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전문대학 구조개혁 정량지표 평가 방향과 함의

이용수 102

영문명
The Implications and Directions for Evaluation of Quantitative Indices in Evaluating the Structural Reform of the Junior Colleges
발행기관
전북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저자명
김명수(Kim Myoung Soo)
간행물 정보
『교육문제연구』제21권 제2호, 47~71쪽, 전체 25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5.12.30
5,8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연구는 129개 사립전문대학을 대상으로 교육여건, 학사관리, 학생지원 등의 대학구조개혁 정량 평가 항목을 분석하였다. 산출된 데이터와 점수에 따라 SPSS 20을 사용하여 수도권 42개 대학과 비수도권 87개 대학으로 분류하여 기술통계량과 빈도분석을 권역(지역)별로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10개 지표 합산 점수는 평균과 표준편차가 각각 45.8, 1.97로 나타났고, 평균값 이하 대학은 18개(14%)로 나타났다. 점수분포곡선에서도 우측편향으로 뾰족한 형태를 보였으며, 대학 간 전임교원확보율, 교사확보율, 전임교원 강의비율, 강의 규모의 적절성, 신입생 충원율, 졸업생 취업률에서는 대체로 권역별로 비슷하게 나타났다. 교육비 환원율은 수도권(5.3)보다 비수도권(5.7)이 높았고, 시간강사 보수 수준은 반대로 비수도권(0.9)보다는 수도권(1.0)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장학금 지급률은 수도권(4.2)보다는 비수도권(4.5)대학이 0.3% 높게 나타났으며, 재학생 충원율에서는 강원권(4.6)을 제외한 나머지 5개 지역은 모두 4.8점 이상으로 나타났다. 총점이 평균이하인 대학은 예술 계열로 나타났으며 이들 대학을 제외할 경우 정량지표 점수는 더욱더 변별력이 잃게 되어 구조개혁평가 항목으로서 가치와 의미를 재검토 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토대로 2015년 전문대학 구조개혁평가에 있어서 시사점과 한계점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The study analysed the items of the quantitative evaluations of the structural reform of 129 junior colleges such as educational circumstances, management of college academic affairs and financial support for students The descriptive statistics and the analysis of frequency were conducted through SPSS 20, on the basis of the data produced and scores, classifying the colleges according to 42 colleges in capital region and 87 ones in non-capital ones.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the average and standard deviation of ten indices of the colleges summed up were each 45.8 and 1.97, and 18 colleges (14%) out of 129 showed below average. The curve of the score distribution also showed a sharp point tending to a decline towards right, while colleges were similar to one another in employment rate for full-time instructors, security of school buildings, rate of lectures of full-time instructors, appropriate scale of lectures, enrollment of newly entered students, employment rate of graduates. The rate of return for school tuition was higher in colleges in non-capital region (5.7) than those of capital regions (5.3) while payment of part-time lecturers in capital regions (1.0) was higher than in non-capital ones (0.9). Also rates of scholarships in non-capital colleges (4.5) were 0.3% higher than colleges in capital regions (4.2). The recruit for the students who left the school showed 4.8 in all five regions except for Gangweon district (4.6). Those colleges below average in total scores were groups of colleges of Art. With these colleges excepted, the quantitative indices lose the distinction among colleges, necessitating the review of the value and importance of the items for structural revision. On the basis of the results of this analysis, som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e evaluation of the structural reform of the junior colleges were presented.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사립전문대학 구조개혁 정량평가 분석결과
Ⅲ.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명수(Kim Myoung Soo). (2015).전문대학 구조개혁 정량지표 평가 방향과 함의. 교육문제연구, 21 (2), 47-71

MLA

김명수(Kim Myoung Soo). "전문대학 구조개혁 정량지표 평가 방향과 함의." 교육문제연구, 21.2(2015): 47-7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