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고추 생산농가의 기술적 효율성 분석
이용수 27
- 영문명
- An Analysis on the Technical Efficiency of Red Pepper Farming in Korea
- 발행기관
- 한국농식품정책학회
- 저자명
- 홍의연 박종섭 이준배
- 간행물 정보
- 『농업경영.정책연구』농업경영·정책연구 33권 1호, 139~155쪽, 전체 17쪽
- 주제분류
- 농수해양 > 식품과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6.03.31
4,8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is study analyzed the technical efficiency and its determinants for Korean red pepper farming by using raw data of 366 farmers from Agricultural Production Cost Survey Report and Rural Farm Household Survey of the National Statistical Office from 2000 to 2002. The analysis was implemented through the Cobb-Douglas stochastic frontier production function (C-D SFPF) model with the technical inefficiency effect model for panel data, and two models were estimated simultaneously. The technical efficiency of red pepper production was analyzed for five regions as well as for all regions in Korea.
In order to estimate a C-D SFPF, red pepper output, land, labor, capital, fertilizer, and agricultural chemicals per farm as input variables were used. The following variables to estimate the inefficiency effect model were set: farmer s age and education, size of planted land, total labor hours, ratio of rental land to total land, regional dummy and time variable.
The average technical efficiency on red pepper farmers in all regions of Korea from 2000 to 2002 is derived to be 0.891. It means there were technical inefficiency of about 10.9 percent in Korea red pepper farming. Accordingly, suggested are as follows. Firstly, the cultivation area of red pepper per farm should be enlarged in order to reduce production costs. Secondly, labor saving techniques should be developed especially in harvesting procedures by enhancement of mechanization ratio. Thirdly, effective disease control programs before infection should be to pestilence and/or anthracnose significantly made. Lastly, farmers with well educated farming technique should be fostered.
목차
Abstract
I. 서론
II. 이론모형
III. 변수선정 및 이용자료
IV. 실증분석모형
V. 분석결과
V. 요약 및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일본 환경보전형농업특구가 지역활성화에 미치는 영향과 대응 및 과제
- 외국전통음식 레스토랑 시장세분 및 선택속성 분석
- AHP를 이용한 농촌마을종합개발사업 투자우선순위 평가기준의 설정
- 한일간 원유무역의 가능성에 관한 연구
- 수질오염 피해를 고려한 소양강 다목적댐의 경제성 분석
- FTA 추진과 농업부문의 갈등해결 및 피해대책 방향
- EU 농촌발전정책의 형성 및 개혁과정과 잉글랜드의 사례
- 시설채소농가의 소득변동과 영향요인 분석
- 경주마 산업 클러스터와 지역경제의 활성화
- 양평군 친환경농업 사례의 성공요인 분석
- Disparate Exchange Rate Effects on Two Distinct Economic Sectors : U.S. Agricultural and Large-scale Manufacturing Sectors
- 고추 생산농가의 기술적 효율성 분석
- 농업정책자금 지원제도의 문제점과 개선과제
- 쌀 수매 및 방출 제도의 정책 효과 분석
- DEA분석법에 의한 낙농농가의 생산효율성 분석
참고문헌
관련논문
농수해양 > 식품과학분야 BEST
- 국내 커피전문점의 성공사례 분석
- 20-40대 한국 남녀 성인의 밀키트 이용실태와 영양지수
- 경제적 어려움이 청소년의 외로움 및 사회적 고립에 미치는 영향: 디지털 소통․협력의 조절효과
농수해양 > 식품과학분야 NEW
- 잠재프로파일 분석에 따른 중학생의 교우관계 특성 유형과 관계적 공격성의 관계
- 아동이 경험하는 부모의 사랑에 관한 연구
- 부모의 긍정적 양육태도가 청소년의 학업열의에 미치는 영향: 주의집중 문제와 자아존중감의 이중매개효과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