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어머니의 언어적 입력 유형이 18-24개월 유아의 의사소통 행동과 언어능력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1262

영문명
Effect of Maternal Linguistic Input Type on Communicative Behaviors and Language Ability of 18- to 24-Month-Old Toddlers
발행기관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저자명
김규리(Gyu Ri Kim) 이희란(Hee Ran Lee)
간행물 정보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 vol22. no.1, 1~13쪽, 전체 13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7.03.30
4,3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배경 및 목적: 본 연구에서는 18-24개월 유아의 의사소통 행동과 언어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어머니의 언어적 입력 유형을 분류하고, 유형 집단에 따른 차이와 상관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방법: 연구 대상은 언어를 포함한 전반적인 발달이 정상범주에 속하는 만18-24개월 일반 유아 20명과 그 어머니 20명으로 총 40명이었다. 놀이와 책 읽기 상황에서 어머니-유아의 상호작용을 녹화하여 전사하였으며, 어머니의 언어적 입력 유형과 유아의 의사소통 행동의 빈도를 측정하여 전체 발화로 나눈 비율로 분석하였으며, 유아의 언어능력은 SELSI와 K M-B CDI 평가 결과로 비교하였다. 결과: 어머니의 언어적 입력 유형 집단별 유아의 의사소통 행동 간에 유의미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으나 SELSI 점수에서 지시적 유형 어머니의 유아가 높은 점수를 보였다. 지시적인 유형 어머니와 유아의 의사소통 행동은 지시-반응, 표현-반응에서 정적인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표현적인 유형 어머니와 유아의 의사소통 행동은 주의환기-무반응, 지시-언급, 지시-반응, 설명-요구, 설명-반응, 피드백-언급, 표현-무반응에서 정적인 상관관계를 보였다. 논의 및 결론: 본 연구를 통해 어머니의 의사소통 유형에 따른 언어 입력 분석의 필요성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러한 결과는 어머니 입력 유형별로 유아의 반응성과의 관련성을 심층 검토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특히, 언어장애위험군 영유아의 조기 선별과 부모교육에의 활용 필요성을 함께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study examined communicative behaviors and language abilities of 18- to 24-month-old toddlers according to maternal linguistic input types. Methods: The study was conducted with 40 participants: 20 toddlers age 18-24 months whose overall development was within a normal range for DEP (Developmental Assessment for the Early Intervention Program Planning) and -1 standard deviation for SELSI (Sequenced Language scale for Infants), and 20 mothers of the toddlers. We analyzed a 10-minute video that recorded interactive play and reading with the toddlers and mothers and performed SELSI and K M-B CDI (Korea MacArthur-Bate Communicative Development Inventory) to evaluate the toddlers language abilities. Results: Firs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communicative behaviors and language abilities according to mothers linguistic input types in play and reading situations. However, we were able to distinguish maternal linguistic input types as a referential-expressive type in an interaction situation with the toddlers and mothers. Second, we examined a relation between communicative behaviors and language abilities according to maternal linguistic input types. Conclusion: The study reveals that appropriate harmony brings a positive effect on communicative behaviors and language abilities, as opposed to only one type of input (either the mother referential type where the linguistic input type is oriented for mothers or the toddler-oriented expressive type). The study demonstrates clinical significance by suggesting the necessity of parental education to promote communication and language development for toddlers and mothers must be included in the early selection, diagnosis, and intervention for toddlers at risk for language disorders.

목차

Abstract
연구 방법
연구 결과
논의 및 결론
REFERENCES
국문초록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규리(Gyu Ri Kim),이희란(Hee Ran Lee). (2017).어머니의 언어적 입력 유형이 18-24개월 유아의 의사소통 행동과 언어능력에 미치는 영향.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 22 (1), 1-13

MLA

김규리(Gyu Ri Kim),이희란(Hee Ran Lee). "어머니의 언어적 입력 유형이 18-24개월 유아의 의사소통 행동과 언어능력에 미치는 영향."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 22.1(2017): 1-1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