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계층적 성분모형을 적용한 수학 불안 검사의 타당화

이용수 326

영문명
An Application of Hierarchical Component Model to Validation of a Mathematics Anxiety Scale
발행기관
한국교육평가학회
저자명
이현숙(HyunSook Yi)
간행물 정보
『교육평가연구』제30권 제2호, 245~267쪽, 전체 23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7.06.30
5,5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반영적-형성적 측정의 2차 요인 구조로 정의될 수 있는 검사의 타당화 과정에서 계층 적 성분모형을 적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검사 도구는 수학 불안을 측정하는 MASS 검사로, 본 연구에서는 수학 불안을 2차 요인으로 설정하고, 문제해결, 추상성, 자아개념 등 수학 불안을 유발하는 7개의 원인을 1차 요인으로 정의하였으며, 1차 요인과 이를 측정하는 문항 간에는 반영적 측정 구조를, 1차 요인과 2차 요인 간에는 형성적 측정 구조를 가지는 2차 요인 모형으로 설정하여 재타당화 하였다. 이처럼 고차 요인 구조를 가지면서 측정모형 중 일부가 형성적으로 설정된 모형의 경우, CFA 모 형에 기반한 전통적 타당화 방법을 적용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에 대한 대안으로 서 계층적 성분모형을 적용하고, 1차 요인에 대한 문항들을 2차 요인의 측정변수로 구성하는 반복측정 변수법을 적용하였다. 분석은 PLS-SEM의 개념적 체계 내에서 실시하였으며, 수렴 타당도와 변별 타당 도를 포함한 다양한 통계적 기준에 기초하여 구인 타당도를 검증하였다. 또한 수학 불안 유발 요인들 의 상대적인 중요성과 실행도를 평가하는 중요도-실행도 분석을 실시함으로써, 수학 불안을 감소시키기 위해 어떠한 요인에 중점을 둔 교육적 개입이 필요한지에 관해 논의하였다. 마지막으로, 형성적 측 정 구조를 포함하는 검사 도구의 타당화 과정에서 반영적 측정모형에 기초한 분석 방법을 적용하는 것의 한계 및 PLS-SEM을 통한 분석이 가지는 장단점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mployed a hierarchical component model (HCM) in validating a short version of Mathematics Anxiety Scale for Students (MASS). The scale has a second-order measurement structure, composed of a general mathematics anxiety as a second order factor and seven first-order factors causing math anxiety such as lack of problem solving skills, abstract nature of math, and negative self-concept. The measurement model of the MASS has a form of reflective-formative structure, which makes application of traditional CFA-based validation procedure inappropriate. As an alternative approach, the HCM with repeated-measures approach was applied in this study. Within the conceptual framework of the PLS-SEM, various statistical procedures for evaluating convergent validity and divergent validity were conducted. In addition, an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IPA) was also applied in order to identify factors and items that had relative importance for predicting math anxiety and showed relatively low performance in reducing math anxiety. Finally, limitations of formative measurement model and PLS-SEM based approach were discussed.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현숙(HyunSook Yi). (2017).계층적 성분모형을 적용한 수학 불안 검사의 타당화. 교육평가연구, 30 (2), 245-267

MLA

이현숙(HyunSook Yi). "계층적 성분모형을 적용한 수학 불안 검사의 타당화." 교육평가연구, 30.2(2017): 245-26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