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농부의 일기를 통해 본 1950~1960년대 주거문화와 마을 특성

이용수 318

영문명
The Residential Culture and Locality during the 1950s and the 1960s through a Farmer’s Diary - The Case of Daecheon Diary in Busan -
발행기관
한국문화역사지리학회
저자명
공윤경(Yoon-Kyung Kong)
간행물 정보
『문화역사지리』제29권 제1호, 42~58쪽, 전체 17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지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7.02.28
4,8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전통사회에서 근대사회로의 과도기에 보이는 농촌의 주거문화와 마을 특성을 파악하고 그 의미를 제고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윤희수의 『대천일기』를 사례로 1950~1960년대 전통 농촌주거의 공간구성, 주택 수선과 세시의례 그리고 주거생활을 구체적으로 살펴보고 마을개발사업, 주민들의 인식 등을 통해 농촌마을의 특성을 고찰하였다. 윤희수家는 전통적인 농촌의 주거문화를 이어가고 있었고 특히 주택 수리와 관련한 세시의례는 1960년대 후반까지 유지되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1960년대 초반 ‘사랑채’, ‘사랑방’ 용어의 소멸,즉 주거공간에서 남녀유별사상에 대한 인식이 사라진 것은 큰 변화였다. 1960년대 후반부터 초가지붕이 부분적으로 기와로 개량되고 1970년 부엌, 우물, 변소 등에서 기능적, 위생적 변화를 보이기 시작하였다. 또한 대천마을에서는 개발 의지가 강한 지도자와 협조적인 마을공동체를 중심으로 마을 사업들이 활발하게 추진되어 1970년대 새마을운동으로 연결되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and enhance the significance of residential culture and locality in rural area during the period of transition from traditional society to modern society. To this aim, the study concretely investigates the spatial composition of traditional rural housing, housing repair, seasonal rites, residential life and also considers locality of rural area based on development projects and residents’s perception in the 1950s and the 1960s focusing Yoon Heesoo’ Deacheon Diary. It was found that the household of Yoon Heesoo generally maintained a traditional residential culture and especially seasonal rites related to housing repairs until the late 1960s. However a big change occurred in the early 1960s. The terms of ‘Sarangchae’ and ‘Sarangbang’ became extinct. In other words, the perception of segregation by sex applied to residential space disappeared. The roof material was partially replaced by a roofing tile since the late 1960s and the functional and hygienic changes started to appear in the kitchen, well, and toilet in 1970. In addition, centering around the leaders who had a strong will for development and the community that was cooperative, the Daecheon village actively carried out village projects, which led to Saemaeul Movement in the 1970s.

목차

1. 들어가며
2. 주거의 공간구성과 주거문화
3. 주택 수리와 주거문화
4. 농촌개발사업과 마을 특성
5. 나가며
참 고 문 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공윤경(Yoon-Kyung Kong). (2017).농부의 일기를 통해 본 1950~1960년대 주거문화와 마을 특성. 문화역사지리, 29 (1), 42-58

MLA

공윤경(Yoon-Kyung Kong). "농부의 일기를 통해 본 1950~1960년대 주거문화와 마을 특성." 문화역사지리, 29.1(2017): 42-5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