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창작 교육에서 학습자의 창의성 제고 방향 모색

이용수 307

영문명
Explore the direction of increase creativity of Learner in the creative writing education - Focusing on Pilot Project of Literary creative writing field in The school culture and arts education
발행기관
우리말교육현장학회
저자명
민정호(Min Jung ho) 전한성(Jeon Han sung)
간행물 정보
『우리말교육현장연구』제11권 제1호, 201~227쪽, 전체 27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7.05.31
6,0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학교문화예술교육 문학 창작 분야 시범사업의 일환으로 전국 16개 고등학교에서 이루어진 16차시 문학 창작 수업에 대한 학생들의 사전・사후 인식 설문 분석을 바탕으로 창의성 제고 방향을 모색하는 데 있다. 본고에서는 학교문화예술교육 문학 창작 분야의 특징을 밝히고, 창작 수업에 대한 학생들의 사전・사후 설문조사를 분석하여 창의성 함양에서 부족한 부분이 무엇인지 밝혀보았다. 학생들은 창의성 영역 가운데 ‘호기심’, ‘심미성’, ‘사고 개방성’ 항목에서 ‘언어적 표현’과 관련된 부분이 부족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이를 바탕으로 창작 교육에서 학습자의 창의성 신장을 위해 다음의 세 가지를 제시하였다. 첫째, 창작 과정에서 요구되는 창의성 영역의 모든 하위 구성 요소에 ‘언어적 인지’ 요소가 전제되어야 한다. 둘째, ‘호기심’, ‘심미성’, ‘사고 개방성’ 이외에 ‘표현성’이라는 요소를 추가하여야 한다. 셋째, ‘심미성’과 ‘표현성’이 ‘언어적 표현’이라는 측면에서 일부 겹치는 부분이 있으므로 이들 범주를 재개념화할 필요가 있다. 향후 학교문화예술교육 문학 창작 분야에서 전개될 창작 교육은 이와 같은 세 가지 유의점을 적극 반영하여 학습자의 창의성을 제고하는 방향으로 실천되어야 할 것이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eek the direction of increase creativity of creative writing in Literary creative writing field at the school based Arts and Culture Education based on survey analysis of students’ awareness in pre creative class and post creative class. In this paper, we outlined the full content of Literary creative writing field in The school culture and arts education and clarified the lacking elements to get creativity based on survey analysis of students’ awareness about the creative writing education in pre creative class and post creative class. In the survey analysis, we clarified the students’ lack of language expression among the creativity’s prerequisites. That’s why it presented the following three based of this for learner to get creativity in the creative writing education. First, the linguistic cognitive factors need to be strengthened among the required creativity’s element in the creative process. Second, It will be added ‘expressiveness’ in addition to ‘the spirit of inquiry’, ‘aestheticism’, ‘openness’. Third, ‘aestheticism’ and ‘expressiveness’ needs to re-conceptualize to prevent confusion of concepts in terms of the linguistic expression To be deployed effectively the creative writing education of the school based Arts and Culture Education at the classroom scene in the future, it will be reflected the three considerations and be applied the way to improve the learner’s creativity.

목차

요약
1. 서론
2. 연구방법 및 내용
3. 연구결과 분석
4. 결론 : 창작 교육에서 학습자의 창의성 제고 방향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민정호(Min Jung ho),전한성(Jeon Han sung). (2017).창작 교육에서 학습자의 창의성 제고 방향 모색. 우리말교육현장연구, 11 (1), 201-227

MLA

민정호(Min Jung ho),전한성(Jeon Han sung). "창작 교육에서 학습자의 창의성 제고 방향 모색." 우리말교육현장연구, 11.1(2017): 201-22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