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청자-화자 지위관계 및 종결어미 일치 여부에 따라 경어법 문장처리과정에서 나타나는 청년층 및 노년층 간 ERP 성분 차이 분석

이용수 304

영문명
Age-Related Differences in ERP Components during Korean Honorific Sentence Processing Depending on Listener s Social Status and Predicate Agreement
발행기관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저자명
오선정(Seon Jeong Oh) 성지은(Jee Eun Sung)
간행물 정보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 vol22. no.1, 101~116쪽, 전체 16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7.03.30
4,7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배경 및 목적: 한국어가 가지는 언어형식인 경어법 처리과정을 청년층과 노년층을 대상으로 ERP 실험을 통해 살펴보고자 한다. 방법: 청년층 23명(만20-40세), 노년층 21명(만60-80세), 총 44명이 본 연구에 참여하였다. 실험 문장은 호칭+목적어+서술어 3어절 문장으로, 서술어 종결어미를 변화시켜 구성하였다. 호칭에서 나타나는 높고, 낮은 지위수준에 대한 종결어미 일치 여부에 따라 실험 조건에 사용된 문장은 총 4가지 유형이다. 높은 상대적 지위와 종결어미 일치 조건, 높은 상대적 지위와 종결어미 불일치 조건, 낮은 상대적 지위와 종결어미 일치 조건, 낮은 상대적 지위와 종결어미 불일치 조건으로 구성되었다. 결과: 문장판단과제에서 노년층이 청년층에 비해 정반응률이 낮고, 반응시간이 길어지는 현상을 보였다. ERP 분석에서 청년층은 종결어미 불일치 조건에서 300-500 ms 구간에서 N400 성분과 500-800 ms 구간에서 P600 성분이 관찰되었다. 노년층은 300-500 ms 구간에서 N400 성분이 관찰되었으나 청년층에 비해 진폭의 크기가 작고 지속되어 나타났으며 P600 성분은 관찰되지 않았다. 논의 및 결론: 화용 맥락과 의미 통합 실패를 야기하는 종결어미 불일치조건에서 N400 성분이 관찰되었으며, 화용적 요소뿐만 아니라 통사적 요소도 가지고 있는 경어법은 통사 오류로 인해 P600이 나타난 것으로 해석된다. 노년층은 노화로 인해 인지능력이나 기억용량이 감소되어 언어처리능력이 낮아지고 발화 문맥을 유지하는 능력의 저하로 인한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se an event-related potential (ERP) experiment with normally developing young and elderly groups to investigate honorifics processing, a unique linguistic form of the Korean language. Methods: A total of 44 participants (young, 23; elderly, 21) took part in the study. Experimental sentences were made of 3 syntactic words, appellation+object+predicate . According to the high/low social status exhibited in appellation and consistency with predicate final endings, two sentences were formed with a total of 4 experimental conditions. The last verbal word of the presented sentence was the critical word. The electroencephalography was recorded from 32 channels following the International 10-20 system, and mean amplitude was analyzed. Results: The behavioral results showed that the average positive response rate and the response time of the young group were much higher and faster, respectively, than that of the elderly group. The N400 component was observed in a time window of 300-500 ms when the relative social status was inconsistent with its predicate final ending due to pragmatic violations and failure of semantic integration during vocabulary processing. Also, the P600 component was observed in the time window of 500-800 ms due to grammatical abnormality. Conclusion: compared to the young group, delay of sentence process capability during linguistic processing occurs due to the weakened neurological condition of the elderly.

목차

Abstract
연구 방법
연구 결과
논의 및 결론
REFERENCES
국문초록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오선정(Seon Jeong Oh),성지은(Jee Eun Sung). (2017).청자-화자 지위관계 및 종결어미 일치 여부에 따라 경어법 문장처리과정에서 나타나는 청년층 및 노년층 간 ERP 성분 차이 분석.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 22 (1), 101-116

MLA

오선정(Seon Jeong Oh),성지은(Jee Eun Sung). "청자-화자 지위관계 및 종결어미 일치 여부에 따라 경어법 문장처리과정에서 나타나는 청년층 및 노년층 간 ERP 성분 차이 분석."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 22.1(2017): 101-11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