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지각된 노인 낙인 척도 개발을 위한 탐색적 연구

이용수 992

영문명
An Exploratory Study For Developing Perceived Elderly Stigma Scale
발행기관
한국노년학회
저자명
안순태(An, Soontae) 오현정(Oh, Hyun Jung) 정순둘(Chung, Soondool)
간행물 정보
『한국노년학』제37권 2호, 309~328쪽, 전체 20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7.05.30
5,2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지각된 노인 낙인 척도개발을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노인 인구에 대한 타 세대의 부정적 고정관념과 낙인은 노인의 삶의 질 저하와 건강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요인임에도 불구하고 이를 체계적으로 측정하기 위한 척도는 아직 개발되지 않은 실정이다. 본 연구는 국내의 사회문화적 성격을 반영한 노인 낙인 척도 개발을 위해 기존 문헌과 43명의 젊은 성인들로부터 추출한 항목들을 바탕으로 총 34개의 항목으로 이루어진 척도를 1차로 구성하였다. 그리고 전문가 자문과 내부 연구자 회의를 거쳐 총 31개의 항목으로 구성된 지각된 노인 낙인 척도를 잠정 개발하였다. 척도의 차원성, 신뢰도, 타당도를 확인하기 위해 252명의 65세 미만 성인남 녀를 대상으로 지각된 노인 낙인, 연령주의, 노인차별주의, 노인 태도, 노인 공경을 측정하였다. 탐색적 요인 분석 결과, 28개의 항목으로 최종 구성된 지각된 노인 낙인 척도는 ‘기질’, ‘능력’, ‘외모’, ‘권위주의적 의존’, ‘자 식집착’의 5개 차원으로 구분되었으며, 각 차원의 세부 항목들은 적절한 내적 합치도를 보였다. 지각된 노인 낙인 척도는 이론적으로 정적 관계에 있는 연령주의, 노인차별주의와는 정적 상관관계를, 개념적으로 반대에 있는 노인 태도와는 부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한편, 노인 공경 인식과는 유의미한 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본연구는 세대통합을 위한 노인 낙인 해소 연구와 실무의 기초가 되는 척도 개발을 통해 노인 낙인의 현주소를 확인하고 향후 효과적인 정책 변화와 홍보 전략 수립의 이론적 근거를 마련하는 데 기여할 것이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perceived elderly stigma scale for intergenerational research and practice. Although negative stereotypes on elderly population have worsened physical and psychological health of older people, there has been a lack of systematic efforts to measure and monitor stigmatic perception and behavior of younger generation on elderly people. We initially constructed a 34-item perceived elderly stigma scale, by integrating the processes of literature review and exploratory item generation. After confirming the face validity of the scale, a 31-item perceived elderly stigma scale was tested with 252 adults recruited from an online research panel. The result of an exploratory factor analysis suggests a 5-factor solution with 28 items: ability, personality, appearance, authoritarian dependancy, and family-obsession. The convergent/discriminant validity was confirmed by examining its relationships with ageism, elderly discrimination, attitude toward elderly, and respect for elderly. After a series of refinement and empirical tests, the perceived elderly stigma scale would contribute to understanding the current state of elderly discrimination in our society and to develop necessary policies and promotion strategies to eliminate intergenerational conflict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안순태(An, Soontae),오현정(Oh, Hyun Jung),정순둘(Chung, Soondool). (2017).지각된 노인 낙인 척도 개발을 위한 탐색적 연구. 한국노년학, 37 (2), 309-328

MLA

안순태(An, Soontae),오현정(Oh, Hyun Jung),정순둘(Chung, Soondool). "지각된 노인 낙인 척도 개발을 위한 탐색적 연구." 한국노년학, 37.2(2017): 309-32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