Online)]』제15권 제2호, 67~92쪽, 전체 26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5.08.30
5,9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단계적 점검 훈련이 지적장애인들의 청소기술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특수학교 전공과 졸업 이후 생산직 파트타임으로 직장생활을 유지하고 있는 지적장애인 세 명을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실험 환경은 연구 대상들이 생활일과별로 활용하는 공간인 가정 내 거실 및 베란다, 사업체 내 직원 휴게실, 가정 내 방으로 구성되었으며, 실험 설계는 단일대상연구의 한 가지 기법인 대상자간 중다간헐 기초선 설계를 사용하였다. 독립변인인 단계적 점검 훈련은 연구 대상들의 생활일과를 3가지로 분류하여 점검훈련의 적용 형태와 방법을 3가지의 단계로 구성하였다. 교수자가 연구 대상들이 생활하는 가정과 사업체를 방문하는 수업 방식으로 중재의 절차가 실시되었다. 1단계 점검훈련에서는 생태학적 환경 점검, 그림 그리기 점검, 과제분석표의 점검을 통한 문장 진술이 구성되었고, 2단계 점검훈련에서는 1단계에서 제작한 수첩 자료와 연계한 점검활동이 구성되었다. 또한, 3단계 점검훈련에서는 2단계에서 제작한 수첩 자료와 연계한 마무리 점검활동이 구성되었다. 목표행동은 연구 대상들이 실제로 거주하는 가정 내의 거실을 진공청소기와 회전 밀대 탈수 청소기로 청소하는 기술이다. 연구 결과, 연구 대상들은 중재프로그램을 통하여 목표행동을 효과적으로 습득하고 유지 및 일반화한 것으로 나타났다. 끝으로, 본 연구는 독립변인과 종속변인의 기능적 관계가 기능적으로 시사하는 바를 중심으로 논의 및 제언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 of stepwise monitoring training for each daily task on cleaning skills of individual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For this purpose, three individual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maintaining work life as part-time production workers after graduating from majoring course of special school were selected as subjects. The experimental environment consisted of spaces used by the subjects for each daily task such as living room and veranda at home, employee lounge at work, and bedroom at home. The experimental design used multiple probe design across subjects as one of single subject research techniques. Stepwise monitoring training for each daily task, an independent variable, was organized into three steps of application and method by classifying daily tasks of the subjects into three types. An instructor performed an intervention procedure by conducting lectures at home and work of the subjects. In the monitoring training step 1, monitoring was done on ecological environment, drawing picture, and sentence statement through task analysis table. In the monitoring training step 2, monitoring activities were linked to pocket notebook data created in the step 1. Also in the monitoring training step 3, final monitoring activities were linked to pocket notebook data created in the step 2. The target behavior of cleaning skills is an ability of the subjects to clean living room at home using a vacuum cleaner and spin mop dry cleaner. As a result of this study, the subjects were found to effectively acquire, maintain and generalize the target behavior through the intervention program. Lastly in this study, implications of functional relationship between independent and dependent variables were discussed and suggested.

목차

요약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 연구문제
Ⅱ. 연구방법
1. 연구 대상
2. 실험 환경 및 목표행동
3. 실험 설계: 단일대상연구
4. 단계적 점검 훈련(독립변인)
5. 자료 측정
6. 관찰자간 신뢰도
7. 중재 충실도
8. 사회적 타당도
Ⅲ. 연구결과
1. 청소기술 습득 효과
2. 청소기술 유지 및 일반화 효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영준(Kim, Young Jun),도명애(Do, Myung Ae). (2015).단계적 점검 훈련이 지적장애인의 청소기술에 미치는 효과. 자폐성장애연구 [ISSN 2005-1778 (Print) / 2671-6992 (Online)], 15 (2), 67-92

MLA

김영준(Kim, Young Jun),도명애(Do, Myung Ae). "단계적 점검 훈련이 지적장애인의 청소기술에 미치는 효과." 자폐성장애연구 [ISSN 2005-1778 (Print) / 2671-6992 (Online)], 15.2(2015): 67-9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