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신혼가구의 주택소비에 나타나는 세대간 자산 이전과 성별 효과

이용수 328

영문명
Intergenerational Transfer of Asset and Its Gender Effect in Housing Consumption of Newly Married Household
발행기관
한국주택학회
저자명
이길제(Gil Jae Lee) 최막중(Mack Joong Choi)
간행물 정보
『주택연구』住宅硏究 第25卷 第1號, 35~62쪽, 전체 28쪽
주제분류
경제경영 > 경제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7.02.28
6,1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세대간 자산 이전의 보편적인 경제 논리와 한국의 고유한 사회문화적 요소를 동시에 고려하여, 신혼가구의 주택소비에 있어 세대간 자산 이전이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지를 실증적으로 규명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를 위한 자료는 한국노동패널조사(KLIPS)에서 추출되며, 분석모형으로는 다중회귀모형과 경로모형을 사용하였다. 실증분석의 결과, 선행연구에서와 같이 부모가구의 순자산이 결혼 후 분가한 자녀가구의 거주부동산 자산에 유의미한 양(+)의 영향을 미치는 세대간 자산 이전 효과를 확인하였다. 또한 세대간 자산 이전이 주로 자녀에 대한 부모의 직접적인 물질적 지원의 경로를 통해 이루어진다는 점과, 자녀의 거주부동산 자산 형성에 미치는 영향력에 있어 부모의 순자산은 자녀의 항상소득, 총부채와 거의 동일한 중요성을 지니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무엇보다 본 연구를 통해 처음으로 규명된 것은 부모의 순자산이 자녀의 거주부동산 자산에 미치는 영향이 여성집단에 비해 남성집단에서 더욱 중요하게 나타나는 성별효과(gender effect)이다. 즉, 남성집단에서는 부모의 순자산이 자녀의 항상소득보다 더 큰 영향력을 행사하는데 비해 여성집단에서는 자녀의 항상소득이 부모의 순자산보다 더 큰 영향력을 갖고 있다. 이러한 남녀집단간 비대칭성은 가족주의적 문화와 함께 부거제 등의 전통으로 인해 남녀 및 남녀 부모의 역할을 구분해 온 한국의 사회문화적 특성이 반영된 결과로 볼 수 있다.

영문 초록

Taking account of both general economic theory of intergenerational transfer of asset and gender-specific sociocultural characteristics of Korea, this study empirically examines how parents wealth affects their child s housing asset prepared for marriage and how the effects are different between bride s and bridegroom s parents. The estimation results of multi-regression and path analysis models based on the survey data of Korean Labor and Income Panel Study demonstrate that parents wealth has a positive and significant effect on child s housing asset, which verifies the intergenerational transfer of asset, while most of the effect is composed of direct effect of material aid in comparison to indirect effect of socialization through child s education and income. The influence of parents wealth on housing asset is almost the same with that of child s permanent income and debt respectively. Most importantly, the gender effect is also found as the contribution of bridegroom s parents is larger than that of bride s parents. For bridegrooms, the influence of parents wealth on housing wealth is bigger that of child s permanent income, while the reverse is true for brides. This asymmetry between male and female groups reflects Korea s traditional gender role, as represented by familism, patriarchy, and patrilocal residence.

목차

Abstract
Ⅰ. 서론
Ⅱ. 이론 및 선행연구 고찰
Ⅲ. 분석틀
Ⅳ. 실증분석 결과 및 해석
Ⅴ. 결론
참고문헌
국문요약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길제(Gil Jae Lee),최막중(Mack Joong Choi). (2017).신혼가구의 주택소비에 나타나는 세대간 자산 이전과 성별 효과. 주택연구, 25 (1), 35-62

MLA

이길제(Gil Jae Lee),최막중(Mack Joong Choi). "신혼가구의 주택소비에 나타나는 세대간 자산 이전과 성별 효과." 주택연구, 25.1(2017): 35-6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